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벨트/완구 기믹

 



1. 개요


이 문서는 2019년 현재까지 발매된 역대 가면라이더 변신벨트의 완구 기믹을 기록한 문서이다.

2. 쇼와 라이더



가면라이더(초대) - 타이푼
'''최초의 변신벨트.''' 전원을 켜면 중심에 있는 프로펠러(설정상 풍차지만)가 돌아간다. '''끝.(...)''' 대부분의 쇼와 라이더 벨트는 거의 다 중심의 프로펠러가 끌 때까지 돌아가는 기믹이 전부다.(...) 참고로 컴플리트 셀렉션 버전과 '''포피 버전'''[1]도 있다.

가면라이더 V3 - 더블 타이푼
타이푼의 프로펠러가 두개가 되었지만 크기가 작아지고 날개가 8개에서 6개가 되었다. 그래도 잘 돌아간다.(...)

신 가면라이더 - 토네이도

가면라이더 슈퍼-1 - 싸이클로드

가면라이더 BLACK - 킹스톤

가면라이더 BLACK RX - 선 라이저

3. 헤이세이 라이더



3.1. 가면라이더 쿠우가



헤이세이 라이더 제1작이자 본작의 주인공인 가면라이더 쿠우가변신벨트. 이 벨트의 가장 큰 특징은 양 버클부에 달린 두개의 스피커인데, 스테레오 사운드가 흘러나오는 벨트이다. 그러나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벨트의 길이를 늘리는 것이 불가능해 성인들은 착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2] 그런데 카토 나츠키는 허리가 워낙 가늘어서인지 이걸 착용할 수 있었다. 심지어 인증샷까지 나돌 정도(...).
오른쪽 버클 스피커 상단에 위치한 전원 스위치를 넣으면 기동음이 흘러나오며, 버클 중앙의 LED 양 옆에 있는 4개의 버튼 중 하나를 누르면 각 폼 별로 변신 대기음이 흘러나온다.[3] 그 다음 왼쪽 버클 스피커 상단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버클 중앙의 LED가 발광과 동시에 회전, 그리고 변신 사운드가 흘러나오는 기믹이다. 폼 체인지 역시 같은 방식으로 즐길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발매된 DX 라이징 파워 세트를 버클 부분에 장착함으로서 라이징 폼의 변신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3.2. 가면라이더 아기토


헤이세이 라이더 제2작이자 본작의 주인공인 가면라이더 아기토변신벨트.
기믹상으로는 전작인 쿠우가와 마찬가지로 폼 체인지 기믹을 즐길 수 있으며, 트리플 플래시라는 이름 답게 버클 부분 전체가 3개의 LED 기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를 넣으면 버클 왼쪽과 오른쪽의 LED가 번갈아가면서 발광하면서[4] 아기토 특유의 변신 대기음 사운드가 흘러나오며, 양 사이드의 버클의 패널을 동시에 누르면 중앙의 LED가 발광 및 회전하면서 변신 사운드가 흘러나오는 구조이다.
폼 체인지 기믹은 양 사이드의 패널 중 하나를 누르면 중앙과 좌우의 LED가 발광 및 회전하면서 발동하며, 왼쪽 패널을 누르면 스톰 폼, 오른쪽 패널을 누르면 플레임 폼 기믹이 발동한다. 단, 이 기믹 때문인지 전작인 쿠우가의 변신벨트와 마찬가지로 사이즈 조절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숨겨진 기믹으로는 버닝 폼 & 샤이닝 폼 전용 무기인 '샤이닝 칼리버'에 동봉된 버클 파츠를 벨트 중앙에 꽂음으로서 버닝 폼 & 샤이닝 폼 변신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길스와 마찬가지로 변신 세트의 부속품으로 발매. 그러나 길스처럼 효과음 기믹이 있는 것도 아닌 그냥 허리에 차고 끝. 극중에서와 같은 배터리 잔량 표시 기믹도 없다(...).
길스도 비록 변신 세트에 동봉된 형식이긴 하지만 존재한다. 다만, 아기토와 같은 다양한 기믹은 없다. 버클 중앙 상단에 위치한 전원 스위치를 넣은 뒤,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기동음이 흘러나온다. 끝(...).

3.3. 가면라이더 류우키


  • 극중 등장하는 모든 라이더 - V버클 / 변신벨트 V버클.
헤이세이 라이더 제3작이자 본작의 주인공인 가면라이더 류우키변신벨트.
구성으로는 V버클과 류우키와 나이트 졸다의 카드 덱과 전용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5] 전원 스위치는 버클 상단에 위치.
원하는 카드 덱을 골라서 벨트에 넣으면 변신음이 울리고 오른쪽에 있는 카드덱을 뽑으면 작게 튀어나온 휠이 눌려서 사운드가 재생되는 방식이다. 그 외 기능은 전무하다. 참고로 국내에 최초로 정식 발매된 변신 벨트 세트이며 투니버스에서 가면라이더 드래건이 절찬 방영했을 당시 광고도 매우 자주 나왔다.

3.4. 가면라이더 555


무기로도 변형이 되는 휴대폰이라는 특성상 버튼 조합에 따라서 변신과 총격음, 바이크 소환음 등의 기믹이 탑재되어있다. 이건 델타를 제외한 모든 드라이버 공통. DX 더블 드라이버가 판매량을 갱신하기 전까지는 역대 변신벨트 중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던 변신벨트이기도 하다.
파이즈 계열 변신벨트 중 유일하게 폰 타입이 아니고 음성 인식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음성인식이라고 해도 실제 단어를 인식하는 정도는 아니고, 소리로 인한 진동으로 발동되는 방식. 실제로 스피커를 몇번 살짝 두들겨주는 것만으로도 기믹이 발동되며, 심지어 안테나를 조작해주는 것만으로도 기믹이 발동된다.
사이가&오가는 기본적으로 파이즈 드라이버 베이스라서 변신음 버튼 배치 이외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단, 오가 드라이버의 경우는 특유의 늑대 울음소리같은 변신음이 재현되어 있다.

