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층

 


1. 개요
2. 대한민국
2.1. 무당층이 많은 지역 : 충청도, 인천광역시
2.2. 무당층이 많은 세대 : 20대
3. 타국
3.1. 일본
3.2. 미국



1. 개요


특정 정당을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을 총칭하는 말로 다른 말로 '''부동층''', '''숨은 표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선거 때만 되면 각 정당이 이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의 특징은 투표 성향이 매우 유동적이라는 점이다. 그 때문에 매번 선거 때마다 변수로 떠오르곤 한다.
현실적으로 양당제 상황에서의 콘크리트 지지층의 조직력과 소선거구제의 특징으로 인해 제3지대 정당은 얼마못가 와해되고, 제3지대 정당을 지지했던 지지층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민주당계 정당 중 한쪽을 선택하거나 대안이 없다며 투표 자체를 포기하게 된다.[1]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 무당층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2005년으로, 무당층 비율이 '''60%'''에 달하였다.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국회에서 사분오열을 하며 지지율이 떨어졌으며, 야당인 한나라당은 노무현 탄핵으로 지지율이 떨어진 상태에서 여당을 견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당층은 두 분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통적 무당층과 인지적 무당층이다. 전자는 정당들과 정치인들에게 환멸을 느끼고 투표를 포기한 상태이고, 후자는 지지정당이 없을 뿐 정치에 대한 관심도는 높기 때문에 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다만 세부적으로 집계해본 결과 상당수가 ‘당분간 지지 정당을 정하지 않겠다’(55.8%)고 대답하는 동시에, ‘조만간 지지 정당을 정할 것’이라는 의견(22.6%), ‘잘 모르겠다’(21.6%)는 답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60.5%)에서 ‘지지 정당을 정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왔다. 관련기사 즉 무당층 계층중에서는 판단을 유보한 사람들보다는 자포자기하고 투표 포기를 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더 높은 셈이다.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갤럽 여론조사에서 무당층이 높게 나온 동시에, 21대 총선에서 투표율이 낮게 나온 20대가 해당된다. 근거 자료

2. 대한민국



2.1. 무당층이 많은 지역 : 충청도, 인천광역시


무당층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도[2]와 충청도 출신 상경민이 많은 인천광역시[3]다.
이들인 경우는 서울특별시,경기도[4], 낙동강 벨트[5]와 마찬가지로 대통령 선거에서나 국회의원 선거에서나 지방선거에서나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의 격전지로 유명하며, 여기서 이기는 정당이 1당이 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보수고 진보고 상관없이 많이 유세를 다니는 지역이자 화제가 되는 지역이였다.
이렇게 된 데에는 충청권 보수정당의 몰락이 결정타였다. 특히 대전광역시충청남도[6]에선 이 경향이 더 짙게 나타났다. 이 곳에서는 자유민주연합의 전성기인 15대 총선,16대 총선,17대 총선[7],18대 총선만 해도 자유민주연합이 제1정당이였지만, 충청권 보수정당이 몰락한 19대 총선 때는 자민련의 후신격인 자유선진당이 충남에서 3석을 얻는 데 그쳤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8]
양당 체제로 흡수된 이후의 충청도, 그리고 강원도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경권[9][10]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인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처럼 우촌좌도에 가깝다.

2.2. 무당층이 많은 세대 : 20대


다른 세대보다 유난히 무당층이 많은 세대이다. 위 조사에 따르면 20대 평균 무당층은 '''52%'''이다.
사실 박근혜 정부 시절이었던 2015년에도 20대의 무당층 비율이 많았는데, 무려 46%였다. 즉 거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였던 셈이다.#, 사실 이렇게 되었던 것 역시 기성 양당에 대한 혐오감이 제일 컸다.[11]

3. 타국



3.1. 일본


무당층이 '''극단적으로 많은 곳'''이 바로 일본이다. 실제로 일본/정치의 비판 문서를 봐도 알겠지만, 국민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 심해서, 무려 '''50%'''까지 부동층이 나올 때가 많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안보투쟁의 실패와 거품경제 붕괴 이후 잦은 총리 교체[12], 그리고 민주당 때의 대형 참사로 인한 실망감 때문이다.

3.2. 미국


강고한 공화당, 민주당 양당 체제를 자랑하는 미국이지만 미국의 무당층도 굉장히 많다. (매일경제)미국서 늘어나는 무당층…갤럽 "미국민 42% 지지정당 없어", 실제로 미국의 투표율이 50% 중반으로 선진국에선 일본 다음으로 낮은 투표율인데 이렇게 된 이유로 높은 무당층 비율과 강고한 양당제라고 해도 무방하다.
[1] 대선 투표율에 비해서 낮은 총선 투표율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그나마 비례대표제가 있으니 이정도로 격차가 많이 안 나는 것이다.[2] 단, 세종특별자치시는 제외. 여긴 민주당 표밭이다.[3] 계양구, 부평구 같은 서울 통근자들이 많은 지역과 실향민이 많은 강화군, 옹진군 제외. 부평구와 계양구는 민주당의 표밭이였고, 강화군과 옹진군은 보수정당의 표밭이였다.[4] 단 청년층이 많이 유입된 2020년 현재는 강남3구(단, 송파구 일부 지역 제외)를 제외하면 민주당이 우세한 상황이다.[5] 물론 낙동강 벨트는 2000년대 중반 무렵부터 격전지였다.[6] 충청북도15대 총선에서만 충청권 보수정당자유민주연합이 우세했지, 이후부터는 민주당과 보수정당에 이은 제3정당 우세 지역이 되었다. 심지어 13대 총선 때도 민주자유당의 압도석 우세였다.[7] 단, 이 때는 열린우리당이 대전을 싹쓸이 했다.[8] 그리고 자유선진당은 선진통일당이 되어서 새누리당과 합당한다.[9] 사실 청년층이 많은 도시의 지역구에선 범진보 득표율이 어느 정도는 상승했지만, 여전히 보수정당의 철옹성이다.[10] 반면 보수정당의 준텃밭이라고 불린 부울경에선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수도권보단 다소 강하지만(5~10% 정도), 요즘 들어서 민주당세가 상당히 성장해 우촌좌도에 가까워진 상황이다.[11] 실제로 저때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 계파 싸움만 거듭하고 있었고, 이 탓에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대패를 했고, 새누리당세월호 참사 유가족에게 2차 가해를 밥먹듯이 하면서, 박근혜의 실책을 변호했었기 때문이다. 또한 정의당이나 통합진보당레드 컴플렉스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사건등으로 그렇게 좋게 보지 않기도 했고, 그리고 녹색당,노동당 등 기타 정당은 아무 영향력이 없었다.[12] 23년 동안 17명의 총리가 교체되었다. 평균 수명이 1년 3개월인 셈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