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보로딘
1. 생애
러시아 5인조의 일원으로 러시아의 국민악파 음악에 큰 업적을 남겼다.
보로딘은 1833년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조지아 출신의 러시아 귀족인 아버지 '루카 시모니스 제 게데바니슈빌리(ლუკა სიმონის ძე გედევანიშვილი)'와 유럽계 어머니 '예프도키야 콘스탄티노브나 안토노바(Евдокия Константиновна Антонова)'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 이 때문에 아버지의 농노인 '포르피리 이오노비치 보로딘(Порфирий Ионович Бородин)'의 아들로 입적, 어머니 밑에서 자란다. 그러니 '보로딘'이란 성은 아버지의 성이 아니라 농노의 성이다.
어쨌든 어머니 밑에서 비교적 유복하게 자랐고, 9살 때부터 피아노, 플루트, 첼로 등의 악기를 배우며 9세에 폴카를 작곡, 13세에는 플루트 협주곡을 쓰기도 했다. 하지만 전공을 화학으로 선택하여 상트 페테르부르크 의과대학에서 화학과 의학을 전공한 후 1859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으로 유학을 가는데, 그 곳에서 요양 중이던 아내를 처음 만나고 후에 결혼에 성공하지만, 아내는 병약한 탓에 보로딘은 계속 아내를 간병해야 했다. 이후 모교의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는데, 알데하이드 연구를 하였다고 한다.
교수로 재직하던 중에 발라키레프를 알게 되어 작곡을 배우고, 교수 일과 아내 간병으로 바쁜 와중에도 틈틈이 시간을 내어 작곡에 힘쓴다. 한편으로 러시아 5인조에 가입해 러시아 국민음악의 창조에 전력을 다하고, 여성해방운동에도 관여해 러시아 최초의 여자의학교 설립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1869년, 그의 나이 36세에 드디어 교향곡 1번을 초연하여 호평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작곡가로서의 인생을 시작하고, 그의 대표작인 교향곡 2번과 오페라 '이고르 공'에 착수하지만 이번에는 화학자로서 그의 논문이 표절 시비에 휘말리는 바람에 작곡을 중단, 작곡이 늦어지게 된다.
이후 논문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면서 다시 작곡활동을 시작, 교향곡 제2번을 완성한다. 이 곡은 프란츠 리스트에게 격찬을 받고 그의 이름을 널리 퍼트리는 계기가 된다. 이후 해외로 여행을 떠났다 다시 귀국하여 현악 사중주 1번, 교향적 스케치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를 작곡한다.
이후 계속해서 오페라 <이고르 공>, 현악 사중주 2번, 교향곡 3번의 작곡에 힘쓰지만, 워낙에 바쁘다 보니 작곡이 늦어졌다.[2] 결국 오페라 <이고르 공>과 교향곡 3번은 미처 완성하지 못한 채, 1887년 어느 무도회 자리에 참석했다가 심장발작으로 숨을 거둔다.
2. 작곡 특징
보로딘의 곡들은 러시아 특유의 대인배스런 성향이 잘 드러나는데, 특히 교향곡 2번을 듣고 있으면 유라시아 대륙의 기상이 느껴진다. 지휘자이자 작곡가인 바인가르트너가 "러시아를 알고 싶다면 차이콥스키 비창교향곡과 보로딘 교향곡 2번을 들어보라"는 말을 했을 정도이다.
또, 같은 러시아 5인조인 모데스트 무소륵스키가 피아노곡에,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가 관현악곡에 충실했다면, 그는 실내악곡에 중점을 두었는데, 현악 4중주 1, 2번과 피아노 5중주, 6중주 등 수준급의 실내악 작품들을 남겼다.
3. 주요 작품
3.1. 관현악곡
3.2. 피아노곡
- 작은 모음곡
- 스케르초 A플랫 장조
- 헬레네 폴카 D단조 : 위에서 말한 9살 때 작곡한 곡이다.
- 젓가락 행진곡[5] 의 변형적 표현
3.3. 실내악곡
- 현악 사중주 1번 A장조
- 현악 사중주 2번 D장조 : 이곡에 있는 '녹턴'은 특히 유명해 따로 연주되기도 한다.