3.5.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버튼은 버클 상단에 위치해 있다. 사용법은 라우저 카드를 넣고 벨트를 연결하면 변신 대기음이 흐르는데, 이 상태에서 왼쪽에 달린 손잡이를 당기면 카드가 꽃힌 패널이 회전하여 변신음이 재생된다. 사실 해당 절차를 무조껀 진행해야만 가능하도록 설계되지 않아서 모조리 스킵하고 손잡이만 당겨도 되며, 라우저 카드 세팅 기능은 아무런 변화가 없는 장식인데다 LED같은 시각적 효과도 없는지라 역대 변신벨트 중에서도 가장 완성도가 낮다. 이는 카리스 라우저를 제외하는 모든 변신벨트가 해당된다.

본작에 등장하는 라이더들과 달리, 이 쪽은 벨트이면서 라우저도 겸하고 있다.[6] 그래서인지 다른 라이더들과 달리 다양한 음성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라우저 부분만 따로 떼어내서 전용 무기인 카리스 애로우에 장착, 연동시킬 수 있다.
전원 스위치는 버클 상단부에 위치해 있으며,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켜면 무제한 모드인 A모드,[7] 왼쪽으로 켜면 번조 모드인 B모드가 되며,[8] 각 모드마다 전원을 넣을 때의 효과음 기믹 또한 다르다. 스페셜 콤보 카드(ex. ♥4+♥5+♥6 = 스피닝 댄스)를 라우즈 한 뒤 버클 왼쪽 상단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스페셜 콤보 음성이 흘러나온다.
블레이 버클과 동일하다.
사용법은 블레이 버클과 동일하나, 변신음이 다르고 회전하는 방식이 아닌 열어젖히는 구조이다. 그 외에 특징도 같다.

3.6. 가면라이더 히비키


헤이세이 라이더 최초로 벨트를 사용해 변신을 하지 않는 라이더인 관계로[9] 무기와 세트로 묶여서 발매된 음격고에는 변신 기믹이 없다. 대신 DX 음격고 세트에는 보너스적인 요소로 게임 컨트롤러 기믹이 들어가 있다.

3.7. 가면라이더 카부토


젝터 모드와 벨트 모드의 기믹이 전부 젝터에 탑재되어있고 벨트에 장착해야만 벨트 모드의 기믹이 작동 되는 것이 특징. 반대로 말하면 젝터가 없는 벨트는 그냥 장식.
젝터 모드에서는 젝터 오른쪽에 달린 버튼과 뿔을 건드리면 각종 효과음이 재생된다.
젝터를 벨트에 장착하면 "HENSHIN" 이라는 대사와 함께 변신음이 재생되며, 카부토 젝터의 젝터 혼을 살짝 밀면 캐스트 오프 대기음이 나온다. 이 상태에서 젝터 혼을 완전히 반대쪽으로 당기면 날개부가 전개되어 LED가 드러나고 "CAST OFF"라는 대사와 함께 캐스트 오프 음이 나오며 LED가 발광한다.
젝터 위의 버튼 세 개를 누르면 "1, 2, 3"까지 카운트를 세는데, 카운트를 세고 나서 젝터 혼을 밀었다가 당기면 "RIDER KICK"이라는 대사와 함께 필살기가 발동된다.
카부토 젝터와 마찬가지로 가탁크 젝터에 모든 사운드 기믹이 탑재되어 있다. 벨트가 장식인 것도 동일.
젝터 모드에서는 젝터 위에 달린 버튼과 뿔을 건드리면 각종 효과음이 재생된다.
젝터를 벨트에 장착하면 "HENSHIN" 이라는 대사와 함께 변신음이 재생되며, 가탁크 젝터의 젝터 혼을 살짝 벌리면 캐스트 오프 대기음이 나온다. 이 상태에서 젝터 혼을 완전히 반대쪽으로 당기면 "CAST OFF"라는 대사와 함께 캐스트 오프 음이 나오며 LED가 발광한다.
젝터 앞의 버튼을 누르면 "1, 2, 3"까지 카운트를 세는데, 카운트를 세고 나서 젝터 혼을 밀었다가 당기면 "RIDER KICK"이라는 대사와 함께 필살기가 발동된다.
젝터를 좌우로 삽입 방법을 바꾸는 방법으로 킥 호퍼와 펀치 호퍼 두 라이더를 재현 가능한 점이 특징.

3.8. 가면라이더 덴오


라이더 패스에 있는 자석과 버튼 조합으로 변신 기믹이 발동 된다. 이 후 발매된 케이타로스는 벨트에 장착하면 벨트 내부에 숨겨져 있는 버튼을 누르는 기능이 있어서 다른 음성이 나온다.
이쪽은 플라스틱 카드(통 플라스틱이라서 자체 기믹은 없음)를 벨트에 꽃으면 음성 기믹이 발동한다.

3.9. 가면라이더 키바



변신에 사용되는 휘슬은 휘슬 끝부분 키밧트의 입에 물리는 부분에 입 안에 있는 버튼을 일정한 조합으로 눌러지게 하는 돌기가 있는데 이 돌기의 위치 조합으로 나오는 음성이 변하는 타입. 그래서인지 해킹은 의외로 쉬웠다고 한다.
2호 라이더 이크사의 변신벨트. 가히 키바 관련 완구 중에서는 최고의 음성기믹을 보유하고 있다. 이크사 너클의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음성 기믹 발동. 라이징 훼슬에 별다른 음성기믹이 없어서 폼 공개는 없었다고 한다.
가면라이더 사가의 변신벨트. 훼슬 하나와 쟈코더, 사가크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쟈코더를 삽입해 변신하면 사가크의 등의 문양이 회전, 사가크가 음성을 내는 등의 음성기믹을 보유하고 있다. 사가크가 극중에서 내는 이상한 언어는 문양이 새겨진 테이블을 돌리면 나온다.
일반 키바 벨트와 각종 모션을 공유하고 있다. 다만 키바 벨트에는 존재하지 않는 웨이크 업 1,2,3기능이 추가되고 키바트배트 2세의 음성기믹이 추가되었다. 오리지널 기믹으로 프리미엄이 일반판보다 크게 올랐다는 듯.
극장판 라이더 2인의 동일 변신벨트. 훼슬 음성 등의 음성기믹은 키밧트의 페르소나를 교체해서 이루어진다. 본체는 메카 키밧트, 페르소나 교체로 아크 키밧트, 레이 키밧트로 체인지하는 수동 기믹이 있다. 나름 희귀품이지만 가치는 크게 떨어진 상태.

