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랜드(놀이동산)
1. 대한민국에 있었던 놀이동산
드림랜드는 서울 강북과 강원도 원주에서 운영하던 놀이동산이었는데, 법인은 (주)드림랜드와 서울드림랜드 두 곳이 있었다.
1.1. 서울 강북구 번동 드림랜드
과거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1] 에 위치했던 놀이동산. 1987년에 개장한 서울 시내 최초의 놀이동산(서울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을 제외하면)으로 1990년대까지 서울 동북부 학생들의 단골 소풍 장소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모기업((주)드림랜드)가[2] IMF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어려움을 겪고 결국 모기업은 부도나서 1999년에 조직폭력배 '서방파' 부두목이 드림랜드를 인수했는데 회사돈을 횡령하여 130억원의 손실을 끼쳤으며[3] 당연히 관리비가 줄어나갔기에 이 시점을 기점으로해서 놀이기구와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 폭력조직 부두목은 2004년에 구속되었지만 계약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4] 2001년 부도났고, 관련 자산은 신규법인 (주)서울드림랜드로 넘겨졌다.
부도 이후 변변한 개보수 작업을 거치지 못한 채 고물 놀이공원(...)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고, 2007년에 계약이 종료되면서 결국 2008년 겨울시즌이 끝나고 바로 폐장한 뒤, 법인은 청산됐다. 사생대회나 백일장과 같은 행사에 많이 활용되던 곳으로, 각 학교에서는 수유동 4.19 국립묘지와 로테이션을 돌리는 듯했다.
필수적인 어트랙션은 웬만큼 갖춘 놀이동산이었으나[5] , 유명한 수도권 놀이동산들과 비교할 만한 규모는 아니었다. 적당히 이것저것 타고 놀다 보면 2시간만에 같은 장소를 돌면서 더 이상 놀 거리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특이한 점이라면 별도로 야외 수영장이 있었다는 점. 다만, 동네수영장 규모로 요즘 유행하는 야외수영장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치는 규모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주변에 사는 어린이들에게는 큰 인기를 구가했다.
여름에 운영하던 야외 수영장의 경우 여타 수영장과는 달리 염소를 뿌리지 않아 약 냄새도 없었으며, 수영장에 '''녹조'''가 자라거나 '''책에서만 보던 수중곤충이 사는 등(...)''' 친환경적인(?) 수영장으로 유명했다. 안에 들어가서 수영하다 보니 몸에 근질거리는 느낌이 들어 물 속을 보니 곤충이 기어가고 있다거나, 물장구를 치다가 손에 뭔가 잡혀서 보니 곤충이 찌부러져 있다거나(...) 당시 아이들도 "약 냄새가 나지 않는 수영장"으로 다들 기억하고 있었을 정도. 더럽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몸에 안 좋은 약을 안 썼다고 선호하는 학부모들도 있었다.[6] 겨울에는 산지를 이용하여 눈썰매장을 운영하기도 했다. 물론, 수영장과 눈썰매장의 위치는 전혀 다른 곳에 있었다.
1990년대 초중반부터 풀밭에 닭과 토끼를 풀어놓아서 아동들이 관찰할 수 있도록 신선한(?) 체험을 제공했다. 드림랜드 내에서는 동물원이라고 자체적으로 불렀는데, 2007년쯤에는 원숭이, 칠면조, 닭, 오리, 토끼, 염소 같은 동물들을 기르고 있었다.
예전에는 도시전설로 놀이기구에 여자의 머리카락이 끼어 얼굴 가죽이 벗겨지고 옆에있던 남자가 그걸 보곤 심장마비에 걸려서 죽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사실 이건 롯데월드 자이로드롭에서 파생된 도시전설로 당연히 거짓말이기에 믿으면 곤란하다. 게다가 롯데월드에서도 그런 사건이 일어난 일은 없었다. 자세한 내막은 롯데월드의 사고사례 참조바람.
[image]
폐장하기 일보 직전인 2007년의 모습(…) 이 시기엔 대부분 시설이 폐쇄됐으며 바이킹 등 몇 가지 시설만 운영되고 있었다. 당시 자유이용권은 '''14,000원'''에 불과했는데, 당시 롯데월드는 자유이용권은 24,000원을 징수했고, 서울랜드는 27,000원을 징수했다. 입장료만 봤을 때, 나머지 두 곳이 비싸게 받는데 비해 여기는 단돈 3,000원만 받았다. 물론 시설이 빈약하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었겠지만....
