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 카이런
'''SSANGYONG KYRON'''
1. 개요
쌍용자동차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생산된 중형 SUV. 무쏘의 후속 모델이자 로디우스에 이어 중국의 상해기차에 인수된 후 출시된 두 번째 차량이며, 액티언(준중형)-카이런(중형)-렉스턴(준대형)으로 이어지는 쌍용자동차 SUV 라인업의 중간 포지션을 차지한다. 로디우스와 함께 역대급 디자인으로 쌍용자동차를 망하게 한 망작으로 불렸다.
투자된 개발비만 해도 240억 원으로 사실상 쌍용자동차의 모든 것을 투자한 차량이다. 통상적 신차 개발 비용이 2,000억 원 정도 되는 반면, 상해기차가 개발 비용을 1,000억 원씩 지불하기로 했지만 무산되었고, 결국 쌍용자동차는 페이스리프트나 할 돈으로 신차를 만든 것이다.[4]
카이런은 디자인만으로 비판도 아닌 전세계적인 비웃음을 샀다. 동시대 모델인 로디우스와 함께 망작 수준으로 당시 쌍용자동차 디자인실은 자동차 산업 흑역사의 산실로 평가된다. 로디우스는 지금까지도 역대 최악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절대 빠지는 법이 없을 정도며, 카이런은 이 리스트에마저 오르지 못하는 듣보잡 디자인 평가를 받는다.
후술할 바와 같이 카이런의 디자인은 역대급이고 세계적이다. 하지만 출시 1년 전인 2004년에 공개된 로디우스에 의해 다소 사장된 경향이 있다.
2. 역사
2.1. 전기형(2005년 6월~2007년 4월)
2005년 6월 9일에 무쏘의 후속 모델로 출시되었다. 출시되자마자 소비자들에게 악평을 받았는데, 이상하게 생긴 앞면과 너무 치켜올라간 듯한 사이드 라인, 그리고 가장 많은 비난을 받았던 특유의 방패형 미등 등 여러 부분이 혹평을 받으면서 소비자들에게 냉정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BBC의 탑기어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로디우스와 함께 엮여 쌍으로 까였다(...). 한편, 국내 소비자 입장에서는 13년 동안 장수 모델로 친숙했던 무쏘의 이름을 내다버리고 생뚱맞은 새 이름을 사용한 것 때문에 당시 쌍용자동차의 모 기업이었던 상해기차와 함께 도매금으로 까기도 했다.'''Silky Driving'''
'''세단이 울고간다'''
인테리어는 액티언과 비슷해 논란이 되었는데, 쌍용자동차의 자금난 때문에 액티언과 공용되는 인테리어를 적용한 것이다. 비대칭 인테리어로 운전자가 쓰기 편하다는 의견도 있다.
알려진 바로 디자인은 무쏘와 뉴 코란도를 직접 담당했던 켄 그린리가 컨셉트 단계에 참여했으며, 그 컨셉트를 이용하여 쌍용자동차의 디자인팀이 디자인을 완성했다. 당시 컨셉트는 당대 유행했던 간결한 선보다는 강한 캐릭터 라인을 활용한, 스포티한 SUV 디자인을 추구했었다는 해석이 있다. # 켄 그린리의 초기 컨셉트(SV-R)를 보면 디자인이 이상한 것이 아니다. 역대급 똥손의 집합소였던 당시 쌍용자동차 디자이너들이 지나치게 손을 대면서 균형감과 세련미를 순삭 수준으로 지워버렸다. 대부분의 차량들이 이런 식으로 디자인되면서 이 시기의 쌍용자동차 라인업은 말 그대로 괴수대백과 그 자체였다.[5]
엔진은 출시 초기에 직렬 5기통 2.7L XDi 엔진만 존재했으나, 직렬 4기통 2.0L XVT 엔진 장착 사양이 2005년 11월부터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변속기는 현대 트랜시스제 수동 5단 또는 메르세데스-벤츠제 자동 5단이 장착되었다. 안전사양으로는 기존의 EBD & ABS를 기본 바탕으로 하여 ESP(차체자세제어장치)를 장착하여 기존의 무쏘에 비해 안정성이 많이 향상되었다.
그래도 바디 온 프레임 차체-후륜구동 기반의 미드사이즈 SUV였고 무쏘로 이어졌던 쌍용자동차 SUV의 이미지로 어느 정도의 수요는 있었다. 시승기에서는 차량의 세팅이 아쉽지만 오프로드에서 진가를 발휘한다는 시승기도 있었고, 쌍용자동차의 벤츠 기반 OM602 엔진에 벤츠의 은퇴 개발진들을 모아서 벤츠의 엔진보다 더 효율과 성능이 좋은 176마력 2.7리터 XDi 엔진은 벤츠의 스타일을 잘 살리고 카이런에 적용된 메르세데스-벤츠제 5단 자동변속기와 호흡이 아주 좋아 호평을 받았다. 시승기에서는 기존의 무쏘나 뉴 코란도가 벤츠의 E클래스 디젤 모델의 엔진을 사용해 저속에서 답답했지만 보완되었고, 코너링도 경쟁차종보다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2007년형 모델을 출시할 때에 나온 하이퍼 하이테크와 같은 최고급 모델의 경우 당대에는 최첨단 시스템인 EPB(전자 파킹 브레이크), EAS(전자제어 에어 서스펜션), TPMS(타이어 공기압 측정 시스템)가 적용되어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하지만 디자인은 이 장점을 모두 갉아먹는 역할로 판매량에 직격탄을 안겼다. 오죽하면 쌍용자동차만 애용하는 한국도로공사마저도 고속도로 관리 차량으로 카이런을 외면하고 더 비싼 렉스턴을 선택할 정도였으니...