3.10.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10]
일본 아케이드 게임인 간바라이드의 카드가 대응되는 벨트로 카드 좌측의 코드를 읽어서 그 카드에 맞는 음성이 나온다.[11] 그리고 대상 매체가 카드인 것과 코드가 단순한 흑백 칸 스캔으로 발동되는 탓에 내장된 데이터가 금방 까발려지기도 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물건다른 시리즈존재한다.

3.11. 가면라이더 W


전작인 디케이드라이버와는 달리 모든 기믹이 가이아 메모리에 집중되어있는 관계로 벨트 자체에는 아무런 음성이나 발광, 사운드 기믹이 없다. 게다가 더블 전용 가이아 메모리의 경우, 박스에 부속된 것은 사이클론, 히트, 루나, 조커 뿐이며, 나머지는 전용 무기에 부속되는 형태로 발매되었다. [12]
벨트는 전면부의 라이트 슬롯(오른쪽)과 레프트 슬롯(왼쪽), 오른쪽 허리 부분의 맥시멈 슬롯, 이렇게 세개의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메모리를 꽂으면 변신 대기음이 울리며, 메모리 슬롯을 양 옆으로 젖힘으로서 가이아 메모리 특유의 발광 및 사운드 기믹을 끌어낼 수 있다. 맥시멈 드라이브의 경우, 맥시멈 슬롯에 가이아 메모리를 삽입하면 맥시멈 드라이브 음성 후 대기음이 흘러나오며, 슬롯의 버튼을 누름으로서 메모리 브레이크 공격음이 나온다.
또한 기믹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가이아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접속부에 버튼이 있으며, 슬롯에 삽입하면 이 버튼이 눌러지면서 발광 및 음성 기믹이 발동되는 구조. 또한 메모리 별로 라이트 슬롯에 꽂는 메모리와 레프트 슬롯에 꽂는 메모리는 사운드 기믹간의 발동 시간차가 존재하는데, 라이트 슬롯의 메모리의 음성이 먼저 나오고 뒤이어서 레프트 슬롯의 메모리의 음성이 나중에 흘러 나오게 되어 있다. 더도 말고 위의 영상을 보면 금방 답이 나올 것이다. 또한 라이더별로 지정된 메모리 외에도 메모리 가제트나 액셀 메모리 등 웬만한 메모리는 모두 삽입 가능하다. 다만, 일부 메모리는 호환이 안된다.[13]
가이아 메모리는 DX판 외에도 가샤폰, 식완판으로도 존재하며, 쇼와 및 헤이세이 라이더들의 메모리가 존재한다.[14]#
이 바닥(?)의 라이더들이 그렇듯, 이쪽도 대부분의 사운드 기믹이 가이아 메모리에 전부 몰려있다. 다만, 더블 드라이버와 달리 이쪽은 바이크 폼 재현을 위한 전면부의 탈착이 가능하며, 또한 맥시멈 슬롯이 별도로 존재했던 더블과 달리 액셀은 액셀 드라이버 하나로 모든 기믹이 재현 가능하다.
기믹은 전용 가이아 메모리인 액셀 메모리를 꽂으면 변신 대기음[15]이 울리며, 오른쪽 그립을 돌림으로서 변신음이 울리는 구조. 맥시멈 드라이브의 경우, 왼쪽 그립의 브레이크를 한번 쥐었다 놓아주면 맥시멈 드라이브 음성 후 대기음이 흘러나오며, 오른쪽 그립을 돌림으로서 맥시멈 드라이브 공격음이 흘러나온다.
이터널은 더블과 같은 계열이므로 기믹도 전부 동일하지만 레프트 슬롯만 빠져 있다는 것이 다르다.[16]
스컬 매그넘이 있으면 거기에 동봉된 스컬 메모리도 사용할 수 있으며 T2 조커 메모리도 지원한다.[17]

