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726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clearfix]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2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동호동종점)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대곡주공8단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토요일]''' 22:24 / '''[공휴일]''' 22:25
막차
22:32
평일배차
9분
주말배차
10분
운수사명
동명교통
대명교통
인가대수
28대[1][2]
노선
동호동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운암초교 - 함지초교 - 칠곡운암역 - 대구과학대 - 매천중고교 - 북부정류장 - 평리네거리 -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 - 감삼네거리[3] - 대구공업대 - 서부정류장 - 상인네거리[4] - 대동시장 - 대곡주공8단지
'''중간 출발 정류소'''
'''대곡지구''' 방면
중리시장평일, 토요일, 북부정류장공휴일, 대백인터빌평일, 토요일, 대구병원, 대구과학대학교평일, 토요일, 칠곡그린빌2차
'''동호동''' 방면
북부정류장, 중리롯데캐슬, 서부정류장, 도시철도건설본부
'''중간 종료 정류소'''
'''대곡지구''' 방면
도시철도건설본부, 서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제일여상공휴일
'''동호동''' 방면
칠곡경대병원역, 칠곡그린빌2차, 대구과학대학교, 대백인터빌

2. 개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수요 1위 노선이다.'''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에서 서구 중리동 중리네거리(2)를 거쳐 달서구 대곡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약 53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4년에 개통하였으며, 칠곡IC[5]에서 시청을 운행하던 339번 좌석버스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6]
  • 1998년 개편 때 노선을 726번으로 번호를 변경하였다. 서부정류장~시청 구간을 버리고 칠곡IC~서부정류장[7]~송현역~상인네거리~상인남네거리~대동시장~도원네거리~대곡주공6단지~대곡지구[8]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크게 변경되었다.
  • 2006년 2월 개편으로 단축된 600번과 함께 좌석버스에서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하면서, 기종점이 칠곡IC에서 칠곡3지구로 변경했다.
  • 대명교통 649번에서 2006년 5월에 2대, 2009년 4월에 1대, 2012년 6월에 2대, 동년 10월에 2대, 총 7대를 이 노선에 증차했다.
  • 2017년 1월 21일부터 경신교통이 북구4번에 참여하면서 726번에서 철수하고,[9] 대신 동명교통 북구4번 저상버스 1대가 726번으로 이동했다.[10]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그리고 동명교통에서 1대가 빠지고 대명교통에서 1대를 추가 투입한다.[12]

