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 버냉키

 



'''제14대 연방준비제도 의장'''
'''이름'''
'''Ben Shalom Bernanke
벤 셜롬 버냉키'''
'''출생'''
1953년 12월 13일 (71세)
'''출생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노스오거스타 [image]
'''학력'''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 B.A.) (1971-1975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M.A.) (1975-1977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Ph.D.) (1977-1979년)
'''소속'''
(2015년까지)
(2016년부터)
'''경력'''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이사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브루킹스연구소 상임연구원

1. 개요
2. 상세


1. 개요


미국경제학자앨런 그린스펀 의장의 뒤를 이어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했다. 1953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노스오거스타의 유대인 이민가정에서 태어났다. 친가는 우크라이나, 외가는 리투아니아 출신이다.

2. 상세


초창기에는 앨런 그린스펀의 통화완화 정책으로 말미암은 2003년 ~ 2007년의 세계 대호황(골디락스 경제)에 대해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통화흡수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였다. 그러다가 대침체가 터지면서 공격적인 통화완화와 경기부양을 감행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제로금리까지 떨어뜨리고 양적완화 정책까지 밀어붙였다. 다만, 2008년 금융위기 직후에는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났지만 이런 정책이 3년 넘게 지속되면서 효과가 떨어진 게 단점이다.
원래는 세계 대공황 연구를 많이 한 경제학자였다고 한다. 하버드 대학원 거시경제학 과정에서 그의 논문을 거의 반 학기 동안 접할 정도라고. 그리고 일본의 버블 붕괴에 대한 연구도 많이 하여 당시 일본 정부의 정책적 실수들을 지적, ''''자산 붕괴에 대한 공포가 시장에 만연할 때는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과감한 경기부양책을 지체없이 투입해야 한다''''[1]는 결론을 얻게된다. 위에 언급된 2008년 미국 금융위기 때의 양적완화 정책이 이런 취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린스펀 역시 대공황 전문가였던 버냉키를 추천했다고. 아이러니하게도 조지 W. 부시 대통령와의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대공황을 연구한 그의 학술적 배경은 부각조차 되지 않았었다.[2]
그런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지기 직전인 2007년, 이미 모기지 관련 부실이 슬금슬금 지적되고, 이것이 연쇄적 파행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이 높아지자 '그럴 일 없다. 안전할 것이다' 같은 입장을 공개표명흑역사가 있다. 물론 대공황 연구자로서, 그런 위기를 인정했을 때 벌어질 집단적 공포가 파국을 가속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뻥카를 친 것일 수도 있으나, 그렇게 보기에는 당시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할 때까지 이렇다할 대책이 없었다. 따라서 버냉키 본인도 모기지 사태에 안일하게 대응한 일정 책임이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다만 일이 터지고 나서 소방수로서 활약한 공 또한 무시할 수 없다는 정도.
그 유명한 양적완화 정책은 2014년 10월 종료 선언을 하였고, 후임인 재닛 옐런이 금리 인상을 저울질하다가 결국 결국 2015년 12월부터 서서히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이 사람의 정책 덕에 그나마 금융위기가 대공황급 막장으로까지 가지 않고 비교적 수습이 잘 되었다는 게 통설이다. 실제로 버냉키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톤의 정치학, 경제학 논문들은 버냉키가 없었다면 그 어떤 시나리오로도 제3차 세계 대전을 피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양적완화 정책으로 시장에 풀린 자금이 민간투자 쪽보다는 주식시장으로 흘러가면서 실질적인 경기부양 효과는 미미했고 주식을 보유한 부유층과 그렇지 못한 중산층 사이의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고 보는 분석도 있다. #
후임으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재닛 옐런 부의장을 공식 지명했다.
공화당 소속이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화당 대선 후보로 출마한 이후로 공화당을 탈당해서 현재 무소속이다.
2019년 탄소세 도입을 위해 전 연방준비제도 의장들과 함께 탄소세 도입 성명서에 서명을 하였다.



[1] 그는 교수 재직 시절 일본의 버블 붕괴 이후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당시 일본은행의 소극적인 통화정책 탓으로 돌리며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2]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 의장이라는 직책이 위기 대응시에만 필요한 자리도 아니고 '앞으로 크나큰 경제 재앙이 찾아올 것이니 과거에 있었던 비슷한 사례를 많이 연구한 사람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할 사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