3.12. 가면라이더 오즈


더블 드라이버와 다르게 이쪽은 대부분 오 메달을 읽어들이는 오 스캐너에 대부분의 사운드 기믹이 집중되어 있다. 다만, 사운드 기믹을 발동시키려면 오메달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게 없으면 (오 스캐너의)기동음만 나오는지라 기믹을 발동시키려면 메달은 필수.
전원 스위치는 오 스캐너의 손잡이 부분에 위치.
오 슬레이더의 슬롯에 코어 메달을 꽂은 뒤, 오른쪽 허리춤에 있는 오 스캐너를 꺼내 중앙의 트리거를 당기면 변신 대기음 사운드가 울리며, 그 상태로 코어 메달을 스캔하면 변신 사운드 기믹이 발동하는 구조이며, (설정상)각 계열 콤보별 코어 메달이 3개[18] 모여있다는 조건만 만족시키면 메달의 배치 순서와는 상관없이 해당 콤보별 노래 & 변신 사운드 기믹을 발동시킬 수 있다.[19] 사족으로 각 콤보별 노래를 부른 사람은 쿠시다 아키라.
기믹 발동의 핵심인 오 스캐너의 경우, 오 메달 내부에 삽입된 칩을 읽어들여 기믹을 발동시키는 구조이며, 콤보의 핵심인 코어 메달의 경우, 완구 박스에 담긴 세개의 코어 메달[20]이 기본으로 제공되나, 나머지는 별도로 발매된 각 계열별 코어 메달들을 따로 구입해야만 다른 콤보 특유의 사운드 기믹을 발동시킬 수 있다. [21] 그래서인지 완구를 구매한 일부 사람들은 오 스캐너를 분해한 다음 내부회로를 해킹해서 회로 내부에 수록된 사운드 기믹을 죄다 까발라 버리기도 했다(...). 오 스캐너가 한번에 스캔할 수 있는 오 메달의 수는 최대 6개.
전작인 더블과 마찬가지로 이쪽도 가샤폰과 식완을 라이더 메달이 존재한다.
오즈와는 달리 벨트에 기믹이 전부 집중되어있고 역으로 셀메달은 단순한 사운드 발동용.[22] 전원 스위치는 오른쪽 상단에 위치.
기믹은 버클 왼쪽 상단에 위치한 메달 삽입구를 넣으면 발광 및 대기음이 흘러나오며, 우측의 다이얼을 돌리면 중앙의 커버가 열리면서 발광 및 사운드 기믹이 발동되는 구조. 이 때 버스 특유의 뽀각! 소리가 나온다(...). 셀 메달 배출구는 왼쪽 하단에 위치.
사운드 기믹은 극중에서 나온 기믹이 모두 재현되어 있지만, 문제는 이게 임의로 선택할 수 없다는 것. 유일하게 선택 가능한 사운드 기믹은 셀 메달을 두개 투입하여 발동시키는 셀 버스트 뿐이다.[23] 원하는 사운드 기믹을 발동시키려면 셀 메달 투입 → 다이얼 돌리기 노가다를 하는 수 밖에 없다.[24]

3.13. 가면라이더 포제


간만에 벨트 자체에 사운드,발광,음성기믹이 복귀. 다만, 제대로 기믹을 발동시키려면 역시 아스트로 스위치가 필요하다. 특정 스위치[25]는 자체적으로 음성 기믹을 보유하고 있어서 향후의 변신 폼 스포일러를 막고 있다.
포제 드라이버의 스위치 중 오른팔 용의 것이 호환된다.

3.14. 가면라이더 위자드


가면라이더 위자드의 주인공인 가면라이더 위자드변신벨트. 부속품으로는 위자드라이버, 플레임 위자드 링, 워터 위자드 링, 킥 스트라이크 위자드 링이 있다. 전원 스위치는 좌측 하단에 위치.
전원 스위치를 넣으면 버클 부분의 핸드 오서에서 마법진 형태의 LED가 빛나며 위자드래곤의 울음소리가 흘러나오며, 좌우의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여 핸드 오서의 각도를 바꿔주면 대기음이 흘러나오는데, 핸드 오서의 방향이 ↙일 경우 변신 대기음[26]이, ↘이면 마법 발동 대기음[27]이 흘러나온다.
그러나 위에서도 서술했듯이 본 완구에 부속된 위자드 링은 달랑 세개 뿐이기 때문에 위자드라이버 내에 내장된 사운드 기믹을 모두 발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발매되는 위자드링 세트를 모두 구매해야만 한다.[28] 위자드 전용 사운드 외에도 전작들의 변신벨트처럼 역대 가면라이더의 사운드 기믹이 존재하며, 이를 발동시키기 위해서는 식완(혹은 가샤폰)으로 나온 라이더들의 위자드 링이 있어야만 한다. 또한 위자드나 역대 라이더들 사운드 기믹 외에도 가면라이더 비스트의 사운드 기믹도 내장되어 있어서 비스트 위자드 링을 갖다대면 비스트의 변신음이 흘러나온다.
위자드링을 오즈의 오스캐너에 대면 위자드링이 빛이 난다고 한다.[29]
본작2호 라이더인 변신벨트인 가면라이더 비스트변신벨트. 부속품으로는 비스트 위자드 링, 카멜레오 위자드 링, 팔코 위자드 링이 있다. 전원 스위치는 후면 아래에 위치.
전원을 넣으면 사자 울음소리와 비슷한 기동음이 흘러나온다. 그리고 왼쪽 소켓에 비스트 위자드 링을 꽂으면 "SET!"이라는 음성과 함께 서커스 드럼 소리가 흘러나온다.[30] 그 상태에서 링을 왼쪽 방향으로 돌리면 버클 부분의 문이 열리면서 "OPEN!"이라는 음성이 흘러나오고 "L.I.O.N LION!" 이라는 노래소리와 함께 변신음이 흘러나온다.[31] 이 상태에서 한번 더 가져다 대면 "GO!"라는 음성과 함께 공격음이 흘러나온다.
마법 발동은 오른쪽 소켓을 통해 할 수 있으며, 가져다 대는 위자드 링에 따라 대기음 및 발동음이 달라진다. 또한 위자드 링을 왼쪽 소켓에 가져다 대면 필살기인 킥 스트라이크가 발동된다.[32]
본작에서 주인공 소우마 하루토에게 위자드라이버를 건내준 하얀 마법사변신벨트. 부속품으로는 체인지 위자드 링, 익스플로전 링이 부속되어 있다. 위자드라이버와 같은 계열이라서 그런지 전원 스위치 역시 좌측 하단에 위치.
위자드라이버와 같은 계열이므로 기본적인 실루엣은 비슷하나 세세한 디테일과 컬러링, 음성은 기존의 위자드라이버와는 많이 다르다. 그래도 같은 계열이기 때문인지 위자드의 위자드 링이 호환이 된다. 다만, 사운드 기믹은 위자드라이버와 많이 다른 편.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조.

