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2
1. 노선 정보
【가지노선 접기/펼치기】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3. 역사
- 2006년 2월 19일 836번의 분리 노선 중 다산면 노곡리행과 성산면 득성리행을 제외한 나머지 지선들을 분리하여 신설했다.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행은 개편 전에는 좌석버스 600번이 맡았다가 1시간 15분이나 되는 배차간격과[1] 공기수송으로 601번 좌석버스[2] 에 통합되었다.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방면은 얼마 안 되어 달성3번이 전담하다가 9월 24일에 달성2번으로 통합했다. 당시 달성2번을 운행하던 모든 차량의 행선판이 '논공 - 유천교 - 서부정류장'에서 '가야대 - 유천교 - 서부정류장'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가야대 지선이 서부정류장까지 오는 게 아닌가 했지만 가야대 지선은 그냥 번호만 바뀌었을 뿐 달성3번 시절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836번 종점인 달성군예비군훈련장까지 운행했다.[3] 결국 얼마 안 가서 다시 행선판의 '가야대' 부분을 '논공'으로 수정해서 다녔다. 어떻게 보면 완전한 신설은 아니고, 개편 전의 여러 노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격이다.
- 2006년 개편 당시에는 경북기계공고에서 월촌역, 송현역을 경유한 뒤 '구.달성군청 → 서부정류장 → 대명역 → 대명6동주민센터 → 빨래터공원 → 대덕초교 → 관문시장 → 구.달성군청건너' 순으로 회차했다. 그리고 논공행[4] , 신당리행[5] , 노이리행, 용연사행, 본리1리행, 본리2리행[6] 이렇게 가지 노선이 있었고 중간에 일부 차량이 옥포읍 본리리에 있는 무지개타운에 들어갔다 나오는 방식으로 운행했다.
- 2008년 무렵 논공행과 신당리행이 통합되어 '옥포-무지개타운-신당리-달성군청'으로 운행하였다. 이에 따라 옥포면사무소에서 무지개마을과 신당리를 경유하여 금계초등학교로 내려오는 것으로 통합됐다. 그리고 원래 5회 본리1리행, 5회 본리2리행을 따로 운행했는데, 통합되어 본리1리까지만 가는 노선은 없어지고 본리행 전 차량이 본리2리 마비정벽화마을까지 1일 8회 운행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
- 2009년에 월촌역에서 송현역으로 직진하던 구간을 월촌역에서 좌회전해서 효성초교 - 송현초교 - 송현여고 - 대구공업대학 - 청구그린맨션 - 서부정류장 - 관문시장 - 빨래터 - 대덕초교 - 관문시장' 순으로 운행하도록 바뀌었다. 이렇게 노선이 바뀐 이유는 2009년 1월 17일 개편으로 609번 분리 노선으로 다니던 송현초교~상인네거리 구간이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송현초교에서 경북기계공고로 우회전하는 구간, 롯데백화점상인점에서 영남고로 우회전하는 구간이 사라졌는데 이 중 송현초에서 경북기계공고로 우회전하는 구간을 달성2번이 땜빵으로 운행하도록 노선이 변경된 것이다. 하지만 달성2번은 태생이 오지노선이라서 배차간격이 긴 데다가, 이 노선을 탄 뒤 609번으로 환승하려면 길을 건너 한 정류장 정도를 이동해야 하는 굉장한 불편이 있었다. 거기다가 기존에 송현역 등지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던 승객들의 불편함도 있었다.
- 2009년 가야대지선에 저상버스가 고정 운행을 시작했다.
- 2011년 8월 18일 618번이 '효성초교 - 송현초교 - 동본리네거리' 구간을 경유하게 되고, 달성2번은 다시 송현역 구간을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빨래터공원 편도 회차 구간은 다시 대명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환원되지 않았다.
- 2012년 초기 대덕초등학교에서 회차하는 노선을 유천교 또는 대곡역 회차로 단축하려고 했으나 취소되었다. 달성2번은 대덕초등학교 앞을 회차지로 사용하는데 대덕초등학교 정류장은 대덕초등학교 앞에만 있었지만 2014년 10월 18일 452번이 평리동 방면으로 갈 때만 대덕초등학교 건너편을 편도 운행하면서 대덕초등학교 건너편에도 정류장이 생겼다. 452번이 공기수송으로 폐지된 후에는 750번이 들어온다.
- 2012년 6월 16일에 승객 과소 노선이였던 가야대 지선이 폐지됐다. 당시 고정 투입한 저상버스는 618번 및 600번을 거쳐 달성8-1번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달성8-1번의 폐선으로 다시 600번으로 넘어간 후 여생을 보내다가 대차됐다.
