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체호프

 

'''Антон Чехов
'''
'''안톤 체호프|Anton Chekhov'''
''' 본명 '''
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 국적 '''
러시아 제국 [image]
''' 출생 '''
1860년 1월 29일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 현[1]
''' 사망 '''
1904년 7월 15일 (향년 44세)
독일 제국 바덴바일러
''' 직업 '''
극작가, 소설가, 의사
''' 서명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묘소 '''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
''' 학력 '''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의학 / 학사)
''' 사조 '''
리얼리즘
''' 활동 기간 '''
1878년 – 1904년
''' 신체 '''
185cm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부모 '''
'''아버지''' 안톤 체호프 파벨 예고로비치 체호프
'''어머니''' 예브게니야 체호프
''' 배우자 '''
올가 크닙페르 (1904년 결혼)

1. 개요
2. 생애
3. 작가로서의 특징
4. 기타

[clearfix]

1. 개요


의학은 나의 아내요, 문학은 나의 애인이다.

달이 있다고 말하지 말고, 깨진 유리조각에 비치는 한줄기 빛을 보여줘라.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활동했던 러시아극작가, 소설가, 의사. 그리고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 중 한 명이다.''' 푸시킨에서 시작된 러시아 문학 황금시대의 마지막 작가로 꼽힌다.

2. 생애


1860년 러시아 제국 타간로크에서 태어났다. 타간로크(Таганро́г)는 현 러시아 남서부 로스토프 주에 위치한 도시로, 아조프 해와 접한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농노였는데, 할아버지 대에 자수성가하여 자유의 몸이 되었고 어느 정도 먹고 살 정도의 규모의 잡화상을 운영하였으나, 아버지 대에 가게가 파산하여 집안이 몰락하였다. 이에 체호프는 일찍이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 되었는데, 당시 의대생이었던 체호프는[2] 푼돈이라도 벌 목적으로 취미로 쓰고 있었던 단편소설들을 시험삼아 출판사들에게 보냈고 원고가 호평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전업작가로서의 삶을 살게 된다. 당시 유럽의 사회상을 보면 하층민이 그냥 대학도 아닌 의대를 나오고 귀족들만의 직업인 문학가의 길을 걷는 건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체호프가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지닌 천재적인 인물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때문에 냉전시절까지는 러시아 제국 시대에 역사가 왜곡되거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서방의 문학가와 사학자들은 당연히 그가 귀족 출신일 것이라고 확신했고 그렇게 알려져 있었다. 소련이 해체되고 나서 러시아 혁명 이전의 역사가 대대적으로 연구가 되었고 그가 하층민 출신의 문학가였다는 것이 알려지게 된다.
엄청난 수의 단편 소설을 집필한 것으로 유명하다. 1886년 한 해에만 무려 '''116'''편의 단편을 썼고, 1887년엔 '''69'''편을 썼다. 물론 작가 생활 초기에는 정말 취미 정도의 이야기들이었지만, 시간이 지나고 글을 많이 쓰게 되면서 점점 작가로서 성장하며 진지한 주제를 많이 쓰게 되었다.
당시 러시아에서는 단어수로 원고료를 주었기 때문에 러시아 소설들은 분량이 굉장히 길었다. 도스토옙스키톨스토이의 작품들이 유별나게 긴 것도 이 때문. 참고로 프랑스의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빅토르 위고의 작품들이 긴 경우도 단어수에 비례하여 원고료를 지급했기 때문이며, 그래도 어지간하면 주제의식에서 벗어나지는 않는 러시아 소설에 비해 프랑스 소설의 경우 소설의 주된 서사 진행에서 이탈해서 딴 이야기를 늘어놓는 것으로 보일 정도로 노골적인 분량 늘리기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편. 이런 긴 분량의 근본적인 이유를 '방대한 분량을 필연적으로 수반할 수밖에 없는 대담한 주제 선정' 이라고 비교적 호의적으로 평가하려 하는 이들도 종종 있기는 하나... 비교적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지엽적인 내용이나 사건적, 장소적 배경 등을 백여 페이지 이상에 걸쳐 설명하는 경우가 빈발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글쎄... 반면 체호프는 반대로 간결하면서도 재밌는 글을 쓰는 데 집중하였다.
1890년에 체호프는 시베리아 횡단 및 사할린 여행을 떠났는데, 이 여행은 체호프 본인의 전환점 중 하나가 되었다. 이전까지 체호프는 톨스토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나, 여행에서 얻은 경험을 계기로 체호프 본인의 독자적인 사상을 갖게 되었다. 이 여행 경험을 토대로 체호프는 여행기 <시베리아에서>와 사할린 관찰 보고서인 <사할린 섬>을 집필, 출판하였다. 이 글들은 사회 고발적인 성격이 강한 수필이다. 당시의 시베리아나 사할린은 유배지이자 러시아 제국에서도 가장 변방이었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 대다수가 가난은 말할 것도 없고, 정부의 탄압과 무관심에 시달렸던 곳이다. 의사이기도 한 체호프는 여행 당시 무상으로 주민들을 진료해 주기도 했는데, 이런 점으로 소련에서 인민을 위하여 봉사한 작가라고 존경받았다.
그러나 체호프는 1890년부터 시작된 결핵 증세로 자주 앓아 눕기 시작했다. 그를 걱정하던 형과 아버지도 결핵으로 죽어서 그도 전염되었다는 설도 있고, 시베리아 여행에서 환자들을 진료해 주면서 전염되었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그는 결핵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자, 자신이 언제든 곧 죽을 수 있음을 각오하며 살았다고 한다.
1900년에는 러시아 문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추천되어 회원이 되었지만, 2년 뒤에 아끼던 후배인 막심 고리키가 반체제 혐의로 아카데미에서 제명 처리되자 그는 이를 반대하였다. 아카데미에서는 저명 인사였던 그를 설득했지만, 스스로 아카데미에서 탈퇴하였다.
[image]
1901년 5월 25일에 자신보다 8살 연하인 33세의 배우 올가 크닙페르(Olga Knipper,1868~1959)와 결혼했다. 하지만 점차 결핵 증세가 심해지기 시작한다.
1904년 1월 17일, 자신의 새 연극 <벚꽃 동산>이 초연될 때 그도 무대에 나와서 인사를 했는데, 그야말로 곧 죽을 사람을 연상시킬 정도로 쇠약해진 얼굴이었다. 이를 보다 못한 관객들이 '''"보내시오! 제발! 안톤 파블로비치를 제발 병원에 보내시오!"''' 라고 소리를 질렀고, 결국 체호프는 연극이 끝나기도 전에 쓰러지고 만다. 다행히 병원에서 치료도 받고 독일 바덴바일러에서 요양도 하면서 조금 건강이 괜찮아진 체호프는 글쓰기를 다시 시작한다.
그러나 여섯 달도 못 가서 1904년 7월 15일 밤에 갑자기 고열과 여러 증세를 보인다. 그리고 벌떡 일어나서 독일어로 '''"Ich sterbe! (이히 슈테르베/난 죽는다!)"''' 라고 소리쳤다. 독일인 의사가 와서 진료했으나, 오래 안 가 의사는 조용히 청진기를 내리고 고개를 돌리며 말하길 "마지막 가는 길에 포도주를 주도록 하세요." 이 말에 아내인 올가는 울기 시작했고 결국 마지막으로 포도주를 입에 머금은 그는 미소를 지으며 유언을 남긴다.

