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역사문화공원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690호

'''691 - 1 ~ 8호'''

692호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 석고상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1. 개요
2. 역사
3. 망우리공원에 묻힌 인물들
3.1. 공원묘지
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4.2. 지하철
5. 기타


1. 개요


구 망우리 공동묘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570 (망우동)[1]에 위치한 종합장사시설이다. 산으로서의 명칭은 '망우산'이며, 정상구간의 높이는 282m. '공동묘지'라는 이름이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 망우리공원으로 개칭된 후 다시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개칭되었다.
한마디로 '''추모공원'''이다.
서울시설공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장례식장은 물론 공동묘지가 한 곳에 위치해있다. 다만 다른 추모공원들과 다르게 화장장, 봉안당은 없다.[2]

2. 역사


전통적으로 서울의 공동묘지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
1933년 2월 2일에 미아리 공동묘지가 조만간 매장 종료될 것에 대비해 경기도 양주 망우리 임야 700,000평을 경성부의 공동묘지로 결정했고, 1933년 5월 27일에 망우리 묘지가 개원했다.
1973년 3월 25일에 망우리 공동묘지에 28,500여기의 분묘가 가득차 더 이상 묘지 쓰는 것이 금지되었고, 1973년 5월에는 매장이 종료되었다.
망우리 공동묘지의 전성기 때는 지금의 경기도 구리시 망우리고개(딸기원 주변)까지 무덤이 들어차 있었으나 지속적인 이장을 추진해 현재는 과거에 비해 범위가 많이 축소되었다.
이후 망우리 공동묘지는 이장과 정비를 통해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조성되었다. 2013년에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별도로 여긴 과거 독립운동가들의 사망후 장지로 쓰인 일이 많았으며, 한용운, 방정환, 이중섭 등 유명인들이 묻혀 있다. 특히 방정환의 경우, 현재 어린이날 관련 행사로 찾는 일이 많아졌다(주로 어린이날 당일, 방정환을 추모하기 위해 찾는다). 단 이곳에 있는 이중섭의 유해는 절반. 나머지 절반은 일본의 처가묘에 합장돼 있다.

3. 망우리공원에 묻힌 인물들


  • 오세창 : 독립유공자
  • 문일평 : 독립유공자
  • 방정환 : 독립유공자
  • 오기만 : 독립유공자
  • 서광조 : 독립유공자
  • 서동일 : 독립유공자
  • 오재영 : 독립유공자
  • 유상규 : 독립유공자[3]
  • 박인환 : 시인
  • 안창호: 실제로는 가묘로 남아 있다. 안창호가 자신을 망우리 공원에 있는 유상규의 무덤 옆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기 때문이다. 유해 자체는 도산공원으로 이장.
  • 이중섭
  • 장덕수
  • 조봉암
  • 한용운 : 독립유공자

3.1. 공원묘지


총 50,000구의 시신이 매장 가능한 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나, 1980년 분양이 완료되어 현재는 매장 불가.
단, 개장 또는 이장[4]하여 빈 자리가 생길 경우 분양 가능.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인해 최초 매장 후 15년 간, 10년 씩 3회에 한하여 연장이 가능하다.[5]

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경춘로 경유노선인 30, 65, 201, 51 등을 이용하여 딸기원 정류장에서 하차 후 금란교회 방면으로 가면 진입로가 있다. 특히 51번이용 시 가변 정류장[6]으로 다니므로, 좀 더 가깝게 하차 가능. 아니면 동부제일병원 정류장에서 내린 뒤 구리 방면으로 걸어가도 된다(청량리역에서 찾아가는 기준).
이 외에도, 아래에 언급되는 용마랜드 뒷편으로도 진입로가 있고, 서일대학교 뒷편[7]으로도 진입로가 있어 이쪽으로 연계하는 노선인 2227, 242(삼용사입구 하차)와 271번, 1213번, 2013번, 2230번, 중랑02번(용마문화복지센터/경성여객 종점 하차)[8] 등을 이용해서도 찾아갈 수 있다.

4.2. 지하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원역[9]

5. 기타


근처에 용마공원이 있다. 당연히 용마공원은 공동묘지가 아니라 그냥 평범한 공원에 놀이동산까지 딸린 곳이다.
아차산에서 용마산으로 가는 방면에서 양원역방면으로 갈시 이곳을 거치게 된다. 즉, 여기랑 용마산, 아차산은 서로 연계가 되므로 서울에선 2010년대 이후 둘레길로 조성했다.
망우역사문화공원 동편 끝 구리시 교문1동 망우고개 쪽에는 달동네인 딸기원상덕마을이 있다. 망우역사문화공원 부지에 포함되지 않은 묘지가 산재해 있는 공동묘지 옆 달동네로, 빈민들이 망우리 공동묘지 옆에 판자집을 짓고 살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도 망우산(망우역사문화공원)이 공개되었다.

[1] 정확히는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하고도 걸쳐져있다.[2] 과거 서울의 화장장은 서대문구 홍제동 고은초등학교에 있었다.(지금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으로 이전.) 그리고 이때 당시는 대한민국 국민들 절대다수가 매장을 자유롭게 했기 때문에 정말 극빈층들이나 화장을 했기에 서울 시내에 봉안당은 있을 수 없었다.[3] 문화재청에서는 오세창부터 유상규의 묘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691 - 1호부터 8호까지 지정했다.[4] 기존에 매장되어 있던 시신을 다른 곳에 옮겨 매장하거나, 유골을 화장하여 처리하는 것.[5] 즉, 최장 45년 간 매장이 가능하다. 이후에는 개장하여 딴 데 갖다 묻거나 화장하여야 한다. 기한 다 되었어도 유족이 안 파 가면 지지체에서 직권으로 파서 화장해 버린다. 그렇다고 유교 전통 국가에서 그냥 막 파다 버리는 건 아니고, 관할 지자체 발행 관보/인터넷 사이트에 언제까지 파 가라는 분묘 개장 공고가 실린다.)[6] 이 노선이 정차하는 딸기원 정류장은 딸기원서문으로, 남일주유소 근처에 있다.[7] 정확히는 경성여객 본사 뒷편. 다만, 용마랜드 뒷편길은 진입하는 데에 있어선 불편하다.[8] 중랑02번은 마을버스라 여기가 '서일대' 정류장으로 표기.[9] 2번 출구에서 망우리공원까지 1.3km(20분 거리)이다. 현재는 여기로 쉽게 갈 수 있게끔 육교도 조성했으며, 이 육교는 차량통행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