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1. 원작
[image]
유희왕 5D's 55화에서 시그너들의 문양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새로 등장한 카드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진화체 1.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뺏는 효과로 지박신 Ccapac Apu의 복부를 뚫으며 피니셔가 되었다. 이후 지박신 Wiraqocha Rasca, 기황제 와이젤∞ 등의 강적들과의 싸움에서도 등장해 이들을 한방에 관광보낸다.
그 후 또 다른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진화체 슈팅 스타 드래곤이 나오면서 다시는 나오지 않을 줄 알았으나 128화에서 삼극신을 상대하기 위해 다시 강림한다. 함정 카드 웨이브 리바운드와의 연계로 역전승을 따낼 생각이였지만, 해럴드의 함정 카드 오딘의 눈 때문에 전략들이 전부 간파당한다. 그리고 극신성제 오딘의 효과에 체인해 발동한 이 카드의 효과로 무효화하고 필드 파괴 효과를 발동하고 파괴된 삼극신이 부활하려 하자 웨이브 리바운드를 발동하지만 해럴드는 묘지의 지속 함정 걀라르호른을 발동해 웨이브 리바운드의 효과를 무효화. 거꾸로 유세이가 3턴 후 '''10000''' 이라는 효과 데미지를 맞을 위기에 처한다.
팀 라그나로크의 해럴드의 말에 의하면, 이 카드는 단순히 붉은 용의 힘이 아니라 붉은 용의 화신이라고 한다.
팀 라그나로크 전 이후 더 이상의 등장은 없어졌고, 결국 붉은 용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도 않는 카드가 최종대결을 장식하는 것으로 마지막의 보너스 스테이지에서도 나오지 않았다. 붉은 용의 맥거핀스러움은 파멸의 빛과 일맥상통한 셈.
공격명은 '''슈팅 블래스터 소닉(Shooting Blaster Sonic)''', 무효화 효과명은 '''서블리메이션 드레인(Sublimation Drain)''', 파괴 효과명은 '''스타더스트 포스(Stardust Force)'''.
팀 라그나로크전 이전까지는 싱크로 소환했을 때 유세이가 이 카드 안으로 흡수된 상태였다. 이 때 이 카드의 몸 안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유세이가 화면에 나올 때 배경이 수정빛으로 빛난다. 이건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도 동일.
2. OCG
[image]
광속의 스타더스트에서 메인 카드로 등장. 원작에 너무 충실하게 나왔는데, 엔드 페이즈에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간다는 디메리트에, 전용 튜너인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의 범용성이 너무 낮아서 전용 덱으로밖에 굴리지 못한다.
효과는 텍스트만 보면 강력해 보이지만 잘 따져보면 그리 실용적이지 않다. 1번째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는 상대가 이 카드가 필드에 있는 상황에서 뭔가 발동해 줘야만 하고, 만약 필드 클린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도 이 카드까지 같이 묘지로 보내지므로 자신 필드에 다른 몬스터가 없다면 추가타는 무리다. 거기에 다른 스타더스트 몬스터와는 달리 부활도 없는 완전히 '''1회용'''. 소환 난이도와 조건을 생각했을 때, 자신의 필드도 같이 쓸려나간다는 디메리트를 고려해도 블랙 로즈 드래곤이 몇 배나 실용성 있다.
2번째 효과도 마찬가지. 상대 필드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고 자신 효과로 쓸 수 있다는 것은 매우 강력하지만, 이 역시 상대 몬스터 존에 크게 영향을 받는 효과다. 예를 들어 제왕 같이 소환시에만 효과가 나타나는 몬스터나, 그저 공격력만 높은 몬스터 등이 상대 필드에 있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초융합처럼 "이 카드의 효과 발동에 대해서, 상대는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는 체인 불가 옵션이라도 있었거나, 금지령처럼 "이 카드 효과의 대상이 된 카드는 카드의 발동 및 효과의 발동과 적용을 할 수 없다."는 옵션이 있었다면, 조금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1]
거기에 공격력은 높지만 관통 효과도 없어서 벽 몬스터 하나 희생시키면 끝. 엔드 페이즈에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간다는 치명적인 디메리트까지 생각해 보면 정말 쓰기 힘든 카드다. 어차피 1회용 카드라면 공격력을 크게 끌어올려서 한 방 승부를 볼 수 있는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쪽이 나을 지도 모른다. 원작에서는 딱딱 끝낼수 있는 상황에서만 카드 창조를 이용해 등장해서 그렇지 기본 LP도 8000인 OCG에서는 아무래도 힘든 상황. 더구나 이 카드와 슈팅 스타 드래곤의 효과를 적절하게 섞은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이 추가되면서 이 쪽을 쓰기는 더 힘들어졌다.
