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서구1

 



[image]
[image]
서구1
서구1-1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문제점 및 논란
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평일, 토요일]''' 22:15 / '''[공휴일]''' 22:19
막차
-
평일배차
15분
주말배차
17분
운수사명
경신교통
인가대수
10대[1]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이현삼거리 - 서구문화회관 -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 → 중리중교 → 중리시장 → 북부정류장 → 노원119안전센터 → 노원네거리 → 원대시장 → 비산지하도 → '''평리1동 행정복지센터''' → 서도초교 → 홈플러스내당점 → 이월드후문 → 성당시장 → 대구가톨릭대병원 → 대명역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죽전119안전센터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서대구공단네거리) 이후 역순
[image]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2:15
막차
-
평일배차
16분
주말배차
19분
운수사명
신흥버스
인가대수
10대[2]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이현삼거리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공단네거리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죽전119안전센터 → 금봉네거리 → 서부정류장 → 대명역 → 대구가톨릭대병원 → 성당시장 → 이월드후문 → 홈플러스내당점 → 서도초교 → '''비산초교''' → 비산지하도 → 원대시장 → 노원네거리 → 노원119안전센터 → 북부정류장 → 중리시장 → 중리중교 →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소'''
'''서구1''' 방향
대구가톨릭대학병원공휴일, 두류보성맨션평일, 토요일, 평리2동행정복지센터공휴일, 원대시장평일, 토요일, 노원네거리공휴일, 북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중리광명맨션공휴일, 한국섬유개발연구원평일, 토요일
'''서구1-1''' 방향
홈플러스내당점평일, 토요일, 대구차여성병원, 본리초등학교, 서평초등학교
'''중간 종료 정류소'''
'''서구1''' 방향
이현삼거리, 평화정공, 서부정류장
'''서구1-1''' 방향
이현삼거리평일, 토요일, 진달래아파트공휴일, 북부정류장평일, 토요일, 국민은행3공단지점
  • 방천리 출발 직후 및 도착 직전 가르뱅이 경유.[3][4]
  • 토요일, 방학감차 없음
서구1번 정류소 목록
서구1-1번 정류소 목록
[5]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순환형 지선버스. 운행 거리는 35.1(서구1)/35.4(서구1-1)km.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를 출발해 서구 내당1동 내당역을 경유, 다시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한다.
경신교통이 서구1번을, 신흥버스가 서구1-1번을 운행한다.[6]
여러 노선들을 대체하고 죽전네거리와 서대구산단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취지로 신설한 노선이나, 나름 이용률이 있는 몇몇 구간들을 제외하면 대구의료원정문 및 용산1동 미경유로 인해 시민들에게 평가가 극과 극 수준으로 심하게 엇갈리고 있는 노선이다.

3. 역사


  • 2016년 2월 13일부로 서구1, 서구1-1 각각 1대씩 감차되어 다른 노선에 증차되었다.


4. 특징


가르뱅이 종점은 상리동 종점의 순 우리말이다.
대구광역시지선버스서구에서는 최초로 만들어졌다.
노선의 선형을 보면 알겠지만 '''452번[7], 805번[8], 202(-1)번[9], 400(-1)번[10], 420(-1)번[11], 달서4(-1)번[12]''' 등 노선 개편으로 폐지되거나 운행 구간을 맞바꾼 노선들의 경로를 서로 '''짜깁기'''하여 운행하고 있다. 개편 때에는 452번서구 구간 대체노선으로 명기했다.[13] 따라서 서구1번과 서구1-1번 둘 다 대구 버스 역사상 버스가 최초로 다니는 경로나 자신만의 고유 구간은 거의 없다.
서대구산단에서 와룡로, 죽전역을 빠르게 연결해 주는 노선이고, 성당시장과 파도고개로, 내당역에서 평리동(통학로)과 비산동을 연결해 주는 '''유일한''' 노선이다.[14] 그리고 비산동/원대동에서 3공단으로의 출퇴근 셔틀버스 및 순환3(-1)번의 백업 역할, 장기지구~안지랑역 구간 구 805번 구간의 백업 역할을 한다.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에는 교통섬과 중앙분리대가 있어 452번이 그러했듯 평리2동행정복지센터~북비산네거리 구간에서 서구1번은 비산동우체국에서 문화로(비산6동행정복지센터)로 우회전하고, 서구1-1번은 비산초등학교 정문으로 편도 운행하여 세븐일레븐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한 후 북비산네거리로 간다.[15] 서구1-1번의 평리1동행정복지센터네거리 → 비산초교 정문(세븐일레븐) 구간은 옛 마을버스 2번의 구간이기도 하다.
10대 중 저상버스 7대가 들어가는 서구1번은 저상버스로 파도고개를 올라가는 위엄을 보여 주고 있다.[16] 이 곳의 경사는 상당히 가파른 편이어서 개편 전에는 내리막길(성당시장 → 내당역 방향)에 주로 저상버스를 투입했는데, 웃긴 건 정작 파도고개 내리막길로 다니는 서구1-1번은 425번 출신의 2007년식 구형 저상버스 1대만 들어갔었다(...). 해당 저상버스는 2016년 11월에 교체된 후에도 계속 서구1-1번을 운행 중이며, 2016년 12월에 블루시티를 포함한 저상버스 2대가 더 투입되어 서구1-1번에는 저상버스 3대가 투입 중이다.
2016년 12월 16일 서구1-1번에 블루시티 저상버스가 투입됐다. 이는 대구 지선 최초의 블루시티 저상버스다.[17]
2017년 1월 21일 개편으로 경신교통의 저상버스 1대가 북구4번으로 이동됐으며, 726번에 들어가던 입석 차량이 서구1번에 들어왔다. 이후 2017년과 2018년에 저상신차 1대씩 서구1번에 들어와서 서구1번에는 저상버스 8대가 운행 중이다.
언제부터인가 일요일 이현삼거리 중간종료 차량이 '내당역 종료'로 차량 LED행선판에 잘못 뜨고 있다. 대구 시내버스 안내에도 잘못 기재되어 나오고 있다.
얼핏 보면 내구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차량들이 득실거릴 것 같지만, 두 업체 다 잊을만 하면 틈틈이 신차를 투입하고 있다. 특히 경신교통은 저상버스를 뽑으면 북구4번 아니면 거의 무조건 서구1번에 몰빵한다. 240번은 어쩌다 한 차례 정도(...).[18] 게다가 간판 노선인 523번에도 없는, 알룩스 휠이 달려 있는 입석 신차까지 있다. 달구벌버스현대교통, 세한여객 주문취소분 여부는 불명확하나, 광남자동차에서 알룩스 휠이 달린 급행버스 신차를 도입하는 것을 보면 자체적으로 옵션을 선택했을 수도 있다.