4. 특징
- 창성여객 시절 회사의 경영난으로 중고차를 꽤 도입했을 때 인천 강인여객에서 중고로 들여온 중문 폴딩식 BS106이 투입된 적이 있었다. 좌석에서 일반으로 개조된 차량이었으며, 당연히 강인여객답게 차 상태는... 현대교통에 넘어간 후 몇 년 동안 운행하다가 2010년에 엔진 이상으로 폐차됐으며,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로 교체되어 400번으로 이동했다. 2015년 개편부터 남구1번에 투입 중이었다가 2018년에 달성3번으로 이동했다.
- 이 노선이 다니는 오지 지역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노선이며, 실제로 대곡역 이후 달성군 구간에서는 승객이 많다. 달성군 구간에서 탄 승객들이 대곡역에서 많이 내리기 때문에 달서구 지역에서는 공기수송 노선으로 보이는 것일 뿐이다.
- 2006년 개편 당시에는 운행 대수가 5대였으나, 같은 해 9월 24일에 인가대수 3대이던 달성3번이 폐지되면서 잉여 차량들이 모두 이 노선으로 넘어와 운행대수가 7+1대(+1대는 가야대학교 지선)가 되었고, 2012년 2월 26일에 인가대수 2대이던 달성공단2번이 운행 구간을 단축하고 번호도 달성3번으로 변경하면서 감편된 1대가 이 노선으로 넘어와서 운행대수가 8+1대가 되었다. 나름 많이 증편된 노선이며, 그만큼 달성군 지역에서 수요가 많다는 뜻이다. 이후 1대가 감차되어 600번에 투입되었다.
- 2015년 8월 개편으로 600번과 836번이 칼질당하면서, 이 노선이 논공읍, 옥포읍에서 유일하게 서부정류장까지 가는 노선이 되어서 고령 606번과 함께 터져 나갔으나 600번이 연장되면서 나아졌다.
- 논공에서 환승하기 위해 이동하기에는 좀 애매한 것이, 대부분이 교항리에서 직진하지 않고 신당리로 들어가는 시간대가 좀더 많아서 굴곡이 있기 때문이다.
- 마비정벽화마을 등 노면이 좁고 고르지 못한 구간이 있기 때문에, 저상버스는 투입하지 못한다.
- 앞산순환로 삼성공원아파트 정류장과 대덕초등학교 사이에 있는 주유소 근처에서 잠시 대기한 후 출발한다.
4.1. 지선
4.1.1. 달성군청 방면
달성군청과 신당리, 교항리 안쪽의 본리리 무지개마을아파트(금계초교)로 들어가는 노선으로, 사실 달성군청은 600번[7] , 623번, 655번같은 간선노선들이 있어서 달성군청으로 가기 위해 굳이 이 노선을 타는 경우는 적다. 대신 옥포읍 신당리가 메인 타깃이다. 836번 시절부터 본래 신당리 착발 가지노선이 있었지만, 신당리에서 금포리로 곧바로 내려가게 변경되어 현재 신당리는 중간 경유지로만 이용 중이다.
4.1.2. 노이1리(갈실마을회관) 방면
달성군청행의 1일 7회 연장 노선이다. 노이1리 갈실마을회관으로 들어가는 노선으로, 특정 시간대에는 의외로 수요가 있다. 1일 1회 시내 방향에 한해 옥포읍 교항리에서 선녀곡 대신 신당리 및 본리리 무지개마을 아파트(금계초등학교)로 들어가며, 그 외 시간대에는 교항리에서 5번 국도 직통이다.
2016년 4월 7일부터 금포초등학교와 세한여객 차고지 사이에 정류장 2개소 신설과 함께 623번의 세한여객 차고지 승하차가 허용되면서, 금포리와 만나는 지점인 노이3리에는 623번이 풀 타임으로 운행한다. 따라서 노이3리 차고지에는 623번과 달성2번(노이1리 갈실마을행)이 모두 정차했다.
하지만 2017년 4월에 세한여객이 유곡리공영차고지로 이전하고 623번이 금강로에 들어가게 되면서 이 구간에는 다시 달성2번만 다니게 되었다.
4.1.3. 용연사 방면
간경리에서 기세리로 진입해 용연사로 가는 노선이다. 용연사는 이 노선 외에도 600번 유가사행(주말휴일 노선), 달성5번이 경유한다. 그 중 600번 주말휴일 노선은 달성2번처럼 간경리 및 기세리로 운행한다.(달성5번은 명곡리의 귀남지 경유) 여름에 용연사 계곡에 찾아오는 사람들의 수요가 많으며, 보통은 한산한 노선이다.
