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프트 카
Shift Car
シフトカー
1. 소개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의 주요 키 아이템. 자아를 지닌 미니카로 범죄 수사 등에도 활약하는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의 동료다.
가장 큰 특징은 시프트 카를 몸에 지니고 있는 사람의 신체 반응이 중가속현상으로 인해 느려지는 것을 상쇄해준다. 이 효과는 드라이브의 변신자이든 이외의 일반인이든 상관 없이 적용된다. 이 덕분에 중가속 현상에도 불구하고 전투와 서포트가 가능한 것.
다양한 시프트 카를 시프트 브레스에 장착할 때마다 슈퍼머신 = 트라이도론의 타이어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타이어로 생성되면서 드라이브에게 사출되어 무장하는데 이를 '''타이어 교환'''이라고 한다. 특정 시프트카는 드라이브의 폼 자체를 변화시키며 이때는 '''타입 체인지'''이라고 칭한다. 가면라이더 포제의 그것과 비슷한 개념. 타이어를 교환한 뒤 본체에서 분리한 스페어 타이어는 변신을 해제할 때까지는 일단 없어지지 않고 사출되어 로이뮤드를 공격하거나 바닥에 버려진다.
또한 트라이도론의 운전대 옆에 있는 슬롯에 최대 6개까지 시프트 카를 세트하여, 트라이도론의 6개의 타이어에 해당 타이어의 능력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의 세 가지 기본 타입(스피드, 와일드, 테크닉)에 대응하는 폼 체인지를 벨트 씨의 명령으로 트라이도론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롤링 그래비티가 만들어주는 작은 도로를 이용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마치 덴라이너를 연상시키는 부분.[1] 때문에 글로벌 프리즈 당시에도 로이뮤드들을 소탕하기도 했고 전투 능력 자체는 드라이브와 비슷한 급으로 보이나, 로이뮤드의 육체를 파괴할 수는 있어도 '''시프트 카 단독으로는 코어(번호판)를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로이뮤드 측도 시프트 카와 동일 규격의 아이템을 사용하는데 이쪽은 '''바이럴 코어'''라 불리고 있다. 가면라이더 시리즈 암묵의 룰 중 '가면라이더와 괴인의 힘의 기원은 같다.'라는 것이 있고, 일단 공식 설정으로는 바이럴 코어는 시프트 카가 변질된 것이다. 로이뮤드의 전사인 마진 체이서는 무기인 브레이크 건너를 통해 바이럴 코어뿐만 아니라 '시프트 카의 힘을 사용할수 있다'라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는 마진 체이서가 프로토 드라이브이기 때문.
25화에서 드라이브의 정체가 세간에 완전히 공개되기 전까지 신노스케와 같이 행동하는 시지마 키리코나 시프트 카 정비와 관련된 사와가미 린나를 제외하고, 특상과에서는 시프트 카들을 신노스케의 취미 수집품 내지 키덜트의 장난감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신노스케의 책상위에 자리잡고 있는 시프트카를 몇 번 본 듯. 22화에선 혼간지 쥰으로부터 '''특상과의 수호신'''으로 취급받은 적도 있다.[2]
시그마 서큘러와의 최종 결전 이후, 시그널 바이크와 함께 드라이브 피트 밑에 봉인된다.
가이무 때까지 이어져오던 숫자 관련 네타[3] 가 여기서부터는 더 이상 연관시키기 어렵게 되었다. 굳이 따지자면 변신을 위해 앞부분을 돌린 시프트 카의 모습이 숫자 7을 닮긴 했지만 조금 무리수가 많다.(...)
여담으로, 완구판은 일부 도색이 누락되어 있다. 공통점으로 둘다 먹선이 칠해져 있지 않고 시프트 트라이도론, 프로토 스피드를 제외한 타입 교환용 시프트 카들은 반투명 소재로 되어 있고 일부만 백라이트가 칠해져 있으며[4] , 타이어 교환 시프트 카들은 클리어 소재로 되어있고 백라이트가 칠해져 있지 않다.[5]
2. 목록
공통은 •표시. DX 한정은 ○표시. 식완, 가샤폰 한정은 ●표시.
2.1. 타입 교환용 시프트카
2.2. 타이어 교환용 시프트카
이하의 시프트 카들 역시 정식 명칭은 '시프트 ○○○'이지만, 일반적으로 앞의 '시프트'를 생략한 채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타입 교환용 시프트 카보다 더욱 강한 자아를 가지고 있으며[12] 단독으로 조사 행동을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인간과 같이 감정을 느끼는 듯한 묘사도 있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타이어는 드라이브의 타입에 따라 '스피드형', '와일드형', '테크닉형', '포뮬러형' 등의 네 종류로 구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타입 별 시프트 카는 각각 다음의 특징으로 분류된다.
- 스피드형은 소형 바퀴가 4개이고 차량 전부 레버가 후면부에 있음.
- 와일드형은 대형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이 중 4대[13] 는 레버가 차량 전면부에 있음.