그나마 싱크로 소환해 묘지로 보내놓고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으로 다시 부활시키는 방법도 생각해 볼 만 하지만, 싱크로 소재로 쓸 레벨 1 드래곤족 중에서 쓸만한 카드가 드물고, 소환했다고 해도 엔드 페이즈에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간다는 조건 때문에 힘들다. 다만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는 점은 G.B.헌터로 해결할 수 있다.
일단 필요한 레벨 1을 메꿔줄 만한 카드 후보로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때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스타더스트 샤오롱이나, 구세룡 소환 시 같이 따라나가줄 수 있는 원샷 부스터, 그냥저냥 잘 튀어나올 수 있는 레벨 1 카드인 황천 개구리, 배틀 페이더, 레벨 1짜리 토큰 등을 들어볼 수 있다.
싱크론 익스트림에서 추가된 리미트 오버 드라이브를 이용하면 손쉽게 꺼낼 수 있으나 화력이 앞서는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이 우선 순위다. 다만 만약 세트 카드가 거슬린다면 필드에 스타더스트 워리어를 꺼내고, 리미트오버 드라이브로 이 카드를 꺼내, 상호간에 효과와 연계해서 로드 워리어를 꺼내는 방식이라면 안정적인 필드 클린 후 직접 공격으로 3000 데미지를 줄 수는 있다.
패왕문 제로의 효과로 효과를 무효화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다음 각검의 마술사로 제외, 다음 턴에 돌아온 세이비어 몬스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마술사 덱에서 굴려먹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후 자신의 메인 페이즈 2마다 각검의 마술사와 세이비어 몬스터를 같이 제외해주면 엔드 페이즈에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3. 유희왕 듀얼링크스
지박신 Wiraqocha Rasca 이벤트에서 스킬로 등장. 라이딩 듀얼에서 6턴이 지난 이후 필드에 1칸의 여유공간이 있을 시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이 나온다. 엔드 페이즈에 효과로 인해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는데,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이 없으므로 재소환은 불가능하다. 지박신 이벤트 특성 상 굉장히 많은 LP를 가지고 있는데, 평범한 싱크로 몬스터는 2배의 데미지, 시그너 드래곤 5장과 파워 툴 드래곤은 3배의 데미지를 주는 데에 비해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은 무려 5배의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1턴 뿐이지만 LP를 깎는데 엄청나게 도움이 된다. 세이비어 시리즈 중 처음으로 듀얼링크스에 얼굴을 비췄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1턴만 머무르지만 유성으로 사용할 시 전용 공격 대사 및 효과 발동 대사도 들을 수 있었다.
이후 다크 시그너 렉스 고드윈이 게이트에 추가되면 보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2020년 4월 28일 진행한 5D's 연대기 이벤트에서 UR 등급의 신규 이벤트 보상 카드로 풀렸다. 공지에서 풀린다고 따로 언급이 없었던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역시 SR 등급으로 함께 이벤트 보상으로 주어졌다. 또한 공지에서 "구세의 인도"라는 스킬이 이벤트 보상으로 주어질 것이라고 하였는데, 실제로는 해당 스킬 대신 "세이비어의 빛"이라는 스킬이 이벤트 보상으로 주어졌다. 내용은 1턴에 1번, 패의 튜너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덱의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1장을 필드에 놓는 스킬.
2020년 12월 25일부터 진행한 5D's 연대기 이벤트에서 재록 보상으로 주어졌으며, 신규 카드로는 UR 세이비어 데몬 드래곤과 함께 SR 스타더스트 샤오롱이 풀렸다. 스타더스트 샤오롱은 실전에서 써먹긴 힘들지만, 테마 덱 유저로서는 이 카드가 있어 좀 더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을 소환하기 쉬워진 편이다.
4. 기타
여담으로 "카드 이름의 "セイヴァー"의 발음이 '세이비아'가 아니라 '세이바-'임으로 저 이름은 오역이 아닌가? 그대로 세이바나 세이버(Saver)가 돼야 하는 것 같다"고 많은 유저들이 '''오해'''하고 있으나, 일본어 セイヴァー는 영어로 쓰면 Savior(séivjəːr)가 된다. Saver(séivəːr)은 セイバー나 セーバー로 표기.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서 난 오역이 G-세이버라든지 세이버 건담.
영문명은 '''Majestic Star Dragon.''' 구세주를 뜻하는 세이비어가 심의에 걸린것 같다. 마제스틱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웅장함, 장대함.
[1] 금지령의 재정이 상위 권한으로 인식되는지, 이 카드는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류의 지속 무효화 카드의 효과도 무효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