남한 대토벌 작전

 




1. 개요
2. 배경
3. 작전 개요
3.1. 왜 하필 전라도가 주요 타겟이었는가?
4. 진행
5. 결과


1. 개요


'''남한 대토벌 작전'''(일본어: 南韓大討伐作戦(なんかんだいとうばつさくせん)은 일본제국1909년 9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2달에 걸쳐서 당시 대한제국 내에서 일본제국에 저항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호남 지방, 즉 전라도의병들을 뿌리뽑기 위해 실시한 군사 작전이다. 여기에서 남한대한제국의 남부. 구체적으로는 전라남도를 가리킨다.
일본 육군의 정예 2개 보병 연대, 육군 헌병일본 해군의 보조를 받아 투입되어 진행된 이 작전은 의병과 같은 게릴라 저항 세력의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는 해당 지역 민간인들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한 각종 초토화 작전을 동시 수반하였고, 결국 작전이 종결될 시점에 이르면 호남 지역의 의병들은 사실상 궤멸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후로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국내에서의 조직적인 항일 무장 투쟁은 사실상 사라지게 되고[1], 주로 중국 만주 일대에서 독립군이 활동하는 것으로 그 맥을 잇게 된다.[2]

2. 배경


1907년 정미 7조약에 의해 대한제국의 군대는 강제 해산당하고, 해산된 정규군은 남대문 전투의 패배 이후 전국 각지에서 활발히 움직임을 보이던 의병에 가담하게 된다.[3] 이 시기 일어난 의병들을 정미의병이라고 부르는데, 각종 신식 무기를 손에 든 정규군[4]이 가담함에 따라 의병들의 전력은 대폭 증강된다.
심지어 1908년 초가 되면 기존까지는 각개적으로 활동하던 전국의 의병들이 13도 창의군이라는 하나의 통일된 조직을 만들어 서울 진공 작전을 펼치기까지 한다. 애초에 전력이 명백한 열세였던데다가, 총사령관 이인영이 부친상을 당하면서 전투 직전에 진영에서 이탈하는 어처구니없는 사건[5][6]까지 터지면서 이 작전은 허무하게 실패로 끝났지만 일본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기에는 충분한 행동이었고 이에 일본은 한국을 병합하기에 앞서 내부의 후환인 의병들을 뿌리뽑아야겠다는 결심을 굳히게 된다.

3. 작전 개요


  • 기한 :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로 계획되었으나, 작전 개시 초기 단계에서 별다른 성과없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10월 30일까지 연장되었다.
  • 투입 전력 : 육군 보병 연대 2개 및 관할 지역의 육군 헌병 보조원과 경찰 투입. 다도해인 호남 지방의 지리적 요건을 고려, 도서 지역으로의 의병 탈출을 저지하기 위해 해군수뢰정 4척을 동원했다.
  • 작전 구역 : 전라도의 내륙과 연안 도서. 전라도를 삼분하여 북쪽에서 남쪽으로 3단계에 걸쳐 나누어 진격하면서 의병을 퇴로를 차단하기로 계획. 또한 전라도를 좌우로도 양분하여 서부 지구는 보병 제1연대가 맡고, 남부 지구는 제2연대가 맡기로 하였다.

3.1. 왜 하필 전라도가 주요 타겟이었는가?


간단히 말하자면, 당시 가장 의병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었던 지역이기 때문.1908년 전라도의 의병 교전 횟수는 전국 전체에서 25%를 차지하였고, 의병의 수도 마찬가지로 25%를 차지했다. 1909년에는 더더욱 심화되어 1909년 6월까지 전투 횟수의 47.3%, 전투 의병 수의 50.1%가 호남에서 활동하였다.