4. 특징


  • 가장 큰 수요는 도시철도 환승 수요로, 달서구 도원동/본리동,[13] 서구 등 연선의 주요 도시철도 사각지대를 알차게 지나간다. 도중에 학교가 많아 통학 수요도 많다.[14] 그 외에도 서부정류장북부정류장을 연결하는 몇몇 노선들이 2006년 개편 때 모두 폐지되면서 남은 유일한 노선이라 시외버스 이용 수요도 많다.[15] 한술 더 떠 대구시청 이전지로 정해진 두류정수장 후적지 앞에도 정류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수요가 많고, 모든 구간에서 꾸준하게 이용하는 가축수송 노선이라 꾸준히 증차되었는데, 2006년과 2009년, 2012년 네 번의 개편 및 조정을 거치면서 649번을 비롯한 다른 노선에서 운행하던 대명교통 차량을 모두 726번에 증차하면서 초기 인가대수 19대 / 배차간격 11분에서 현재 인가대수 28대 / 배차간격 9분으로 단축했다.[16]
  • 출퇴근 시간대에는 같은 정류소를 동시에 지나거나 한 두 정류소 간격에도 모두 혼잡한 상태로 다니고, 대명교통에서 투입한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의 차체가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했다. 2009년 5월 달서3번에서 운행하다가, 2018년 2월 초에 입석형 신차로 교체되어 726번에 복귀했다.[17]
  • 저상버스를 투입하기 힘들 듯했으나 동명교통에서 2017년 1월 21일부터 북구4번 출신 저상버스를 운행하며, 1월 26일부터 저상버스 신차를 1대 더 투입했다가 2019년 4월 20일에 칠곡4번으로 이동했다. 대명교통에서는 2019년 6월에 저상버스 신차를 운행한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2015년 노선 개편에도 전체 노선 수요 1위이며,[18] 더군다나 시내 번화가인 약령시, 2.28중앙기념공원 일대를 전혀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다.[19]
  • 인가대수와 운행 환경이 여유있는 편이라, 두 업체 모두 정류장 외 승하차를 엄격히 금지한다.
  • 동명교통과 대명교통 둘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아크릴 행선판과는 다른 폰트를 사용한다. 대명교통은 자체 폰트를 적용, 동명교통은 준공영제 이전에 사용한 폰트를 적용했다.
  • 동명교통 기사교대는 칠곡경대병원역에서, 대명교통 기사교대는 도시철도건설본부에서 실시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26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8,083명
18,853명
17,573명
17,957명
17,932명
16,833명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운수사별로 절반씩 인가[2] 공휴일 23대 운행[3] 정류소 이름은 서부공업고등학교[4] 정류소 이름은 상인현대맨션[5] 구 동신여객 차고지[6] 노선이 흡사했던 33-1번 일반버스는 현재의 750번이다.[7] 다만 1998년 개편 당시에는 성당네거리에서 동본리네거리로 좌회전이 불가능해서 대곡지구 방향 한정으로 서부정류장을 경유했고, 칠곡 방향으로 운행시 송현제림타운과 남부교육지원청을 경유해서 동본리네거리로 운행하였다. 서부정류장을 왕복 경유하기 시작한 것은 1998년 9월 20일부터였다. 참고로 당시에는 삼일호텔네거리(현재 삼일병원네거리)에서 남부교육청 방향으로 좌회전이 가능해서 이 노선과 1998년 5월에 한 달 동안 운행하다 폐선된 624번{대곡지구↔서부정류장(← 관문시장)↔죽전네거리↔서대구공단네거리↔서구청↔북부정류장↔노원네거리↔경상여고↔((대원유치원→경대서문→경대북문→경대정문) ←성북교 ← 동대구시장)↔강남약국↔동인네거리↔대봉교↔명덕네거리↔삼각지네거리↔앞산공원↔수성못오거리↔파동}이 여기서 좌회전했다. 이후 2000년대 초 노선버스를 제외한 차량들은 좌회전이 금지되고 노선버스인 726번과 750번은 좌회전이 가능하다.[8] 남도버스 차고지[9] 다만 경신교통 차량은 북구4번으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서구1번의 저상버스 1대와 맞트레이드했다.[10] 평일 출근 시간대에도 종종 배차되는데, 인가대수가 많아지면서 1대당 혼잡도가 많이 개선된 726번이므로 저상버스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11] 대명교통 상인네거리 종료, 동명교통 대구보건대 종료 등[12] 다만 이 개편으로 증차없이 노선이 연장되자 비교적 중간출발 / 종료가 공차회송에 편리하던[11] 배차 시간표가 조정되어, 막차 시간대에 대명교통 차량이 칠곡 방면에서 종료하고 동명교통 차량이 대곡 방면에서 종료하는 모습이 보인다. 물론 막차 고정분담은 실시한다. 단, 726번은 651번처럼 시간표가 뒤틀려 있으며, 도착이 아닌 출발을 기준으로 잡았기 때문이다.[13] 월성동은 306번과 356번이 커버한다.[14] 초등학교를 제외한 중학교로는 대구체육중, 강북중, 동평중, 관천중, 매천중, 팔달중, "서부중+서진중{=서대구중학교}", 중리중, 서남중, 원화중, 경암중, 성당중, 새본리중, 대서중, 영남중, 대곡중이 있으며 고등학교로는 대구체육고, 운암고, 매천고, 구암고, 경덕여고, 서부공고, 원화여고, 경화여고, 제일여상, 경북기계공고, 영남고, 상원고, 대곡고가 있고, 대학교로는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경운대학교 대구교육관, 한국폴리텍Ⅵ 대구캠퍼스, 대구공업대학교가 있다. 급행7번이 신설되기 전에는 칠곡지구에서 계명대학교, 계명문화대학에 가기 위해 급행1번, 405번, 425번, 2호선 등으로 환승하기 위해 타는 수요도 있었다.[15] 주로 서부정류장에 도착하는 노선(합천, 고령, 거창 등) 승객이 북부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노선(안동, 영주, 원주 등)으로 환승하는 경우(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대다수다.[16] 그리고 대구 버스 급행8번이 생겼고, 급속도로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726번보다 더 많은 차량(11대)를 빠르게 증차했다.[17] 비슷한 사례로는 부산 버스 96이 있다.[18] 차량 1대당 혼잡도는 많이 줄어들었다. 차량 28대를 다 합친 승객 수가 많아서 여전히 1위인 것.[19] 527번, 814번, 937번은 도심을 거치지 않지만, 계명대학교,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를 비롯한 번화가와 범물동, 칠곡지구를 비롯한 주거지역을 연계하기 때문에 수요가 많다. 도심을 거치는 노선은 교통체증과 요금, 소요시간 변동의 부담이 적은 도시철도 수요에 많이 흡수되면서 조금씩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