'''"오랜만에 마셔보는 포도주인걸...맛이 좋아..."'''

그리고, 영원히 눈을 감았다. 이렇게 희곡 쪽에서 구태의연한 러시아의 사회를 향해 의미있는 사회적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하는 그의 작품세계가 점점 원숙미를 더해가던 중, 44세 한창 젊은 나이로 요양하던 독일 바덴바일러에서 요절했다.
러시아 측은 그의 시신을 특별히 냉동열차로 운반해 조국에 묻힐 수 있도록 배려했다. 비슷한 시기에 병으로 죽은 러시아 제국 장군인 표도르 켈러(1850~1904) 장례식이 열렸는데 체호프의 죽음을 애도하러 온 사람들이 실수로 켈러의 장례식이랑 헷갈려 참가하는 일도 있었다. 체호프는 노보데비치 무덤에 묻혀졌는데 니콜라이 고골이라든지 여러 러시아의 유명 예술가들도 묻힌 곳이다.
톨스토이가 무척 아끼던 후배였기에 톨스토이와도 여러 번 만났고 그도 톨스토이를 존경하였다. 서로 사이좋게 지내다보니 그가 죽었다는 소식에 톨스토이는 매우 슬퍼했으며 당연히 장례식에 참여했다.
아내 올가와의 결혼 생활은 불과 3년뿐이었고,[3] 둘 사이에서 자식은 없었다. 올가는 남편과 사별한 후에도 배우로 꾸준히 활동하며 장수를 누리다가 55년 만인 1959년에 만 90세로 타계했다. 그녀는 소련 시절에도 '인민을 위하여 봉사한 작가'라고 호평받으며 더 많이 출판되던 체호프의 책과 연극, 영화에 대하여 일부 판권을 인정받아 경제적으로 어렵게 지내지 않았으며, 체호프를 그리워하는 회고록도 썼다.
고향인 타간로크에는 그를 기념하는 문학 박물관과 오페라 발레극장이 있다.