- 테크닉형은 바퀴가 6개이고 차량 전부 레버가 전면부에 있음
- 포뮬러형은 외견이 포뮬러카처럼 생김
대부분의 시프트 카는 드라이브에 장착되지 않더라도 고유의 능력을 발동할 수 있다. 글로벌 프리즈 당시 맥스 플레어, 펑키 스파이크, 미드나이트 쉐도우가 각자의 능력으로 하급 로이뮤드를 해치운 적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표 참조.
마하 또한 이들 시프트 카를 쓸 수 있는데, 보통의 마하 상태에선 시그널이 바뀌고 데드히트 상태에선 타이어가 바뀐다.
사이렌 차량 3종이 각각 스피드, 와일드, 테크닉형으로 하나씩 배치되어 있으며 타입 트라이도론의 타이어 혼합 중 하나인 피플 세이버의 소재로 쓰인다.
한 번은 이들 대다수가 메딕에게 세뇌된 적이 있었다.
2.2.1. 스피드형 타이어
2.2.2. 와일드형 타이어
2.2.3. 테크닉형 타이어
2.2.4. 포뮬러형 타이어 - 피트 크루
타입 포뮬러의 장기간 전투를 위해 제작된 특수 시프트 카. 사와가미 린나가 할리 핸드릭슨이 남긴 공식[32] 을 토대로 개발했다. 모티브는 F1 레이싱의 피트 크루.
그리고 피트 크루라는 이름 답게 타이어 교환 이외에도 타입 포뮬러 드라이브의 상태가 안좋을 때 시프트 맨턴은 연료 비상 공급을, 재키는 드라이브를 눕히고 스패너는 손상되거나 상태가 안좋은 부분을 재정비와 수리를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2.2.5. 넥스트형 타이어 (다크 드라이브)
가면라이더 다크 드라이브 전용 시프트 카. 기존의 시프트 카와 유사한 외형을 하고 있지만 컬러링이 다르고, 타입/타이어 교환에 사용되지 않는다. '''해당 시프트 카의 모티브 차종에 속하는 차량을 지배해서 조종'''하는 능력과 고유 번호가 없는 미래형 로이뮤드로 실체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원래의 시프트 카를 개조한 것인가의 여부는 불명. 참고로 완구는 모든 드라이브 변신기&무기에 연동되지 않는다(...)[33][34]
이 시프트 카들은 극장판에서 자신들이 지배하던 차량들과 함께 파괴된다.
2.3. 잡지 부록 및 기타
2.4. 레전드 라이더 시프트 카
3. 각 부위 설명
- 01. 리볼브 스트럭처(リボルブストラクチャー) : 시프트 카의 차체를 비틀어 레버 모드로 변형시킬 때 회전축이 되는 부분. 로이뮤드와의 전투에 버틸 수 있도록 소형 방어 필드를 전개하는 기능도 갖춰져 있다.
- 02. 리플렉트 메탈 보디(リフレクトメタルボディ) : 시프트 카의 내부 기능을 지키기 위한 장갑. 일정량의 데미지를 튕겨내는 특성이 있다. 다양한 합금이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각 시프트 카의 능력이나 특성에 의해 합금에 포함된 금속의 비율이 조정되어 있다.
- 03. 코어 드라이비어-S(コア・ドライビア-S) : 시프트 카에 내장된 소형 그래비티 드라이브 엔진. 시프트 카의 가동 에너지를 만들어내며 엔진의 회전과 진동을 이용해 중가속을 없애는 파동을 낼 수도 있다.
- 04. 시프트 커넥트 키(シフトコネクトキー) : 시프트 카와 시프트 브레스를 연결해 각 시프트 카가 가진 능력이나 그 특성을 전달하는 파츠. 시프트 카를 시프트 브레스에 장전할 땐 시프트 카에서 이 파츠를 꺼내 시프트 브레스의 가이드에 맞춰 삽입한다.
- 05. 어빌리티 크레스트(アビリティクレスト) : 각 시프트 카가 가진 능력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아이콘. R자가 들어간 아이콘은 변신용 시프트 카임을 드러내고 있다.
