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립간
1. 개요
麻立干
신라에 있었던 군주의 칭호.
2. 소개
신라 고유의 군주의 칭호. 경주 김씨의 왕위 독점과 중앙집권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내물마립간대부터 6대에 걸쳐 약 150여년 간 사용되었다. 의미는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하지만 간(왕) 중의 으뜸, 즉 왕중왕과 비슷한 의미로 보이며, 이전에 쓰이던 이사금이 연장자, 현자라는 정도의 애매한 권위만 있던 칭호란 것을 감안하면 이전보다 왕권이 강해졌음을 환기시키기 위한 의도의 명칭 변경인 듯 하다.
광개토왕릉비, 중원 고구려비,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서는 신라왕을 '매금(寐錦)'이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어차피 마립간 자체가 고유어를 음차한 표기이므로 이 매금도 마립간의 다른 표기일 가능성이 높다. 중세국어에서 '애'를 '아ㅣ'로 읽은 것을 감안하면 이 당시에는 '마ㅣ금'과 비슷한 발음이었을 수 있으며, 이는 '마립간'과 비슷한 발음이었을 것이다. 일본서기의 진구황후 관련 기록에도 나온다.[1]
'매금'이 마립간과 같은 말이 아니라 신라왕을 비하하기 위해 사용한 멸칭이라는 설도 있다. 광개토왕릉비나 중원 고구려비, 일본서기 신공황후조에서 고구려인이나 일본인, 즉 신라 외부인의 시각에서 신라왕을 매금이라고 부르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근거로 한 주장이다.
하지만 통일신라대 최치원이 지은 봉암사 지증대사비에는 '''편두하신 존귀한 매금'''(
그리고 2017년 11월에 시행된 2018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역사 1차 2번 문제('동부여'를 물어본 문제)에 매금의 뜻을 '마립간을 부르던 당시의 명칭'이라고 정의한 각주가 제시됐다. 사실상 멸칭설은 과거의 이야기가 되었다.
3. 의미
의미는 이런저런 설이 있다. 《삼국사기》 눌지 마립간의 기록에 남아있는 각주에 따르면 "김대문이 말하길, 마립(麻立)은 신라 방언으로 말뚝을 일컫는 말이며, 말뚝은 협조(諴操)[2] 를 뜻하는데 이것은 위계(位階)에 따라 계급을 정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왕의 말뚝이 기둥을 뜻하고 신하의 말뚝은 그 아래를 지탱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문에 왕의 명칭으로 마립간이라고 사용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앞서 거서간에도 들어갔던 '간(干)' 자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북아시아 유목민족의 호칭 칸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사실 마립간 말고도 신라 상대의 금석문이나 삼국사기, 일본서기 등 여러 사료에서 진한, 변한 지역의 왕급 인사가 무슨무슨 간(干)으로 칭해지는 경우가 많다.[3] 예를 들면삼국사기 신라본기 파사 이사금 23년조에 나오는 '음즙벌주(音汁伐主) 타추간(陀鄒干)'의 사례이다. 또한 경주의 성읍국가 사로국이, 영역을 가진 고대국가 신라로 발전하면서 행정 조직을 정비할 때, 촌(村)의 유력자에게 간(干)이라는 칭호를 부여한 것도 이런 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마립'이라는 말은 머리, 대청마루, 고개마루 등의 용례에서처럼 '으뜸', '우두머리'라는 뜻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마립간이라는 호칭의 의미는, '간들의 우두머리', 곧 '간 중의 간'이 된다. 이는 타 문화권에서도 종종 쓰이는 왕중왕과 같은 형태이고, 이전의 이사금이라는 호칭과 비교할 때 무게감이 압도적으로 다르다. 이사금은 연장자에 대한 호칭에서 유래한 만큼, 도시국가 사로국의 우두머리에 대한 호칭으로 알맞았다. 그러나 사로국은 영역국가 신라로 진화했고, 단순히 '연장자'라는 호칭이 아닌 '간 중의 간'이라는 새로운 호칭이 우두머리에게 필요해진 것이다.
그리고 '간 중의 간' 마립간이 다스리는 영역국가 신라는, 과거의 도시국가 사로국처럼 여러 씨족이 돌아가며 우두머리를 해먹는 사례가 사라졌고, 한 씨족이 지배하는 '왕조국가'로 존속하게 된다.
별외로 유목민족을 조상으로 둔 헝가리에 마립간과 비슷한 발음의 '마리크'라는 단어가 있는데 뜻은 영웅이라고 한다. 아랍에서는 '말리크'라는 군주의 호칭이 있다. 이런 단어들과 마립간이 같은 어원에서 왔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4. 마립간 칭호를 사용한 군주
- 17대 내물 마립간 - 삼국사기에는 이사금, 삼국유사에서는 마립간으로 기록되어 있다.
- 18대 실성 마립간 - 위 내물 이사금과 같이 삼국사기에는 이사금, 삼국유사에는 마립간이다.
- 19대 눌지 마립간
- 20대 자비 마립간
- 21대 소지 마립간
- 22대 지증 마립간 - 마립간으로 즉위해 재위 중 군주의 칭호를 중국식 왕(王)으로 바꾸었다.
- 23대 모즉지 매금왕 - 사서에서는 마립간이 아닌 왕으로 되어있지만 봉평비 등 금석문에서 '매금왕'으로도 칭해지는데 이 말은 마립간과 같은 말일 가능성이 있다. 아직 지증왕이 칭호를 바꾸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혼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51대 매금지존 - 한자로는 寐錦之尊으로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에서 발췌. 모든 신라왕을 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5. 가상매체
5.1. 판타지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에 나오는 군주의 칭호
어원은 당연히 위 항목에서 따왔다. 아라짓 왕국이 무너진 이후 성주, 영주, 족장 등과 더불어 군웅의 한 축으로 묘사된다. 다만 역사상 존재했던 마립간의 위상과 달리, 소설속에서는 일정한 지역을 지배하는 가문의 지배자로 나오며 역사상 마립간보다는 권력이 약한 모습으로 나온다. 즉, 소설의 설정에서 마립간이 있는 지역은 마립간이 속한 가문이 공식적인 지배자이고, 마립간은 그 가문의 대표일 뿐으로 나오며, 만일 가문에서 마립간을 내치거나 제재를 가해도 가문 내의 일이라 왕을 제외하면 누구도 간섭할 수 없다는 식으로 나온다. (물론 작중 설정에서 권능왕 이후 북부에서는 왕이 없는 관계로 사실상 누구도 뭐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작중에 마립간이 대표로 나오는 지역은 자보로, 판사이가 있고, 지그림 자보로와 베미온 굴도하가 마립간으로 나온다.
피를 마시는 새에서는 아라짓 제국에 합병되지 않은, 통일의 반대자인 림츠의 마립간 쿨리산 시그린트가 있었고 본래는 아들인 페온 시그린트가 오를 예정이었으나 원시제의 개입으로 쿨리산의 조카인 스레빈 시그린트가 마립간에 올랐다. 이후 림츠는 아라짓 제국에 편입되고 스레빈 시그린트는 림츠 후의 후작이 된다.
역사상의 마립간보다 서양 판타지의 공국을 로컬라이징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1] 일본서기에서의 독음은 무키무(ムキム).[2] 자리를 정하여 둠[3] 참고로 금석문에서는 '~간지' 혹은 '~간기'라고 써있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지'는 之, 支, 知, 智 등의 한자로 표기된다. '~님'과 같은 의미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