현재 북서울 꿈의 숲이 있는 곳이 서울 드림랜드 터. 애초 이름부터 옛 드림랜드와 관련이 있다.
서울시내에 있던 테마파크였기 때문에 1990년대 당시 수영복 차림의 여자 연예인들을 내보내는 것이 메인 콘텐츠였던 방송국 주말 예능 프로그램의 단골 촬영지이기도 했다. 특히 1992년 청순함을 무기로 내세웠던 아이돌 가수 하수빈이 이곳의 야외 수영장 특설무대에서 방영된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여름특집 편을 통해 데뷔를 했다. MBC가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당시 방송 영상
덤으로, 지구용사 벡터맨 일부 촬영을 이 놀이공원 회전목마에서 했다. 일명 순간이동 괴인..
1.2. 원주 치악산 드림랜드(어메리칸 드림랜드)
치악산 드림랜드는 서울 드림랜드를 운영하던 (주)드림랜드가 1996년 4월에 원주시 소초면에 조성한 놀이동산이다. 원래 제 2의 드림랜드였는데, 2008년부터 2015년까지는 본진이 되었다. 舊 드림랜드의 놀이기구 중에서 몇 개가 그리로 갔다는 듯.
하지만 (주)드림랜드의 경영권이 1999년에 조폭에게 넘어가면서 갖가지 폭력사건이 터져 기사를 장식하더니만, 직원 및 사육사들에게 급여를 주지 않아 파업이 잦았으며 영업정지까지 당했었다. 이런 여러가지 천신만고 끝에 겨우 버티고 있었다고 한다.
2012년 3월 25일에 방영한 TV동물농장에서 치악산 드림랜드 동물원을 취재한 게 나와서 충격을 안겨주었다. 그야말로 유령도시같은 동물원에 얼마 남지 않은 동물들은 굶주림과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72종 760마리가 넘는 동물이 한때 있었으나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곰에게 '''개사료'''를 주는 모습까지 나왔다.[7] 몇몇 동물들은 이후 다른 동물원으로 가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고 먹이도 공급받았지만 2013년 1월 동물농장에서 다시 가보니 여전히 상당수 동물은 그대로 방치되어 죽어가고 있었다.
결국 동물원을 비롯한 모든 시설이 새단장에 들어갔고, 2013년에는 신규법인 어메리칸드림랜드로 넘어가 5월 4일 동일 명칭으로 재개장했다. 어메리칸 드림랜드는 미국풍으로 재조성했는데, 그래서 재개장 한 달(2013년 5월)동안은 방문객이 많았지만, 재개장 한 달 이후에는... 위치도 그렇고[8] 영업과 매출이 날로 갈수록 시망. 2013년 여름부터 새로 설치한 글램핑 사업을 주력으로 미는 듯했지만, 결국 2015년 10월 28일에 놀이공원, 수영장, 동물원, 글램핑 싹 다 폐장하였다. 아메리칸 드림랜드 자리에는 드라마 세트장이 들어선다고 한다. 치악산 드림랜드마저 없어지면서 대한민국에서 드림랜드는 완전히 사라졌다.
2017년 기준 드라마 세트장 유치는 실패하였고, 현재까지 주요 시설이 철거된 상태로 방치중이다. #
2. 일본에 있던 놀이동산
2.1. 나라 드림랜드
일본 나라현 나라시 호렌사호야마 2초메 1-1에 있던 놀이동산으로 일본드림관광에서 운영하였으며, 1961년부터 2006년까지 영업을 하였다. 원래는 이 나라 드림랜드가 일본 디즈니랜드가 될 예정이었지만, 개장 직전 일본드림관광과 월트 디즈니 사이에 로열티 배분 문제 때문에 디즈니가 발을 빼버렸다. 그렇다고 사업을 되돌리기엔 이미 공원이 거의 다 완공된 상황이라 디즈니 캐릭터들만 빼버린 다음 대충 수습하고서 드림랜드로 개장한 것. 개장 초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는 그야말로 잘나갔으나[9] 1980년대 버블경제 속에서 진짜 디즈니랜드를 다녀온 사람들도 늘어나더니 기여코 '''도쿄에 진짜 디즈니랜드가 개장'''하면서부터 관광객이 줄기 시작해 내리막길을 걸었다. 그 후에도 어찌 버티는가 싶더니 2000년대 들어서 인근 오사카에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까지 개장하자 더이상 버티지 못한 채 폐장했다.[10] 이후 나라현에서 드림랜드의 부지를 경매에 내놓았으나 그 어느 기업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image]
이젠 풀숲이 우거진 곳이 되었다. 이렇게 폐장한 이후의 풍경을 찍은 사진이 대한민국 웹에도 돌아서 호기심을 끌고 있다.