막차는 용연사종점에 들어갔다가 나온 후, 간경리 삼거리로 돌아와서 운행을 종료하고 회송한다.
4.1.4. 마비정벽화마을 방면
달성2번 버스에 보면 마비정 벽화마을을 홍보하는 광고가 붙어 있을 정도다. 이 노선은 2009년 이전에는 본리1리행과 본리2리행이 따로 있다가[8] 2009년 개편으로 본리1리행과 본리2리행이 본리2리[9] 로 일괄 통합되었다. 원래는 공기수송을 담당했으나, 2012년 마비정 벽화마을이 조성되고 2013년 런닝맨 촬영 등으로 제법 유명해지자 찾아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마비정벽 화마을 회차지는 밀려드는 차량들과 주차 차량들 때문에 회차가 힘들며 마비정 벽화마을 방문객 외에도 등산객[10] 들이 뒤섞여 휴일이나 공휴일에는 대곡역까지 입석이 가끔 생긴다.
달성2번의 다른 지선보다 운행구간이 짧지만, 운행시간은 다른 지선과 똑같은 시간이 주어진다. 그래서 운행시간도 많이 남아도는 듯하다. 특히 836번이 본리리로 운행했을 때에는, 836번의 다른 지선 구간보다 운행시간이 남아도는 꿀노선이었다고 한다(특히 본리2리 쪽 좁은 길도 경유하지 않는 본리1리 종착 차량이라면 더더욱).[11]
4.2. 폐지된 지선
4.2.1. 가야대학교 방면
달성군청 - 논공예비군훈련장 - 삼리리 - 위천삼거리 - 득성리 - 성산면 - 기족리 - 고령터미널 -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구간을 운행했다. 원래는 달성2번 차량이 한 번씩 돌아가면서 운행하다가, 2009년부터는 저상버스 1대만 고정으로 운행했다.
달성2번의 가지노선 중 하나로, 1일 9회 운행했고 야간 막차 한정으로 달성중학교까지 연장 운행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고령읍(대가야읍)내까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였으며[12]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가장 서쪽으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그러나 가야대학교가 2003년에 김해시 삼계동으로 이전하면서 고령캠퍼스에는 학생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정작 가야대학교 수요는 거의 없었고, 결국 2012년 6월 16일에 폐선되었다.[13]
4.3. 시간표
4.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5. 연계 철도역
[1] 606번 농어촌버스에 대항하기 위해 배차간격을 10분대로 하려 했으나, 경일여행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 이 좌석버스 600번이 601번에 통합된 것으로, 이 때 통합된 601번이 현재 600번이다.[3] 이후 달성군청까지 연장했다.[4] 이게 메인 노선이지만 운행횟수는 1일 3회였고, 대덕초등학교 회차 구간을 빼면 836번과 거의 동일해서 별 의미가 없는 노선이었다.[5] 교항리까지 5번 국도를 타고 온 다음 금계초등학교 쪽으로 우회전해서 들어갔다.[6] 본리2리가 본리1리보다 더 안에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본리2리행도 본리1리를 경유했다.[7] 단, 600번은 달성군청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8] 본리1리보다 본리2리가 더 안에 있어서 본리1리를 지나야 본리2리가 나온다. 그래서 본리2리 노선은 당연히 본리1리를 당연히 경유했다. 1998년 개편 이전에는 화원유원지~경북교통 구간을 운행하던 일반버스 31번이 일부 연장 운행하다가 1998년 개편으로 폐선 뒤 836번에 넘어온 노선이다. 이와 별개로 다른 노선들은 836번이 일반버스 32번 시절부터 운행하고 있었다.[9] 2013년 12월 20일 정류소(종점)명이 마비정벽화마을로 변경되었다.[10] 주로 대곡주공아파트 뒤에 있는 삼필봉으로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등산객[11] 836번이 달성군 구간에서 여러 지선노선들을 가졌을 때에도 득성리행을 제외하고는 모두 똑같은 운행시간이 주어졌다.[12] 650번과 달성1번도 고령군으로 들어가지만 다산면까지만 운행하고 대가야읍까지는 운행하지 않는다.[13] 고령군청에서는 이것 때문에 반발하는 민원이 빗발쳤다고 한다. 실제로 대구광역시에서는 승객 과소 노선이였던 이 노선을 진작에 없애려고 했는데 고령군청에서 반대해서 이 때까지 굴린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14] 한마음아동병원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조금만 걸어가면 출입구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