3.15. 가면라이더 가이무


본작에 등장하는 라이더들의 공용 벨트이다.[33] 부속품으로는 센고쿠 드라이버, 오렌지 록 시드, 바나나 록 시드, 가이무와 바론의 플레이트, 벨트 스트랩 및 고정판이 있다.
센고쿠 드라이버는 특이하게 버클과 키 아이템 양쪽에 사운드 기믹이 들어가 있다.[34]
센고쿠 드라이버의 전원 스위치는 후면 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키 아이템인 록 시드의 전원 스위치는 하단면에 위치.
버클의 전원을 넣으면 '센고쿠 드라이버'라는 음성이 흘러나오며, 오른쪽에 달린 커팅 블레이드를 조작하면 베는 사운드가 흘러나온다. 커팅 블레이드의 반대편은 페이스 플레이트가 위치해있는데, 페이스 플레이트 장착부위의 하단면에 분리버튼이 존재해 다른 종류의 페이스 플레이트로 교체하는 게 가능하다. 가이무와 바론 이외의 페이스 플레이트는 다른 록 시드들과 세트로 별매인 제품이다.[35] 페이스 플레이트를 교체함으로서 작중 등장한 아머드 라이더들의 변신 대기음으로 바꿀 수 있으며, 총 4가지가 존재한다. 페이스 플레이트를 분리해보면 하얀색 돌기가 2개# 있는데, 페이스 플레이트들의 종류에 따라 이 돌기를 아예 누르지 않거나(가이무 타입), 윗쪽것만 누르거나(바론 타입), 아랫쪽것만 누르거나(류겐 타입), 둘 다 누르게(브라보 타입) 된다.
록 시드의 전원을 넣으면 전용 사운드[36]가 흘러나오며, 오른쪽 스위치를 조작해 행거를 올려 록 오프가 되면 모티브가 된 과일의 명칭이 음성을 통해 흘러나오면서[37] LED가 점멸한다. 그리고 뒷면 아래쪽에는 기믹 발동용 버튼이 3개 있는데, 센고쿠 드라이버에 꽂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은 하나 뿐이다.[38][39]
록 시드를 센고쿠 드라이버에 꽂고 행거를 내리면, 드라이버에서 'Lock On!'이라는 음성과 함께 해당 록 시드의 대기음이 흘러나온다. 그리고 커팅 블레이드를 조작해 록 시드 전면부의 커버를 자르듯이 열면, 록 시드의 LED가 점멸하면서 각 라이더별 사운드 기믹이 흘러나온다.[40]
아래 게네시스 드라이버와의 연동 또한 당연히 지원된다.
사용방법의 경우 록시드를 꽂는 것까진 동일하지만, 커팅 블레이드를 조작하는 것이 아닌 착즙기 형태의 레버를 밀면 중앙의 에너지 록시드가 펼쳐지며 "소다(SODA)"라는 음성이 나온다.[41]그 뒤 레버를 놓으면 내장된 태엽에 의해 자동으로 천천히 원상태로 돌아가며 탄산음료 소리가 난다.[42]

3.16.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본편에 등장하는 토마리 신노스케가 착용하는 변신벨트 & 브레스. 가면라이더 BLACK RX 이후로 27년만에 벨트와 브레이슬릿이 연동되는 형태로 등장하였다. 기본 패키지에는 시프트 스피드와 맥스 플레어가 기본 동봉되어 있으며, 시프트카 홀더가 동봉된 스페셜 셋트에는 펑키 스파이크가 더 들어있다. 전원 스위치는 후면 상단에 위치.
본체의 전원을 넣으면 엔진 시동음 후 START YOUR ENGINE!이라는 호쾌한 음성이 울린다. 본체의 자동차 키 모양의 레버를 돌려 변신 대기 상태로 만든 뒤[43] 작중의 키 아이템인 시프트 카의 후미를 회전시켜 시프트 모드로 변형시켜 시프트 브레스에 삽입하고 레버를 올리면 적외선 통신에 의해 브레스에서 벨트 버클부로 신호가 가며, 시프트 스피드를 사용시에는 DRIVE!! TYPE SPEED!!라는 음성이 울리며 변신 완료. 변신 상태에서 본체의 키를 한번 더 돌리고 시프트 브레스의 레버를 올리면 가속모드에 돌입한다.
필살기는 본체의 키를 한번 더 돌린 후 시프트브레스 오른쪽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필살기 대기모드로 돌입하며 이 상태에서 레버를 한번 더 올리면 필살! 풀 스로틀!!이라는 음성 뒤에 폭발음이 울린다.
본편에 등장하는 시지마 고우가 착용하는 변신벨트. 기본 패키지에는 시그널 마하가 동봉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는 머플러 후면에 위치.
본체의 전원을 넣으면 머플러 부분에 내장된 LED가 붉게 점멸하면서 바이크 가속음 후 '마하 드라이버!'라는 음성이 울린다. 변신은 가운데의 레버를 올려 대기 상태로 만든 뒤 키 아이템인 시그널 마하를 삽입하면 "시그널 바이크!"라는 음성이 흘러나오며, 그대로 레버를 아래로 내려주면 "라이더!"라는 음성과 함께 바이크 가속음이 흘러나옴과 동시에 머플러의 LED가 붉게 점멸하고 "마하!"라는 음성이 흘러나오면서 그대로 변신 완료. 변신 완료 후 상단부의 버튼을 누르면 "마하!"라는 음성과 함께 바이크 가속음이 흘러나오며, 4회 연속으로 누를 경우 가속음이 바뀌면서 "계속 마하!"라는 음성이 흘러나온다.
필살기는 레버를 위로 한번 올린 뒤, 버튼을 누르면 "필살!"이라는 음성이 흐르면서 머플러의 LED가 푸르게 점멸하면서 바이크 가속음과 함께 클락션 사운드가 대기음으로 흘러나온다. 그 상태 그대로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풀 스로틀!"이라는 음성 후 바이크 가속음과 동시에 "마하!"라는 음성과 함께 LED가 붉은 빛과 푸른 빛이 번갈아가면서 점멸, 폭발음이 올린다.