일제의 추산에 의하면 ‘남한 대토벌 작전’ 직전 호남 지역의 의병은 의병장 약 50명을 포함하여 약 4,000여 명에 달했다. 이처럼 호남 지역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이곳이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본거지[7]

로서 반일 의식이 강했을 뿐만 아니라 1904년 러일전쟁을 전후로 하여 일본인에 의한 토지 침탈, 경제적 수탈이 극심하여 반일 의식이 고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제는 호남 지역의 의병을 완전히 진압하지 않고서는 의병 세력을 완전히 소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이 지역에 대규모 군사 작전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 남한대토벌작전 [南韓大討伐作戰]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한국학 중앙 연구원)


4. 진행


작전은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1단계 작전은 변산반도 - 남원 - 하동군으로 이어지는 봉쇄선을 설치하는 것이 골자였다. 제2단계에서 육군 2개 연대는 광주, 영광 등으로 남하하면서 의병을 압박하기 시작한다. 서부를 맡은 제1연대는 영산강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동부를 맡은 제2연대는 섬진강에서 소백산맥을 통과해 영산강으로 진격했다. 제3단계에서는 해상 루트를 이용해 섬으로 숨으려는 의병을 추적하기 위해 해군 수뢰정 4척을 이용하는 도서 지방 초토화 작전이었다.
의병은 활동 지역 근처의 민간인들의 후원을 필수적으로 하는 게릴라 세력이었으므로, 호남 일대 민간인들에 대한 탄압도 이 과정에서 뒤따랐다. 의병을 후원해주는 것으로 의심되는 마을을 포위하고, 호적 또는 명부나 민적 등에 기록된 남자를 일일이 대조하면서 무언가 의심스러운 점이 나타나면 추궁하였으며, 의병을 숨겨주고 식량을 제공했다는 증거가 잡히면 해당 마을을 초토화시켰다. 이때문에 호남의 민간인들은 일본군에게 보복당할까봐 의병을 숨겨주거나 지원해주는것을 기피하였고 의병들은 이전처럼 민간인들에게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게다가 일본군은 한 번 수색한 마을을 불시에 다시 수색하면서 일본군의 단속을 피해 숨었다가 안심하고 다시 나타난 의병을 사살하고 체포하는 치밀함까지 보여주었다.[8] 이러한 일제의 군사적 압박에 의병들은 전면전을 회피하고 은신처를 자주 옮기거나, 부대를 나눠 각개적으로 일본군의 봉쇄선을 뚫으려고 시도하면서 전력 보존을 위해 노력했지만 일본 군경이 친일 밀정들에게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 이동로에 매복까지 하면서 철저하게 때려잡는 바람에 큰 소득은 없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행정 구역마저 파괴하는 짓을 저지르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전라남도 낙안군에 있던 벌교라는 마을에서 의병장 안규홍이 맨손으로 일본 헌병을 때려죽였다는 이유로 낙안군을 폐군해 버렸다. 게다가 낙안 지역을 2개로 나누어 보성, 순천에 각각 편입하여 행정 구역이 갈려버렸다.