그렇게 수년동안 방치되다가 2016년부터 2017년 말까지 철거하였다.
놀이공원이 폐장 후 방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우리나라의 용마랜드와 비슷하다.
2.2. 요코하마 드림랜드
[image]
위 나라 드림랜드와 같은 회사가 운영하던 드림랜드가 요코하마에도 있었다. 1964년에 개장하여 2002년 2월에 문을 닫았다.
사실 이곳이 폐장된 이유는 다름아닌 드림랜드선 때문이다. 애당초 도쿄에서 오는 손님들을 수송하기 위한 교통대책이었으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노선의 영업이 중단되었고 이로 인하여 접근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관람객수 급감으로 인하여 폐업된 것. 특히나 도쿄에서 근거리에 디즈니랜드가 생겨난것이 결정적인 타격이 되었다. 참고로 드림랜드선은 폐장 후 무려 '''30여년'''간 방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드림랜드선 항목 참조.
특이하게도 부동산 개발회사에서 개발했기 때문에 공원부지중 일부를 맨션단지와 호텔로 지어 주택가 한복판에 테마파크가 들어선 형태였다.
이 곳은 폐업 이후에 나라 드림랜드처럼 방치되지는 않고 시에서 인수하여 2006년에 개교한 요코하마 약학대학과 시립 화장장과 공동묘지가 들어섰다. 사진 중앙에 보이는 높은 탑 형태의 호텔 엠파이어만 유일하게 철거되지 않았고, 현재는 어느정도 대수선을 통하여 요코하마 약학대학의 도서관으로 쓰이고 있다.
[1] 개장 당시 도봉구 번동. 1995년에 분구되었다.[2] 원래 사명은 '일우공영'이었는데, 1971년에 이식재 창업주가 세워 1996년에 원주드림랜드를 개장하면서 (주)드림랜드로 사명을 바꾸었다.[3] 비슷한 사례로는 생수업체 케이비물산(구 태창)이 있다. 이 회사는 원래 '빅맨'으로 유명한 속옷회사였다.[4] 위에서 말했듯이 드림랜드는 20년 동안 계약을 맺었다.[5] 일단 바이킹과 회전목마, 롤러코스터, 범퍼카, 유령의 집은 기본으로 있었다. 회전목마와 바이킹, 디스코 팡팡을 비롯하여 6개 정도의 어트랙션은 2007년 가을까지 운영되었고, 나머지는 그 이전에 운영중단 되었다. 드림랜드의 롤러코스터는 2개가 있었는데 하나는 제트코스터로 일반 롤러코스터였고 다른 하나는 아토믹 코스터라고 레일 끝까지 갔다가, 원점으로 다시 역주행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롤러코스터였다.[6] 근데 사실 저런 수영장 물은 소독을 안 해서 '''수질 관리가 안된 채로 방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몸에 좋을 리가 없다(...) 녹조나 곤충이 있다는 건 고여있는 물에 기생충도 얼마든지 산재한다는 뜻이니 차라리 소독을 제대로 한 물이 더 나은 게 당연지사. [7] 곰뿐만 아니라 동물원에 있는 다른 동물들에게도 모두 '''일괄적으로''' 개사료, 그것도 품질이 그다지 좋지 않은 저가 사료를 공급하고 있었다.[8] 원주시 동쪽 끄트머리에 있었다. '''원주시내보다 횡성읍이 더 가까운 수준'''이었고, 원주시내로 가는 41번의 배차간격은 30~60분 간격인지라 원주시내에서의 접근성도 좋은 편은 아니었다.[9] 어찌 보면 당연한게 초기 공원 디자인부터 시작해서 어트랙션 상당수가 '''애너하임의 디즈니 설계팀'''이 설계해준 것이었어서, 경제 부흥기라지만 애너하임의 진짜 디즈니랜드를 갈 돈까진 없었던 일본 서민층에겐 이정도만 해도 충분했다.[10] 1970~80년대 대표적인 추억의 장소였음에도 폐장일 당일 관객이 거의 없을 정도였는데, 하필하면 행사 직후 비가 쏟아지면서 그 손님들까지도 다 나가버리는 대참사가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