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홍콩 관계

 



[image]
[image]
'''싱가포르'''
'''홍콩'''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3. 문화 교류
4. 상호 왕래
5. 외교공관
6. 관련 문서


1. 개요


싱가포르홍콩의 관계.
홍콩은 영어, 광동어, 표준중국어를 쓰고 95%의 주민이 중국인이다. 싱가포르도 영어, 표준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를 쓰며 이쪽은 다민족 사회이긴 하지만 70%의 대부분 시민들이 중국인이며 사실상 중국인 이민국가다. 그리고 둘 다 남방계 중국인이 주류로 홍콩은 광동인, 싱가포르는 푸젠인이 주류이며 싱가포르에는 광동인 및 객가인도 상당수다. 그리고 둘다 식민지배 종주국이 영국이라 지명이나 생활방식 등도 엇비슷한데 한 예로 싱가포르 MRT홍콩 지하철은 둘 다 영국의 메트로카멜 제품을 전동차로 수입해 전두부 등이 비슷하게 보인다. 영국 지배를 받았는지라 영어권이 다 그렇듯 쇼핑센터가 마을 중심지 역할을 하는 것도 같은 점이다. 그리고 홍콩 국제공항싱가포르 창이 공항은 둘 다 교통요지로서 동남아시아유럽, 동아시아남아시아/중동을 잇는 환승허브로 쓰인다. 즉 닮았음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서로 경쟁하는 나라라고 볼 수 있다.
홍콩인중국계 싱가포르인이 서로 상대 국가에서 유학 및 취업하는 경우도 많고 국제결혼도 꽤 활발하다. 심지어 싱가포르에서는 이러한 것을 주권반환 이전까지 매우 권장했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어쨌든 중국계가 75%인 나라에서 결국 중국인이 들어와야 국가의 정체성을 훼손시키지 않는데 이런 경우 영어를 사용하면서 학구열과 경쟁시스템이 싱가포르 못지 않은 홍콩은 싱가포르의 주요 인재수입국이었다. 만약에 싱가포르 사람이 홍콩에 나가더라도 결국 자치구도 아니고 중국의 1개 특별행정구인 홍콩의 불안정한 위치로 싱가포르로 돌아오는 경우도 적지 않아 이러한 것을 권장한 점도 있었다. 물론 돌아온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 어차피 싱가포르 국적인지라 중국의 통제 밖에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1] 사실 둘 다 어차피 똑같은 남중국인이라 정서가 똑같다.
홍콩 민주파에게 있어 진정한 민주화가 안 되면 홍콩의 미래는 곧 민주주의가 제한되는 싱가포르다. 그래서 조금 미묘하기도 하다.
홍콩 로컬회사 중 중국계 싱가포르인이 세우거나 투자한 회사도 많으며 싱가포르 회사가 홍콩에 지사를 내기도 하고, 홍콩 회사가 싱가포르에 지사를 내기도 한다. 홍콩 섬 남부 에버딘에는 싱가포르 국제학교가 있다. 홍콩 지하철 남부섬선 웡축항역과 가까운 곳이다.
교류가 많은 것과 별개로 홍콩에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있다. 홍콩 역시 마찬가지. 항만 물류, 금융업 등 주력 산업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예 경쟁상대는 아니고 역할이 서로 달라서 보완해주는 역할도 한다. 홍콩은 결국 중국의 관문이라는 게 핵심 역할인지라 싱가포르 기업들도 중국시장은 홍콩을 통해 접근하며 홍콩에서 중국행 발판을 제공해준다. 마찬가지로 중국 기업의 동남아시아권 진출 발판도 홍콩이 마련해준다. 그래서 서로 보완해주기에 상호가 꼭 필요하다.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홍콩 정부는 싱가포르군대만장갑차를 세관을 통해 억류했다. 명목은 수상한 화물이라는 거지만 사실은 중국이 홍콩을 통해 대만과 싱가포르를 둘 다 압박한다는 관측이 대다수. 새삼스럽진 않은 게 차이잉원은 본토와 상극인 인물이었고 싱가포르도 리콴유 사후 관계가 악화돼 이 참에 강경하게 압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현재 싱가포르 정부는 침착하게 베이징의 외교공관을 통해 나름 강하게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2개월만에 싱가포르군의 장갑차를 반환하기로 했다. 홍콩 내부에서는 일국양제 훼손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020년 10월 15일에 홍콩과 싱가포르가 코로나19 발생이 감소함에 따라 양측 간 항공 여행 을 허용하는 항공여행허용협정(트래블 버블)에 합의했다.#

3. 문화 교류


홍콩/마카오-싱가포르의 교회들도 같은 중화 기독교회인 관계로 교류가 활발해 가톨릭성공회의 종교 교류가 많다.[2]

4. 상호 왕래


싱가포르도 홍콩처럼 워킹홀리데이 비자가 있다. 그러나 취업 등의 요건은 싱가포르보다 홍콩이 더 쉽다. 인턴십의 경우 대부분 사무직 인턴십은 탑 티어에 속하는 대학교 즉 아이비리그옥스퍼드 대학교 등의 명문대를 나오거나 싱가포르의 국립대학같은 로컬 명문대를 나오지 않으면 채용되기 쉽지 않은 게 싱가포르인 반면 홍콩은 영미권 대학 재학 중이나 졸업예정자이기만 하면 비교적 쉬운 편이다. 홍콩은 금융업 위주의 산업구조라 한국과 달리 문과에 기회를 더 주는 편이다.
홍콩은 중국인이 싱가포르로 가거나, 싱가포르인이 중국으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한다. 중-싱가포르 간 직항이 태부족해 대게 홍콩 국제공항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홍콩은 불안정하다며 중국을 불신하는 외국인들에게 폄하당하는 감은 있어도 '''중국의 현관'''으로서 역할은 그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이기 때문이다. 싱가포르 회사는 중국에 법인을 낼 때 홍콩지사나 법인을 통해서 낸다.

5. 외교공관


홍콩은 싱가포르에 경제대표무역부를 설치해 영사 업무를 봐주며 홍콩인들은 중국 대사관에 가기 싫으면 여기로 간다.[3] 반대로 싱가포르는 홍콩에 총영사관을 두어 영사 업무를 보고 있다.

6. 관련 문서


[1] 참고로 홍콩인의 10% 이상은 캐나다, 호주, 말레이시아, 페루, 파나마 등 외국 국적자로 '''중국 정부의 통제 밖'''에 있는 외국인이다.[2] 홍콩-싱가포르 교구는 아시아 유일의 대형 성공회 교구다. 홍콩에서 대륙이랑 마카오, 대만은 물론 한국, 일본까지 싸잡아 관할할 정도다.[3] 상호 입국 시에도 여권만 있으면 바로 프리패스로 들여보낸다. 중국 본토인이 따로 불려가 싱가포르 이민국에 이것저것 취조당하는 것과는 별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