3. 작가로서의 특징


정확한 필치로 생의 장면들을 잘라 그려낸 듯한 작풍이 특징이며, 글의 길이가 대체적으로 짧은 편이다. 개중엔 단 몇 페이지에 불과한 작품[4]도 있다. 또한, 미사여구를 구사하기 보다는 평이하고 단순한 일상어를 바탕으로 문장을 간결 명료하게 구성하는 문체를 구사한다.
단편소설의 선구자이며 대가이자, 단편소설만으로 일가를 이룬 대문호라는 평가를 받는다. 수많은 후대의 소설가들이 체호프의 단편 소설과 문체에 영향을 받았는데, 레이먼드 카버 등 그 이름을 나열하기도 버거울 정도이다. 작품의 소재도 러시아 농민들의 삶이나 공무원들의 고생부터 말도둑, 심지어는 탐정물까지 쓴 적이 있을 정도로 그 범위가 매우 다채롭다. 유명한 작품중 하나인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가 인류 역사상 최고의 단편 소설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5]
아무튼 이런 단편을 한해에 100편 넘게 쏟아냈다. 때문에 번역 문학의 시장규모, 활동이 활발한 영미권에서조차 200여 편 가량의 단편만 번역되었을 뿐, 체호프의 전집은 나오지 못했다.
단편소설로도 유명하지만, 극작가로서의 명성이 더 높다. 흔히 셰익스피어와 함께 체호프를 극작가의 양대 산맥으로 꼽는다. 전 세계 극장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과 함께 가장 많이 공연되는 외국 극작가이다. 러시아 근대문학을 배울때에도 소설가로서보다는 극작가로서 더 쳐주는 경향이 짙고 러시아 사람들은 체호프를 극작가로 생각하는 편이다. 그 자신도 문단보다는 극단계쪽으로의 인연이 더 깊었다. 부인 올가도 잘나가는 모스크바 예술극단의 스타급 배우였다.[6] 러시아의 연극배우 지망생들에게는 셰익스피어 작품 이상으로 파고들어야 인정받을 수 있다는 평을 들을 정도. 특히 연기와 연출의 방법론을 두고 19세기 러시아의 스타니슬랍스키와 메이어홀드가 논쟁을 벌였을 때, 그 대상이 체호프의 벚꽃 동산이었기 때문에 배우와 연극 연출가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작가이다.
대표 희곡으로는 단막극 청혼, 과 흔히 체호프 4대 장막극으로 불리는 갈매기, 바냐 아저씨, 세자매, 벚꽃 동산과 등이 있다. 체호프가 40대 중반의 나이로 요절하였기 때문에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못 하였다. 평생에 걸쳐 38편의 작품을 남긴 셰익스피어와 달리 40대 중반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요절하여 불과 4편의 장막극만을 남겼지만, 그럼에도 셰익스피어와 함께 극작의 양대 산맥으로 거론된다는 점에서 그의 위대함을 알 수 있다. 그가 좀 더 오래 살았으면 얼마나 많은 위대한 작품을 더 남겼을지를 생각해 보면 참으로 아쉬운 대목이다.
체호프의 총이라는 클리셰 법칙을 만든것으로도 유명하다. 처음에 벽난로의 총이 소개되었다면 그 총은 극이 끝나기전에 적어도 한번은 발사되어야 된다는 것이다. 체호프의 총과 반대되는 개념이 바로 맥거핀이다. 중요한 소재인 것처럼 초반부에 등장하였다가, 서사를 진행시키는 기능만 수행하고 그 떡밥은 슬며시 사라지게 하는 서사 기법으로 영화감독 히치콕이 유명해지게 한 서사 기법이다.
무거운 분위기의 작품을 쓴다는 인상이 있는데 유머러스한 작품도 많이 썼다. 그의 단편작 중 상당수는 읽다보면 지금 기준으로도 웃음을 자아내는 내용이 많다. 체호프 본인도 꽤나 유쾌한 성격이었다고 알려지며, 스스로를 코미디 작가라고 생각했다. 갈매기는 아예 서문에 4막으로 구성된 코미디(희극)이라고 명시되어 있을 정도이다.
당연히 모국 러시아에서는 위대한 대문호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러시아 언론매체에서 늘 열손가락에 드는 작가로 나올 정도.

4. 기타


고려대학교의 교호에 들어 있는 '체이홉'이란 단어는 안톤 체호프를 상징하는 말이다.
[1] 러시아 로스토프 주 타간로크[2] 체호프는 비록 정식 의사는 아니었으나 '가난한 농민이 병원 갈 돈이 없어 앓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면 환자의 집을 찾아가서 기초적인 치료를 무료로 해준 적이 많았다고 한다.[3] 또한 올가가 연극배우 활동으로 집을 비우는 일이 적지 않았고, 때문에 3년 동안에도 부부가 함께 했던 시기는 길지 못했다.[4] Flash Fiction(엽편)이라 불리는 종류의 소설들로 약 300자 내외의 분량으로 이루어진 단편들이다. 이런쪽을 주로 다루는 작가도 있는데, 이 장르의 시초는 이솝 우화로 유명한 이솝이나 일본의 SF 작가 호시 신이치가 대표적이다.[5] 이 작품은 클리셰 파괴로도 유명한데, 특히 결말에서 두 연인이 행복하게 살았다는 게 아니라 이제 어떻게 해야 될까 고민하면서 끝나서 '끝나지 않는 이야기'란 인상을 주었다고. 한편으론 이런 결말에 익숙하지 않던 독자들을 당황시키기도 했다.[6] 올가는 체호프의 희곡 대표작인 갈매기, 바냐 아저씨, 세자매 등에 출연한 바 있었고, 이를 계기로 체호프와 가까워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