5. 결과


일단 일본이 공식적으로 작성한 1909년 10월 27일자 통감부 보고서를 보면 일본군 사망자는 불과 '''육군 병사 8명'''이 전부로, 계급별로 상등병 1명(병사), 일등졸 5명(전사 2명, 경비정 전복으로 익사 1명, 도하 중 익사 1명, 추락사 1명), 이등졸 2명(전원 경비정 전복으로 익사)이다. 붙잡은 의병이 1,100여명, 항복한 수는 700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
일본 제국은 민간인 학살이나 강간 같은 전쟁 범죄를 숨기기 위해 일본이나 외국에서의 기자가 현지에 들어가는 것을 철저하게 금지했기 때문에 불분명하지만 일본의 어떤 기록에 의하면 일본인 사상자 100명 내외, 일본 육군 헌병이나 경찰에 속한 한인 사상자도 50 내외고 1907 년 8월부터 토벌이 거의 완료된 1909년 말까지 대략 의병[9]만 17,000명 사살, 40,000명 부상이라고 한다. 특히 뼈 아팠던 것은 심남일, 안규홍, 전해산 등 지방 사족 출신이 다수였던 주요 의병장들이 전사하거나 체포되어 처형당했던 것. 일본제국 경찰의 보고에 의하면 이 기간 동안 희생된 의병장만도 103명이다.[10]
한편 포로로 잡힌 의병들은 '폭도'로 규정당하고 일본군에 의해 해남에서 강진, 장흥, 보성, 벌교, 순천, 광양 등을 거쳐 하동까지 도로를 개설하는 강제 노역을 당하기도 했다. 그래서 일제는 이 도로를 ‘폭도도로(暴徒道路)’라고 불렀다고... 이 작전 이후에도 경상도, 황해도 등지에서는 아직 의병이 남아있었으나 일본의 토벌로 인해 그 기세는 점점 약해졌다. 결국 한국이 일본에 병합당한 이후 국내에서 근거지를 상실한 항일 전투 세력은 국경을 넘어 만주, 연해주 등으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 그 명맥을 잇게 된다.
덧붙여 이 학살로 인해 국내에서 대규모 조직적인 항일 무력 세력은 사실상 맥이 끊어졌다.[11] 이 이후로 소규모 항일 운동[12] 외에는 해외[13]에서 벌어지게 된다.
[1] 이러한 것이 서구권에서 한국인(당시에는 조선인)들의 독립 운동이 한번도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한국인들이 일본의 식민 지배에 순응했다고 인식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2] 물론 의열단과 같은 단체가 있기는 했지만 교전권을 갖춘 정식 군대라고 보기에는 애로 사항이 많다. 1930년대 보천보 전투가 있기는 했지만 그것도 어디까지나 만주와 소련을 거점으로 잠깐 국내에 잠입했다가 튄 수준에 그친데다가 결정적으로 윗동네에서 김씨 일가를 우상화하는데 써먹느라 온갖 어처구니 없는 과장이 덧붙여졌기에..[3] 특히 일본의 통제와 감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던 지방의 진위대에서 이런 움직임이 더욱 활발했다.[4] 물론 그래봤자 일본군의 장비와 비교하면 보잘 것 없기는 했다.[5] 유교적 사고 방식으로 당연히 정당화되고 모두들 납득할 수있었다면 당시 이인영의 낙향을 되돌리려 설득을 시도한 같은 유림들이 왜 있었는지를 설명할 수 없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예시에서 보듯 유교 역시 전쟁 등 피치 못한 긴급한 상황인 경우 집안 제사 등은 잠시 유보하는 걸 허락했다. 때문에 정통 유학자의 관점에서도 이인영이 부친상을 이유로 빠져야 할 이유가 없었고 부친상은 얼마든지 연기하는 게 당시 유교적 시각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다. 즉 현대나 구한 말 시각차를 따질 필요도 없이 이인영의 이탈은 논란이 될만한 기행이었다고 보는게 옳다.[6] 이에 대해서는 이인영이 애시당초 작전이 100% 실패할 거라고 예측했으나 총사령관 입장에서 여기서 멈추자고 대놓고 말할 수도 없고 그랬다간 배신자니 왜놈 앞잡이니 하며 주위 다른 유림들로부터 다구리당할 수도 있었기 때문에 부친상을 핑계로 자기 혼자 빠져나갔다는 것이라는 설이 있다. 물론 그 결말은 이인영이 남한대토벌작전 당시 수괴로 몰려 일본군에게 처형당하는 것으로 마무리.[7] 그도 그럴게 전라도는 곡창지대다. 당연히 농민운동의 본거지가 될 수 밖에..[8] 의병과 관련이 깊은 곳은 수십번까지도 수색을 했다.[9] 일본의 기록에서도 민간인 피해자가 있었을 가능성을 언급은 하고 있다. 의병의 수는 논란이 많지만 당시 일본 제국이나 혹은 사건 관계자들도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보는 추측들이 있었고 일본군도 은근슬쩍 조선 민간인들을 의병과 테러리스트 취급해서 죽여도 된다는 식으로 여기고 있어서 사상자들 중 일부는 민간인으로 보기도 한다.[10] 남한 대토벌[11] 3.1운동은 조직적 무력 저항 운동이 아니다.[12] 대부분 많아도 몇명 단위.[13] 주로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