3.17. 가면라이더 고스트


본편에 등장하는 텐쿠지 타케루후카미 마코토가 착용하는 변신벨트. 기본 패키지에는 오레 고스트 아이콘과 에디슨 고스트 아이콘이 부속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는 왼쪽 아래에 위치.
전원을 넣으면 전면의 안구 부분의 LED가 점멸하며 "고스트 드라이버!"라는 음성이 흘러나온다. 변신은 슬롯을 열고 키 아이템인 오레 고스트 아이콘을 삽입, 닫아주면 "Eye-!" 라는 삽입음이 흐른 뒤, "똑똑히 봐라-!"[44] 라는 변신 대기음이 흐르는데, 오른쪽의 레버를 작동시키면 "개안![45]" 이라는 변신음과 함께 각 아이콘의 전용 사운드 기믹이 흘러나온다.
레버를 한번 더 작동시키면 "대개안![46] 오메가 드라이브!" 라는 필살기 사운드가 흘러나오고, 이 상태에서 4번 더 작동시켜주면 "대개안! 왕눈알![47]" 라는 필살기 사운드가 흘러나온다.
고스트 아이콘을 꺼내고 슬롯을 닫으면 "잘 자!"[48] 라는 종료 사운드가 흘러나온다.
전작의 벨트인 드라이브 드라이버의 복잡한 조작감으로 인한 불만을 수렴한 것인지, 고스트 드라이버는 상대적으로 조작이 단순해졌다.

3.18.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 게이머 드라이버/변신벨트 DX 게이머 드라이버 & 키메와자[49] 슬롯 & 가샤트홀더 세트
호죠 에무, 카가미 히이로, 하나야 타이가, 쿠죠 키리야 등이 사용하는 변신벨트. 변신은 먼저 라이더 가샤트의 버튼을 누르고 음성을 재생시킨 다음,[50] 라이더 가샤트를 레벨 2 슬롯에 넣으면[51] '''Gashat!''' 음성이 나오면서 레벨 1 음성이 발동되는데 이 상태에서 레버를 당기면 '''Gotcha! Level up!''' 음성이 나오면서 레버에 가려진 패널이 나오고 그 가샤트에 맞는 음성이 재생되면서 변신한다. 레벨 3 슬롯에 가샤트를 꽂고 변신하면 레벨 2 슬롯의 가샤트 음성이 먼저 재생된 뒤, '''I Gotcha!'''라는 음성이 뜨면서 레벨 3 슬롯의 가샤트 음성이 다음으로 재생된다.[52] 더블 드라이버처럼 벨트 자체에는 음성이 하나도 없는 플라스틱 덩어리고 키 아이템인 라이더 가샤트에만 음성이 존재한다. 또 헤이세이 라이더 2기 벨트 중에서는 유일하게 변신 대기음이 없다.
단 쿠로토가 사용하는 변신벨트로 A 버튼을 눌러 변신 대기음을 재생 시킨 다음, 가샤트를 꽂고 윗부분에 있는 버튼을 눌러 변신한다. 벨트인 동시에 무기로도 변환하는 기믹이 있다.
색상과 변신 대기음, 패널의 그림을 제외하면 가샤콘 버그바이저와 동일하다.

3.19. 가면라이더 빌드


키류 센토, 반죠 류우가가 사용하는 변신벨트. 전원은 벨트 뒷면에 위치. 전원을 켜면 해당 음성이 흘러나온다. 부속된 풀 보틀은 래빗 풀 보틀과 탱크 풀 보틀. 사용 방법은 각각 유기물 풀 보틀, 무기물 풀 보틀[53]을 마구마구 흔든 뒤,[54] 각각 풀 보틀을 슬롯에 넣으면 해당 풀 보틀에 관련된 동물 또는 사물의 이름이 재생 되는데[55] 만약 둘이 맞는 조합이라면 '''베스트 매치!'''라는 음성이 뜬다.[56] 그 후 오른쪽에 있는 레버를 돌리면 풀 보틀의 내용물이 위아래로 흔들리는 것과 함께 '''Are you Ready?'''가 재생되고 그 풀 보틀의 베스트 매치 음성이 뜨면서 변신된다.[57] 변신한 상태에서 또 레버를 돌리면 '''Ready go! 볼텍 피니쉬!'''라고 필살기 음성이 발동된다. 트라이얼 폼은 볼텍 피니쉬가 아닌 '''볼텍 어택!'''이 대신 나온다. 전작과는 반대로 벨트에 음성이 전부 몰빵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해킹에 굉장히 취약하다. 현재 해킹으로 공개된 음성만 굉장하다.
반조 류우가, 사와타리 카즈미, 히무로 겐토쿠가 사용하는 변신벨트. 전원은 벨트 아랫면에 위치. 전원을 켜면 해당 음성이 흘러나온다.[58] 사용방법은 부속된 두 개의 스크래시 젤리[59] 중 하나를 슬롯에 꽂은 뒤, 오른쪽의 레버를 내려 스크래시 젤리를 압착시켜주면[60] "찌부러진다! 흐른다! 넘쳐나온다!" 라는 음성 후 라이더 이름이 나오며, 그 뒤 "브롸아아아아!!!" 라는 괴성과 LED가 발광하면서 변신 사운드 기믹은 종료. 레버를 한번 더 내려주면 "스크랩 브레이크!!!" 라는 음성과 함께 공격 사운드가 흘러나온다.
스크래시 젤리 외에도 풀 보틀도 대응이 되며, 유기물 풀 보틀을 꽂으면 "차지 보틀!" 음성이 흘러나온 뒤 대기 사운드가 흘러나오며, 레버를 작동시키면 "찌부러지지않아!" 라는 음성 후에 "차지 크래쉬!"라는 음성과 함께 공격 사운드와 LED가 발광한다. 무기물 풀 보틀을 꽂으면 "디스차지 보틀!" 음성이 흘러나온 뒤 대기 사운드가 흘러나오며, 레버를 작동시키면 "찌부러지지않아!" 라는 음성 후에 "디스차지 크래쉬!" 라는 음성과 함께 공격 사운드와 LED가 발광한다. 단, 드래곤 보틀과 로봇 보틀은 드래곤 스크래시 젤리와 로봇 스크래시 젤리의 인식 핀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두 보틀을 사용할 경우 부속된 두 스크래시 젤리와 같은 사운드 기믹이 흘러나온다.