2.2. 후기형(뉴 카이런, 2007년 4월~2011년 12월)
2007년 4월에 '뉴 카이런'이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리프트된 이후 디자인이 개선되었다는 평을 받았다. 다만, 2005년에 나온 W221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의 전면과 비슷해 고급스럽다는 평도 많이 받았지만 반대로 비판이 되기도 했다.
2008년 7월에 출시된 2009년형부터는 유로4 배출가스 기준에 만족하기 위하여 DPF가 적용되면서 직렬 5기통 2.7L XDi 엔진은 172마력으로 출력이 감소하고, 직렬 4기통 2.0L XVT 엔진이 장착된 사양은 148마력으로 출력이 감소되었다. 변속기는 현대 트랜시스제 수동 5단을 사용하는 수동변속기의 경우 모델에 상관없이 수출용만 적용되었고, 자동변속기의 경우 직렬 5기통 2.7L XDi 엔진은 메르세데스-벤츠제 자동 5단이 그대로 장착된 반면, 직렬 4기통 2.0L XVT 엔진은 DSI[6] 자동 6단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1월에 출시된 2010년형 뉴 카이런의 경우 원가절감 차원에서 EAS(전자제어 에어 서스펜션)가 삭제되고 사이드스텝이 전 모델에 기본적용되어 승하차 시 편리함이 향상되었다.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18인치 휠 디자인, 그리고 사이드 몰딩 등을 변경하고 하이패스 ECM 룸미러와 크루즈 컨트롤을 추가했고, 5인승 모델이 추가되어 선택의 폭을 넓혔다.
2011년 1월에 출시된 2011년형 뉴 카이런의 경우 원가절감 차원에서 핸즈프리와 TPMS(타이어 공기압 측정 시스템)가 삭제되었다.
애매한 포지셔닝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한 차다. 일부 옵션을 제외하면 렉스턴과 엔진 라인업도 비슷해서 상쇄 효과가 발생했다. 결국 렉스턴이 2.0리터 디젤 엔진 모델을 출시했을 때 판매 간섭으로 2011년 7월에 5인승 모델을 단종시켰고, 2011년 5월에 배기가스 규제로 7인승 모델까지 단종이 확정되어 카이런은 후속 모델을 내지 못하고 2011년 12월에 최종적으로 단종되었다.[7] 실질적으로 카이런이 맡고 있던 포지션은 렉스턴이 그대로 이어받았다고 해도 무방하다.
중국 법인을 철수시킨 2021년 1월까지 중국 쪽에만 카이런이 수출되고 있었는데,[8] 출력이 배기가스 기준에 따라 138마력이라고 한다. 심지어 2.3리터 벤츠 엔진이 150마력인데 더 낮아졌다. 러시아의 지형상 카이런은 오프로드에서 인기가 있다고 한다. 렉스턴의 경우 러시아에서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볼보 XC90과 꽤 비교되던 모델이라 상류층들이 타는 차지만 카이런은 다르다.
3. 후속 모델
2010년에 풀체인지 모델인 프로젝트 D200으로 개발에 들어갔다가 2013년에 개발이 취소되었다. 싼타페보다 큰 모델로 개발했지만 당시의 쌍용자동차의 상황을 보면 개발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다가 2019년 초, 2013년에 개발이 취소된 프로젝트 D200 대신 D300을 준비하여 2021년 2분기 출시를 목표로 준비하는 중이었으나, 2019년 하반기에 수익 악화로 인해 프로젝트가 무기한 연기되었다. #
그 후 2020년, 중형급(D세그먼트) SUV의 프로젝트명이 J100으로 변경되어 신차 개발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 그리고 쌍용자동차 관계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정통 오프로드형 차량으로 개발하는 중이라고 하며, 만약 진짜로 출시된다면 차명은 코란도에 펫네임을 붙이거나 무쏘의 이름을 붙일 가능성이 높다.
4. 논란
4.1. 2.0L XVT엔진과 DSI 6단 자동변속기의 잘못된 매칭
2008년 7월에 출시된 2009년형부터는 직렬 4기통 2.0L XVT 엔진이 장착된 모델의 자동변속기의 경우 메르세데스-벤츠제 5단이 아닌 그 악명높은 DSI[9] 제 6단으로 변경되었다.
초기형인 유로3 2.0L XVT 엔진이 탑재된 모델과 2.7 XDi 엔진이 탑재된 모델에 장착된 5단 미션의 경우는 메르세데스-벤츠제라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08년 7월부터 출고된 유로4 2.0L XVT 엔진이 탑재된 모델에 장착 된 DSI제 6단 미션에서는 많은 문제와 결함이 보고된다.
