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층
無黨層
1. 개요
특정 정당을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을 총칭하는 말로 다른 말로 '''부동층''', '''숨은 표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선거 때만 되면 각 정당이 이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의 특징은 투표 성향이 매우 유동적이라는 점이다. 그 때문에 매번 선거 때마다 변수로 떠오르곤 한다.
현실적으로 양당제 상황에서의 콘크리트 지지층의 조직력과 소선거구제의 특징으로 인해 제3지대 정당은 얼마못가 와해되고, 제3지대 정당을 지지했던 지지층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 중 한쪽을 선택하거나 대안이 없다며 투표 자체를 포기하게 된다.[1]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 무당층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2005년으로, 무당층 비율이 '''60%'''에 달하였다.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국회에서 사분오열을 하며 지지율이 떨어졌으며, 야당인 한나라당은 노무현 탄핵으로 지지율이 떨어진 상태에서 여당을 견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당층은 두 분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통적 무당층과 인지적 무당층이다. 전자는 정당들과 정치인들에게 환멸을 느끼고 투표를 포기한 상태이고, 후자는 지지정당이 없을 뿐 정치에 대한 관심도는 높기 때문에 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다만 세부적으로 집계해본 결과 상당수가 ‘당분간 지지 정당을 정하지 않겠다’(55.8%)고 대답하는 동시에, ‘조만간 지지 정당을 정할 것’이라는 의견(22.6%), ‘잘 모르겠다’(21.6%)는 답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60.5%)에서 ‘지지 정당을 정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왔다. 관련기사 즉 무당층 계층중에서는 판단을 유보한 사람들보다는 자포자기하고 투표 포기를 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더 높은 셈이다.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갤럽 여론조사에서 무당층이 높게 나온 동시에, 21대 총선에서 투표율이 낮게 나온 20대가 해당된다. 근거 자료
2. 대한민국
2.1. 무당층이 많은 지역 : 충청도, 인천광역시
무당층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도[2] 와 충청도 출신 상경민이 많은 인천광역시[3] 다.
이들인 경우는 서울특별시,경기도[4] , 낙동강 벨트[5] 와 마찬가지로 대통령 선거에서나 국회의원 선거에서나 지방선거에서나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의 격전지로 유명하며, 여기서 이기는 정당이 1당이 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보수고 진보고 상관없이 많이 유세를 다니는 지역이자 화제가 되는 지역이였다.
이렇게 된 데에는 충청권 보수정당의 몰락이 결정타였다. 특히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6] 에선 이 경향이 더 짙게 나타났다. 이 곳에서는 자유민주연합의 전성기인 15대 총선,16대 총선,17대 총선[7] ,18대 총선만 해도 자유민주연합이 제1정당이였지만, 충청권 보수정당이 몰락한 19대 총선 때는 자민련의 후신격인 자유선진당이 충남에서 3석을 얻는 데 그쳤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8]
양당 체제로 흡수된 이후의 충청도, 그리고 강원도는 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경권과[9][10]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인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처럼 우촌좌도에 가깝다.
2.2. 무당층이 많은 세대 : 20대
다른 세대보다 유난히 무당층이 많은 세대이다. 위 조사에 따르면 20대 평균 무당층은 '''52%'''이다.
사실 박근혜 정부 시절이었던 2015년에도 20대의 무당층 비율이 많았는데, 무려 46%였다. 즉 거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였던 셈이다.#, 사실 이렇게 되었던 것 역시 기성 양당에 대한 혐오감이 제일 컸다.[11]
3. 타국
3.1. 일본
무당층이 '''극단적으로 많은 곳'''이 바로 일본이다. 실제로 일본/정치의 비판 문서를 봐도 알겠지만, 국민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 심해서, 무려 '''50%'''까지 부동층이 나올 때가 많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안보투쟁의 실패와 거품경제 붕괴 이후 잦은 총리 교체[12] , 그리고 민주당 때의 대형 참사로 인한 실망감 때문이다.
3.2. 미국
강고한 공화당, 민주당 양당 체제를 자랑하는 미국이지만 미국의 무당층도 굉장히 많다. (매일경제)미국서 늘어나는 무당층…갤럽 "미국민 42% 지지정당 없어", 실제로 미국의 투표율이 50% 중반으로 선진국에선 일본 다음으로 낮은 투표율인데 이렇게 된 이유로 높은 무당층 비율과 강고한 양당제라고 해도 무방하다.
[1] 대선 투표율에 비해서 낮은 총선 투표율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그나마 비례대표제가 있으니 이정도로 격차가 많이 안 나는 것이다.[2] 단, 세종특별자치시는 제외. 여긴 민주당 표밭이다.[3] 계양구, 부평구 같은 서울 통근자들이 많은 지역과 실향민이 많은 강화군, 옹진군 제외. 부평구와 계양구는 민주당의 표밭이였고, 강화군과 옹진군은 보수정당의 표밭이였다.[4] 단 청년층이 많이 유입된 2020년 현재는 강남3구(단, 송파구 일부 지역 제외)를 제외하면 민주당이 우세한 상황이다.[5] 물론 낙동강 벨트는 2000년대 중반 무렵부터 격전지였다.[6] 충청북도는 15대 총선에서만 충청권 보수정당인 자유민주연합이 우세했지, 이후부터는 민주당과 보수정당에 이은 제3정당 우세 지역이 되었다. 심지어 13대 총선 때도 민주자유당의 압도석 우세였다.[7] 단, 이 때는 열린우리당이 대전을 싹쓸이 했다.[8] 그리고 자유선진당은 선진통일당이 되어서 새누리당과 합당한다.[9] 사실 청년층이 많은 도시의 지역구에선 범진보 득표율이 어느 정도는 상승했지만, 여전히 보수정당의 철옹성이다.[10] 반면 보수정당의 준텃밭이라고 불린 부울경에선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수도권보단 다소 강하지만(5~10% 정도), 요즘 들어서 민주당세가 상당히 성장해 우촌좌도에 가까워진 상황이다.[11] 실제로 저때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 계파 싸움만 거듭하고 있었고, 이 탓에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대패를 했고, 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 유가족에게 2차 가해를 밥먹듯이 하면서, 박근혜의 실책을 변호했었기 때문이다. 또한 정의당이나 통합진보당도 레드 컴플렉스와 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사건등으로 그렇게 좋게 보지 않기도 했고, 그리고 녹색당,노동당 등 기타 정당은 아무 영향력이 없었다.[12] 23년 동안 17명의 총리가 교체되었다. 평균 수명이 1년 3개월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