3.20. 가면라이더 지오



토키와 소고, 묘코인 게이츠, 츠쿠요미가 사용하는 변신벨트. 전원은 벨트 아랫면에 위치해 있으며, 전원을 켜면 "시공 드라이버" 음성과 함께 전면부의 디스플레이에서 'ZIKU DRIVER' 문자가 흘러나온다.[61] 사용방법은 부속된 지오 라이드워치의 케이스를 회전하의 라이더의 얼굴을 만든 뒤, 위의 버튼을 눌러 활성화, 오른쪽의 변신용 슬롯에 꽂은 뒤, 벨트 위의 용두 부분을 눌러 록을 해제, 그대로 360도 회전시키면 변신 완료.
음성 기믹은 라이드워치에 전부 들어있고, 시공 드라이버는 기본적인 대기음과 LED만 출력한다. 그런데 장착하는 인식핀이 풀 보틀과 동일해서 실제 라이드워치 공개 전부터 많은 기믹들이 유출되었다. 인식핀은 총 120가지로, 여기에 정리되어있다. 덕분에 작중에선 쓰지도 않는 풀 보틀을 왜 이리 많이 발매하냐고 까였던 반다이는 재평가를 받았다(...).
벨트 후면에 있는 건전지를 넣는 부분을 덮는 커버에 카타카나로 벨트라고 적혀있다.

워즈가 사용하는 변신벨트. 음성 담당은 2인조 그룹 MOROHA의 아프로. 전원은 벨트 뒤면에 위치하고 있으면 전원을 키면 '비욘드라이버'라는 음성이 나온다. 사용법은 미라이드워치의 상단 버튼을 눌러 활성화, 오른쪽의 레버에 미라이드워치를 세팅, 미라이드워치의 상단 버튼을 한번 더 눌러 미라이드워치를 열고 레버를 밀면 변신완료.
보통 라이드워치는 인식이 안 되지만 라이드워치를 레버에 세팅하면 라이드워치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레버를 세번 밀면 아머타임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참고로 옆이나 위에 있는 버튼들은 하는게 없는 더미 조형이다. 그리고 워즈의 대기음 말고도 또다른 대기음이 하나 있는데 이건 워즈 긴가 파이널리의 변신 대기음으로 판명이 났다.

