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452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52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가창중학교)
종점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비산초등학교)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22
막차
22:22
평일배차
17분
주말배차
18분
운수사명
영진교통
인가대수
12대
노선
가창중 - 가창면사무소 - 송원맨션 - 화성전문요양원 - 미리내맨션 - 팔레스호텔 - 봉덕1동행정복지센터 - 영대병원역 - 대명9동행정복지센터 - 성명119안전센터 - 앞산궁도장 - 장관빌라 - 송현공원 - 서부정류장 - 성당시장 - 이월드후문 - 평리중 → 평리네거리 → 비산초교 → 대구은행북비산지점 → 평리중 → 이후 역순

2. 개요


가창면 대일리 가창중학교(4)에서 달서구 이월드후문(5)을 거쳐 서구 평리1동 비산초등학교(2)까지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2006년 2월 노선개편 때 424(-1)번을[1] 단축하고 변형한 노선이다.
다만 424(-1)번 시절에는 대명남로(대명6동주민센터) 경유, 앞산순환도로(대덕승마장) ~ 장관빌라 경유 분리 구간이 있었는데 2006년 개편 때 대명6동주민센터로 통합했고 수성못오거리에서 상동교로 운행할 때 양방향 상동네거리 경유였으나,[2] 2006년 개편 때 상동교 - 중동교(424-1번)/상동시장(424번) 구간이 상동교 - 상동가압장 왕복 경유로 직선화되었다.
18/19번 시절 파도고개로 들어가기 전에는 성당시장네거리에서 삼각지네거리로 우회전하여 서문시장으로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양지로 일대를 다르게는 "19번 도로"라고도 부른다.[3][4]
1980년대 고정배차 시절에는 18번과 19번 두 노선 모두 현대교통, 일신교통에서 운행했다. 이 중 일신교통(현 영진교통)은 2015년 8월 개편으로 폐지될 때 까지도 452번을 운행했다.
2014년 10월 18일 노선 개편을 통해 평리동 방면 한정으로 성명119안전센터에서 관문시장으로 우회전하지 않고 송현공원, 장관빌라를 편도 경유하게 되었다. 단, 성명119안전센터에서 대덕초등학교로 좌회전하기 때문에 대명남로에서 서부정류장으로 가는 승객들은 조금 불편해졌으며, 배차간격도 약간 더 늘어났다.
2006년 개편 후 대덕초등학교는 달성2번이 회차지로 썼는데 당연히 편도 운행하기 때문에 대덕초등학교 앞에만 정류장이 있었다. 하지만 452번이 비산초등학교 방면으로 갈 때 대덕초등학교 건너편을 편도 운행하게 되면서 건너편에도 정류장이 생겼다. 이래저래 파도고개로(내당역 - 이월드후문 - 성남초교 - 성당시장 구간) 연선만 안습이 된 상태. 평리동 단축 이후 사실상 동네북으로 전락했다.
2006년 2월 KT서대구지사에서 평리1동(비산초등학교)까지 단축됨에 따라 북부정류장으로 안 가게 되면서 이용률이 급격히 떨어졌다. 협고/경일여고 학생들 외에는 떨어지는 이용률로 인해 갈수록 감차만 거듭했다.
결국 2015년 8월 1일 부로 시행되는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따라 폐지가 확정되면서 막을 내리게 됐다. 이를 대신할 남구1(-1)번, 서구1(-1)번, 240번, 304번의 신규 노선들이 452번에서 파생되거나 타 노선에서 파생(사실상 분할)되어 운행에 들어간다.[5] 말년에 운행하였던 대덕초교 및 장관빌라 편도 구간은 750번에 넘겼다.