사실 자동변속기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 문제라면 쌍용이 자체 무게만 2톤에 육박하는 이 차에 일반 세단용 변속기를 집어넣은 것인데, 이 때문에 기어가 2단에서 3단으로 변속될 때 변속 충격이 상당하다. 특히 겨울 아침 냉간 시에는 이 충격이 아주 심하다. 일부 차량은 P와 R 사이에 기어봉이 위치할 때 중립 상태가 되는 문제점도 있다. 리콜을 해주고 있으니 참고할 것.
4.2. 바퀴 빠짐 결함
주행 중에 바퀴가 빠지는 결함이 여러 군데에서 보이고 있다. 쌍용자동차에서는 무상수리를 진행하였다. 10만km 이상 주행으로 노후되어 바퀴가 빠졌다는 변명은 정말 한심하기 그지없다.
대상 기종은 2005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월 8일 사이에 만들어진 카이런이며, 정비 부분은 전륜 볼 조인트이다. 교체 기간을 2014년 12월 26일부터 2016년 6월 25일까지로 고지했지만, 2021년 현 시점에서도 사업소에서 무상 교체가 진행된다.
게다가 쉽게 부식되므로 중고차로 구입할 때는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5. 기타
[image]
그 당시 쌍용자동차를 삼킨 상해기차는 염치도 없이 카이런을 CKD 방식으로 로위(Roewe) W5[10] 라는 차를 만들어서 중국에 시판했다. 게다가 이상한 디자인은 한국에나 주고 설계와 기술 거져먹은 상하이차는 그 디자인을 다듬어서 비교적으로 정돈되어 보이게 만들었다. 한국 입장에서는 열받을 지경이다. 물론 저럴 목적으로 쌍용자동차를 인수한 것이지만 원래 이 차량은 카이런의 쌍둥이 모델로 출시될 계획이었지만 로위가 가져가는 바람에 실패하고 말았다. 중국 내수용으로만 판매되었고 해외수출은 하지 않았다.
사실 카이런의 디자인이 최악이 된 이유는 쌍용자동차 디자인팀에서 켄 그린리의 디자인 컨셉을 다듬는 과정이 서툴러 조잡한 디테일만 들어가서 그렇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전면부와 후면부 정도만 바뀌고 측면은 전혀 바뀌지 않았는데, 비판이 많이 줄었다. 그러니까 전체적인 컨셉은 좋았는데 쌍용자동차 디자인팀의 서툰 솜씨가 조잡하게 만든 것이다. 로디우스도 페이스리프트 이후 후면부를 제외하고는 점잖아지고 어느 정도 봐줄만했다. 그러니까 쌍용자동차 디자인팀의 실책인 셈이다.
주차 브레이크가 카니발 2처럼 페달식(족동식)이다.
7인승 모델은 3열 좌석이 '''뒷차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되어있어 거기에 타다가 뒷차 운전자와 눈이 마주쳤을 때 뒷차 운전자가 아동 학대나 납치로 오인할 수 있으니 3열은 아예 탑승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3열의 창렬
6. 둘러보기
[1] 2013년 초에 프로젝트 개발이 취소되었으며, 2009년~2013년 초까지 개발이 진행되었다.[2] 2019년 초, 2013년에 개발이 취소된 중형급(D세그먼트) SUV인 프로젝트 D200을 대신하여 D300을 준비하는 중이라고 전해졌지만 2019년 하반기에 수익 악화로 개발이 연기되었다.[3] 2020년 초, 2019년에 개발이 무기한 연기된 중형급(D세그먼트) SUV인 프로젝트 D300을 대신하여 J100을 준비하는 중이라고 전해졌다.[4] 그것도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원래 무쏘의 후속 모델로 출시하기 위해 1998년부터 준비했던 Y200(렉스턴)이 출시 직전 상위 모델로 차급이 변경됨에 따라 쌍용자동차는 어쩔 수 없이 짧은 기간 동안에 새로운 무쏘의 후속 모델을 다시 준비해야 했고, 이 시기에 쌍용은 대우그룹의 해체로 다시 떨어져 나와 상해기차에 기술 먹튀를 당하는 등 한참 어려움을 겪던 시기라 경쟁업체들 수준의 투자를 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이다.[5] 일각에서는 당시 자동차 생활에 실린 카이런의 개발비화 기사를 근거로 쌍용자동차 측이 파격에 지나치게 집중한 결과, 카이런과 로디우스의 디테일이 과도해졌다는 의견도 냈다. #[6] 과거 호주의 BTRA[7] 다만, 국내에서만 단종이고 규제가 덜한 수출 시장에서는 조금 더 장수하여 중국 법인을 철수시킨 2021년 1월까지 생산했다.[8] 동남아 지역에는 2014년에, 러시아 지역은 2015년에 단종되었다.[9] 과거 호주의 비트라(BTRA)[10] 영국의 자동차 회사였던 MG로버 그룹의 이름을 못쓰게 되자 2007년에 새로 논칭한 브랜드이다. 브랜드로서의 MG는 지금도 살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