4. 레이와 라이더



4.1. 가면라이더 제로원





4.2. 가면라이더 세이버



[1] 포피는 현재의 반다이 이전에 변신벨트를 만들었던 회사다. 때문에 벨트 디자인도 우리가 아는 그 타이푼이 아닌 구 1호가 찬 것과 같은 디자인이다. [2] 훗날 발매된 컴플리트 셀렉션판은 성인 사이즈로 나온 것이어서 성인도 착용 가능했다.[3] 각 폼 별로 변신 대기음이 약간씩 다르다.[4] 각각 스톰폼과 플레임폼에 해당.[5] 나머지 카드 덱(서바이브 포함)은 다른 라이더들의 카드덱과 함께 세트로 발매되었다.[6] 다른 라이더들은 벨트와 라우저가 분리되어 있다.[7] 설정상 라이더들은 라우저에 카드를 라우즈 할 때마다 어택 포인트가 소비되는데, 이건 말 그대로 무제한이다. 물론 완구 기믹.[8] 이 쪽은 카드를 라우즈 할 때마다 어택 포인트가 소비되는 기능. 다만, 다른 라이더들의 라우저처럼 포인트가 표시되지 않는데, 대신 라우즈 할 때마다 4개의 LED가 하나씩 줄어드는 방식으로 포인트 소모를 표시. 포인트가 모자라면 에러 메세지가 뜬다.[9] 이건 본작에 등장하는 다른 라이더들도 마찬가지.[10]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은 쌍둥이 성우인 마츠다 리사에마츠다 사츠미이다. 참고로 해당 완구는 헤이세이 20주년 기념 복각판이다.[11] 상단의 바코드는 간바라이드 대응.[12] 염신전대 고온저의 음성 기믹을 담당하는 엔진 소울이 이런 식으로 판매했다.[13] 예를 들면 액셀 전용 메모리인 트라이얼 메모리. 상단부의 타이머 부분이 걸려서 전부 삽입되지 않는다. 다만, 식완이나 캡슐토이로 발매된 트라이얼 메모리는 더블 드라이버에 삽입 가능.[14] 심지어 오즈의 메모리도 있다! 이는 이후 라이더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며, 이전 라이더들과 바로 다음세대 라이더의 키아이템까지 나온다.[15] 더블과 달리 이쪽은 바이크 엔진음이다.[16] 무비대전 2010 상영 때에는 로스트 드라이버가 따로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재현하기 위해 애꿎은 더블 드라이버를 개조, 레프트 슬롯을 들어내어 어거지로 재현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 때문에 메모리 슬롯 연결 구멍이 휑하니 뚫려 보기가 흉했다. 그러다 극장판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에 등장하는 악역 라이더 이터널의 변신에 로스트 드라이버가 사용되는 탓에 이 시기에 맞춰 T2 이터널 메모리 동봉으로 출시되었다. 그 때문에 더블 드라이버 분해한 사람들은 피눈물만 흘렸다 카더라(…).[17] 더블 드라이버에 동봉된 조커 메모리를 사용하면 텀이 좀 늦다.[18] 예를 들면 곤충계인 카타키리바 = 쿠와가타(사슴벌레) + 카마키리(사마귀) + 밧타(메뚜기).[19] 단, 아종 형태는 노래가 나오지 않고 그냥 변신음만 나온다.[20] 타토바 콤보 = 타카(매) + 토라(호랑이) + 밧타(메뚜기).[21] 근데 사실 이 문제는 전작인 더블 때부터 있었던 것이다(...). 다만, 더블 때에는 전용 무기를 사야만 해당 가이아 메모리를 얻을 수 있었고, 오즈 때에는 이 문제를 의식해서인지 무기 등에 부속시키지 않고 별도로 판매했다. 그런데 일부 코어 메달은 여전히 완구에 부속된 형태로 발매(...).[22] 오즈의 오스캐너와 달리 메달 내의 칩을 읽어들이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셀 메달 뿐만 아니라 코어 메달로도 사운드 기믹을 발동시킬 수 있다.[23] 그 때문인지 버스 드라이버에 부속된 셀 메달도 두개이다.[24] 사운드 기믹 발동 순서는 변신음 → 드릴 암 → 브래스트 캐논 → 크레인 암 → 커터 윙 → 쇼벨 암 → 캐터필러 레그 순이다.[25] 예를 들면 로켓 스위치 수퍼 원(S-1) 이라든가...[26] "샤바두비 터치 변신~"[27] "루파치 매직 터치 고!"[28] 위자드 링 중 하나인 빅 위자드 링의 경우, 전작인 포제의 스위치인 퓨전 스위치 스페셜 세트에 동봉된 형태로 발매된 탓에, 위자드 링을 전부 모으기 위해 퓨전 스위치까지 같이 구매해야만 한다.[29] 이는 IC 인식 스캐너가 삽입된 모든 기계라면 반응한다. 심지어 자판기 카드 인식부에 갖다대도 빛난다.#[30] 이 상태에서 그냥 떼어버리면 "NO~"라는 음성이 흘러나온다(...)[31] 위자드 링 없기 그냥 돌리면 노래소리 및 변신음이 안 나온다. 사운드 기믹이 아예 안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좀 심심하다.[32] 이 때 "OO MIX"라고 하며, 가져다 대는 위자드 링에 따라 서두 부분의 음성 및 대기음, 그리고 발동음이 달라진다.[33] 모든 라이더가 같은 벨트를 사용한다는 설정은 가면라이더 류우키 이래로 11년 만이다.[34] 이전 헤이세이 라이더의 변신벨트들은 버클 아니면 키 아이템에 사운드 기믹이 몰려있는 경우가 많았다. 한가지 예외적인 예시로는 포제 드라이버와 S-1 로켓스위치, S-3 드릴스위치, 퓨전 스위치, NS 마그폰에 달린 N 스위치 및 S 스위치가 있지만 메인 변신 아이템에는 해당하지 않으므로 논외로 친다.[35] 잔게츠의 플레이트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DX무쌍 세이버에 동봉된 멜론 록 시드와 함께 들어있다. 나머지는 전부 록 시드+페이스 플레이트의 한세트로 별매되는 게 대부분.[36] 록 시드마다 흘러나오는 음악이 다르다. 예를 들면 오렌지 록 시드는 일본 전통 음악.[37] 예를 들면 오렌지 록 시드는 '오렌지!'라는 음성이 흘러나온다.[38] 이 버튼을 누르면 인베스 게임 때 나오던 'Battle Start!', 'You Win!' 'You Lose!' 등의 음성이 흘러나온다.[39] 물론, 핀셋따위를 이용하면 드라이버에 꽂지 않아도 사운드 기믹을 들을 수는 있다.[40] 가이무의 경우 '소이얏!! 오렌지 암즈 하나미치(꽃길=花道) ON STAGE!!'[41] 2초간 레버를 민 채 잡고 있을 경우만 해당한다.[42] 이쪽에서 완구의 문제점이 있는데, 태엽소리가 너무 커서 탄산음료 소리가 다 묻혀 버린다. 분해해서 태엽만 제거하면 탄산음료 소리는 나지만, 레버가 천천히 원상태로 돌아가는 기믹을 포기해야 한다.[43] 대기 상태에서는 벨트의 디스플레이 특성상 진동이 심하게 울리며, 이로 인해 사용하는 건전지 용량도 크다.[44] 고스트의 경우 밧치리미나!(バッチリミナ―), 스펙터의 경우 밧치리미로!(バッチリミロ―), 네크롬의 경우, 밧치리미야!(バッチリミィヤ―) 라는 음성이 나온다. 여담으로 어원은 확실히, 똑똑히라는 뜻의 ばっちり + 봐라 라는 뜻을 지닌 見な/見ろ.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뜻은 똑같다.[45] 카이간!(カイガン / 開眼)[46] 다이카이간!(ダイカイガン / 大開眼)[47] 오오메다마!(オオメダマ / 大目玉)[48] 오야스미!(オヤスミー / お休み)[49] 決め技. 우리말로 번역하면 "결정타"가 된다.[50] 극중에서는 게임을 활성화 시키기에 이 절차를 반드시 넘으나, 완구에서는 그런거 없으므로 그냥 넘어가도 상관 없다.[51] 레벨 3 슬롯에 넣으면 음성이 늦게 재생된다.[52] 얼핏보면 레벨 2 슬롯의 음성이 전부 재생되어야 음성이 나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약 3초 정도의 뜸을 들여서 재생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레벨 2 슬롯의 가샤트가 변신음이 매우 길다면 음성이 재생 되는 도중에 레벨 3 슬롯의 음성이 재생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레전드 라이더 가샤트들.[53] 유기물 풀 보틀 두개든, 무기물 풀 보틀 두개든 상관은 없다.[54] 극중에서는 이걸 흔들어야 풀 보틀이 활성화 되기 때문에 반드시 흔들지만, 완구는 그냥 장식이기 때문에 흔들지 않아도 된다.[55] 보통 왼쪽에는 동물, 오른쪽에는 사물 풀 보틀을 넣지만 어느 쪽에 넣든 상관 없다.[56] 풀 보틀의 뚜껑에 스티커가 서로 일치하면 베스트 매치이다.[57] 베스트 매치가 아닐 경우에는 트라이얼 폼 음성이 뜬다.[58] 해당 음성의 주인공은 그 분(!) 되시겠다.[59] 드래곤 스크래시 젤리, 로봇 스크래시 젤리.[60] 말이 압착이지 그냥 살짝 눌러주는 수준이다. 실제 스크래시 젤리 내부는 스펀지로 되어있다.[61] 시공 드라이버의 음성은 대사는 코야마 리키야, 노래는 오오니시 요헤이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