[1] 참고로 이전 작품들의 변신 아이템 중에서 시프트카 처럼 자율행동이 가능한 경우는 가면라이더 카부토에 등장하는 젝터들, 가면라이더 더블의 팡 메모리, 엑스트림 메모리가 있다. 더블의 유사 메모리, 포제의 푸드로이드, 위자드의 프라몬스터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야 자율행동이 가능해지므로 포함되지 않는다.[2] 메딕이 만들어낸 가짜 시체들이 특상과를 덮쳤을 때 혼간지가 엉겁결에 책상 위에 놓여있던 시프트 와일드를 던졌는데 시체가 그걸 맞고 가루가 돼 버렸다. 애초에 혼간지는 시프트 카의 정체를 알고 있었지만.[3] 더블에서 포제까지는 변신 아이템의 수가 2,3,4로 증가, 위저드는 손가락 5개에 끼울 수 있는 반지, 가이무는 록시드가 숫자 6을 상징한다는 식의...[4] 와일드, 테크닉, 후르츠, 프로토 스피드만 칠해져 있다. 넥스트스페셜과 트라이도론은 백라이트가 없음으로 제외. [5] 예외로 맥스 플레어, 펑키 스파이크, 미드나이트 섀도우는 칠해져 있다. [6] 어째서인지 정발판 음성은 시프트 스페셜의 것(LED는 원판과 같은 초록색)이 나온다. 그런데 시프트 스피드 와일드 테크닉에서 테크닉의 음성인 "우마이"가 "맛있다"로 더빙되어 들린다. 더빙을 잘못해서 이렇게 넣어었을 가능성이 높다.[7] 어원은 경주 등에서 쓰이는 용어인 데드히트, 두 명이서 경쟁이 치열하거나 결승점에 거의 동시에 도달하는 것을 뜻한다, 드라이브와 마하는 같은 타입을 공유하고 있는 점에서 어떻게보면 맞는 말.[8] 본체가 커서 걸리기 때문에 플레이트만 떼서 넣어야 한다.[9] 드라이브 록시드와 함께 등장하는데 시프트카 뒷부분 튀어나온 부분에 록시드를 걸고 달려 왔다[10] '''시프트 스피드'''와 같은 음성. 극중 한정으로 "체이서 하야이"라고 나온다.[11] 실제로 마하 드라이버 호노오에 장착시 시그널 마하의 음성 기믹 취급한다.[12] 타입 교환용 시프트 카들(데드히트, 프로토 스피드 등은 제외)은 벨트가 되어버린 크림 스테인벨트의 분신과 같은 개념으로 활동하고 있어 자아에 대한 묘사가 거의 없다.[13] 후킹 래커, 매드 닥터, 럼블 덤프, 컬러풀 커머셜[14] 정발 음성은 '''찌르다'''.[15] 근데 어째서인지 윌 아이 엠의 전용 커스텀 카(주문제작 차)가 떠오른다.[16] 정발판 음성은 '''받아라'''. [17] 그런데 능력쓰는 방법이 참 기괴한데 캡타이어 중간에 있는 클립을 기준으로 신노스케의 육체를 포함한 드라이브의 상체가 통째로 잘려서 캡이 생성하는 아공간으로 들어가고, 캡이 달라붙은 부분에서 다시 튀어나와 텔레포트가 성립되는 방식이다. 같은 방법으로 하반신 텔포도 가능하다. 텔포중에는 상반신/하반신 둘 중 한쪽을 쓸 수 없으며 한쪽 씩 따로 움직여 목표지점에서 다시 합체하는 건 가능하다.[18] 택시가 요금을 많이 받아먹는 대중교통이고, 이에 대해 말이 많았던 것을 생각한다면 이 둘의 관계는 운명일지도 모른다.[19] 정발 음성은 음성에 관해 말이 많은데, '택시카다', '택시 타다', ''''택시 타자'''' 등등 몬데그린이 심하다.[A] 첫 등장은 타입 스피드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나, 완구 매뉴얼 상으로는 와일드형 타이어로 분류된다.[20] 몬스터의 특성상 바퀴가 굉장히 많이 노출되어있고 위쪽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데, 이 때문에 완구에서는 레버 모드에서도 시프트카를 뒤집어 굴릴수 있다;[21] 정발판 음성은 '''깨물다'''. [22] 단 치료시 '''엄청나게''' 아픈게 단점이다.[23] 정발판 음성은 '''회복되다'''. [24] 실제로 피카츄는 반짝반짝(피카)+쥐(츄)의 합성어이다 [25] 이 능력은 니라 미츠히데 놀려먹기에도 이용된다, 평범하게 영상만을 비추는 것 뿐만이 아니라 목소리도 움직임도 재현이 가능한 모양.[B] 첫 등장은 타입 스피드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나, 완구 매뉴얼 상으로는 테크닉형 타이어로 분류된다.[26] 정발판 음성은 '''섞다'''. [27] 정발판 음성은 어째서인지 아무 상관없는 '''무찌르다'''가 됐다 아마도 처부순다는 부츠부스랑 혼동한듯. [28] 정발판 음성은 '''늘어나다'''. [29] 정발판 음성은 '''추워지다'''. [30] [image] 16화에서 메딕의 세뇌로 인해 마진 체이서의 브레이크 건너에 강제 세팅되어서 효과를 발동해, 체이서가 현란한 빛에 정신을 못차리는 사이 드라이브와 마하는 퇴각했다. [31] 정확히는 여기 참고바람.[32] 벨트 씨와 사이 좋게 나누어 먹으라고 준 파이 포장지 속에 들어있었다.[33] 정확히는 작동은 되지만 드라이브 드라이버에서는 바이럴 코어를 넣었을 때 처럼 벨트씨의 찌푸린 인상이 뜨고 마하드라이버에선 "모 잇카이(한 번 더)"란 음성만 출력된다.[34] 정확히는 이건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모든 인식핀에 해당한다. 단지 그 중 하나를 이 시프트카들의 인식핀으로 쓴 것이다.[35] 인식하긴 하나, '드라이브 타입 겟 위이잉~(N이 화면이 뜨면서) 음성밖에 나지 않는다.[36] 끼어지질 않으며, 인식 핀만 삽입해 봤자, 위이잉 음성만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