4. 특징


회차 구간은 비산초등학교에서 10분 정차했다가 (북비산네거리 → 대구은행 북비산지점/비산동우체국 → 비산6동주민센터 → 비산웰빙하와이 → 평리1동주민센터) 구간을 거쳐 평리초교/평리초교부터는 대일리까지 역순으로 운행했으며 비산동 방향의 야간 막차는 비산초등학교에서 운행을 끝내고 검단동차고지로 회송했다.
파동이나 상동교, 미리내맨션 일대에서 영대병원역으로 가기 때문에 봉덕3동 일대에서 지하철 환승 수요가 많았다.
남구 봉덕3동에 있는 협성중고교(경복중학교 포함), 경일여중.경일여고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에는 가축수송을 자랑한다.[6]
하지만 북부정류장 구간이 통으로 날아가 버리고 서구청 대신 KT 서대구지사로[7] 들어가게 되면서 서구 지역에서 수요가 많았던 서구청, 북부정류장으로 운행하지 않는 까닭에[8] 서부정류장 이후 구간에서는 다소 한산한 편이다. 구간 수요가 대부분으로, 특정 시간대 외에는 비교적 한산한 이유로 인해 2006년 개편 초에는 17대가 10분 간격으로 운행했으나 순환3번에 3대를 헌납했으며(...) 2013년 12월 8일 급행2번에 2대 더 증차하기 위해 2대 더 감차하게 되어 배차간격이 늘어났고, 대덕초교 운행 후에는 또 간격이 늘어났다. 영진교통에서도 사실상 이 노선을 버렸는지, 말년에는 신차 투입도 없어서 폐선 직전에는 최신 연식의 차량이 2008년식이었을 정도였다. 결국 북부정류장 미운행이 독으로 돌아왔고, 감차에 감차를 거듭하며 배차간격이 늘어나는 악순환만 겪다가 결국 폐지가 확정되는 비운을 맞이했다. 대신 이 구간 수요를 유지하기 위해 전술했듯이 개편 때 여러 노선들로 분할하여 선형이 유지되고 있는 중이다.
비산초등학교 앞에 452번 외에 420번, 724번, 750번[9]이 정차하는 비산초등학교 정류장과 별도로, 비산초등학교 담벽 앞에 452번의 회차 전용 정류장이 있었는데 사실상 이 정류장이 452번의 종점이다. 따라서 절대로 이 곳에서 승하차하지 말 것. 그리고 버스 안내에도 비산초등학교가 정식 종점으로 뜨게 되어 북비산네거리 이후 구간에서 버스도착 안내기에 기점출발 시간이 안내된다.[10] 2013년에 감차당한 이후에는 대일리로 갈 때 중간종료 막차가 없고 대일리 출발 차량 중 성당시장에서 운행을 끝내는 막차가 하나 있다. 평리동에서 출발하는 막차도 감차로 인해 빨라지면서, 밤 10시 20분대 이후 파도고개로 일대에서는[11] 452번이 일찍 끊긴다.
가창1번과 함께 가창권으로 다니는 노선들 중 가스 충전이 불편한 노선이었다. 424(-1)번 시절에는 파도고개 내리막으로 다니는 424번에만 저상버스가 한 번 투입된 적이 있지만, 452번으로 단축된 이후로는 충전 불편 때문인지 아예 저상버스를 안 넣었다.[12]
424-1번은 대구광역시 7개 구와 1개 군을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었다.[13]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52번
2014년
2015년
5,573명
5,123명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이다.
[1] 1998년 개편 전 424번은 18번, 424-1번은 19번이었다. 424번은 스파밸리~파동~수성못오거리~상동시장~미리내맨션~서부정류장~서구청~북부정류장~팔달시장~성북교~복현오거리~경대북문~경대교~대구역~중구청~동신교~신천시장~수성하이츠/대구은행역~수성못오거리~파동~스파밸리을 순환 운행하던 노선으로 424-1번은 역순으로 운행했고 대봉교, 신천동로를 통해 동신교로 올라갔다.[2] 파동 방향은 상동시장 앞길이 일방통행인 관계로 상동교에서 대구한의대학교병원으로 좌회전하여 중동교까지 올라갔다가 중동네거리, 정화우방팔레스를 거쳐 수성못오거리로 내려왔다. 2006년 개편 이후 수성못오거리에서 상동시장으로 가는 노선은 '''349번'''(유통단지 방향 한정)밖에 없다.[3] 같은 이유로 13(-1)번 시절 운행하던 아양네거리 ~ 망우당네거리 사이 도로를 "13번 도로"라고 부른다.[4] 양지로 일대에는 술집들이 많아 환경이 좋지 않았는데, 이재용 前 환경부장관이 민선 남구청장을 역임했던 시절에 모두 정비되었다.[5] 이 중 북비산네거리 ~ 파도고개로 ~ 성당시장 구간은 서구1(-1)번이, 452번의 남구 대명남로 및 봉덕동 통학 구간은 남구1(-1)번이 담당한다. 240번304번은 대일리 ~ 남구(240번:봉명네거리/남구청/미리내맨션/상동교, 304번:동성초교 구간 및 명덕로) 구간을 연결한다.[6] 협고는 2학군임에도 조절학군에 걸려 있다.[7] 행선판에는 '''서대구전화국'''으로 표기 되어 있었음.[8] 424(-1)번 시절 북부정류장서부정류장을 연결하던 유일한 일반버스이기도 했다. 현재 북부정류장서부정류장을 이어 주는 노선은 726번만 있는데, 726번은 헬게이트 노선이라.....[9] 420-1번, 724번, 750번은 건너편 정류장에도 정차하지만 452번은 이 곳이 회차지이므로 편도 운행이다.[10] 비산초등학교에서 대기하는 바람에 대구은행 북비산지점에서는 452번이 뜨고 있다가 갑자기 '''실종'''된 후, 출발하면 다시 떴다.[11] 비산초등학교에서 파도고개로까지 15분 잡아야 한다.[12] 424번은 청구네거리, 수성하이츠/424-1번은 신천동로 경유였다. 424번에만 저상이 들어갔던 건 가창2번에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는 이유와 같은 듯하다.[13] 국채보상로 동신교 일대 구간이 수성구와 동구의 경계이므로, 424-1번은 동구 구간도 살짝 경유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