4.1. 문제점 및 논란




4.2.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962명
2,724명
2,790명
2,811명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901명
2,729명
2,605명
2,590명

5. 연계 철도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죽전역,[19] 내당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만평역,[20] 원대역[21]

[1] 공휴일 9대 운행[2] 공휴일 8대 운행[3] 234번과 동일한 방식.[4] 일부 정류소의 노선 안내도에는 서구1, 서구1-1 각자 처음이나 끝부분에 가르뱅이가 생략돼 있지만, 234번과 마찬가지로 가르뱅이를 필히 경유하므로 안심해도 좋다.[5] 알아차렸겠지만 보다시피 편도운행 노선이다.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 형태 때문.[6] 저상버스는 서구1번에 무려 7대 있다. 서구1-1번에는 저상버스 3대가 투입 중이다.[7] 북비산네거리~성당시장 구간[8] 안지랑역~본리초교~죽전네거리 구간[9] 가르뱅이~중리네거리, 평리네거리~원대시장 구간[10] 중리네거리~죽전네거리 구간[11] 중리네거리~신평리네거리 구간[12] 성당시장~안지랑네거리 구간[13] 때문에 가끔 가다가 승객 수가 많아 보이는 서구1(-1)번을 보고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고 판단하면 안 된다. 모두 이전 노선들의 수요 폭증 및 주력 구간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서구1(-1)번의 구간이 아니다. 메인으로 올린 452번도 구간 수요가 주력이었다.[14] 실제로 파도고개로 일대에는 이게 없으면 달서4(-1)번밖에 다니지 않는다. 게다가 달서4(-1)번은 '''18~19분이나 된다.''' 물론 도보 10~20분 거리에 다른 버스 정류소(반고개, 굿모닝병원, 현대해상 대구사옥, 구남보건고등학교, 성당시장 등)와 도시철도 2호선이 있기는 하다.[15] 대구지방경찰청에서는 시청에서 원할 경우 얼마든지 교통섬과 분리대를 철거해서 왕복 운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버스운영과는 의지가 없어서 안 하는 중(...).[16] 그런데 남도버스가 테스트삼아 블루시티 1대를 도입했는데, 다른 노선도 아니고 서구1번과 함께 파도고개를 올라가는 달서4번에 투입했었다. 현재는 달서5번으로 이동.[17] 이후 블루시티의 악평으로 간선버스에서 운행되던 블루시티 상당수가 지선버스로 이동된 상태다.[18] 다만 2020년부터는 대구광역시의 전기버스 도입 노선 추가 선정에 따라 경신교통아폴로 1100을 투입하며 523번저상버스 운행을 시작했다.[19] 환승 환경이 그닥 좋지 않다. 죽전네거리에서 내려서 걷고 신호 기다리는데 5분 넘게 잡아먹을 때가 있다. 게다가 출구가 시내 방향에만 있다. 추가로 건설중인 죽전역 서편 출입구가 완성되어 정식 운영에 들어가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20] 다른 노선들을 포함한 3호선 환승역으로는 가장 안습한 위치.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앞에 역이 있기 때문이다.[21] 정류소와 역 간의 거리 차이가 270~330m 정도인데, 이 거리는 막장환승 거리다. 게다가 원대오거리의 보행자 신호 텀이 매우 길어 반발이 많다. 그래서 북비산네거리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