- 피아노 5중주 C단조
- 피아노 3중주 D장조
- 현악 6중주 D단조
3.4. 오페라
- 이고르 공 (미완성): 이 오페라에 있는 '폴로베츠인의 춤'은 워낙 유명해서 따로 발췌되어 연주되며, 단독 관현악곡으로 음반도 많이 나와 있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의 가장 첫 부분(그 유명한 사륜기 퍼포먼스)을 장식한 곡이기도 하다. 그 외 사라 브라이트만이 부른 'Stranger in Paradise'[6]# 와 Izzy[7] 의 'Song of our Homeland' 에도 이 곡이 샘플링되었다.# 바이오쇼크 시리즈의 Burial at Sea # OST 등 다양한 매체에서 샘플링 되었다.
오덕계에서는 그 남자! 그 여자!에서 오페라 <이고르 공>에 나오는 '폴로베츠인의 춤'이 OST로 쓰인 바 있다. 최종화 8장 극후반에서 10장까지 사용되었다.# 곡 이름은 <달단인용(韃靼人踊)>인데 폴로베츠인은 타타르의 일파인 킵차크인을 러시아에서 부르는 말이었으므로 결국 원제와 거의 같은 뜻이다. 또한 라제폰, 혈계전선의 OST로도 쓰였다.# 이외에도 이 곡은 광고, 뮤지컬 등에서 널리 사용되므로 한 번 들어보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4. 기타 사항
- 어렸을 때 어머니와 함께 살 때 가족 중에 남자보다는 여자들이 더 많아 여자들 속에 둘러싸여 자랐다. 그래서 어렸을 때에는 반 여자 취급을 받았고, 성인이 된 후에도 이 때의 영향으로 성격이 유순하고 부드러웠다고 한다.
- 위에서 말했듯이 화학자로도 활동을 했는데, 주로 연구한 분야는 알데히드나 벤젠과 같은 유기화합물이었다고. 때문에 화학 반응 중에 그의 이름을 딴 '보로딘 반응'도 있다.#[8] 한편으로 주기율표를 고안한 멘델레예프와도 친분이 있었다. 멘델레예프가 보로딘의 '교향적 스케치'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를 미술 작품으로 착각했다는 일화도 있다.(...)
- 사실 그의 본업은 화학자 쪽에 더 가까워서, 작곡은 휴일인 일요일이나 건강이 나빠 휴양할 때에만 시간을 투자한다 하여 스스로 '일요 작곡가'라는 말을 붙이기도 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그의 작품은 수가 매우 적은데다 한 곡에 몇 년씩을 투자하는 건 예사고, <이고르 공>의 경우 20년 가까운 시간을 투자하고도 결국 완성을 못 했다. 그가 남긴 미완성곡 중 일부는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등의 후배 작곡가들이 보완하여 완성시킨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이고르 공>과 교향곡 제3번.
- 그럼 휴일에는 마음껏 작곡을 할 수 있었냐면, 집에 있는 시간의 상당부분은 아내 간병에 신경써야 했던 데다가 그의 집에서는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기르고 있었고 툭하면 지인이나 친척이 찾아와 묵고 가는 등, 그야말로 북새통에 가까웠다고 한다.(...)
- 이렇게 바쁜 일상 때문인지 보로딘 본인도 건망증으로 애를 먹는 경우가 많았다.한번은 상의는 정장을 입고 모자까지 썼지만 정작 바지를 입지 않고 외출한 적도 있었다. 한편 자신의 집에서 연 모임에 참석했다가 급히 옷을 입고 나가면서 주위 사람들에게 "이만 내 집에 돌아가도록 하겠네."라고 말한 적이 있다(...).
- 애니메이션 울려라! 유포니엄에서도 미나미우지 중학교 취주악부가 중3 콩쿠르 때 연주한 노래로 2기 1화 회상신에서 나오며, 미나미중 출신인 카사키 노조미가 혼자 플루트로 연주하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1학년 때 일로 노조미와 서먹했던 요로이즈카 미조레는 노조미의 플루트 소리에 속이 울렁거린다며 괴로워했다.
- 은하영웅전설에 등장하는 동맹군 명장 보로딘의 이름도 이 인물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 작화를 보면 닮았다고 느낄 수 있다.
[1] 러시아 표기 Луки Степановича Гедианова [2] 1880년대쯤 되면 화학자, 대학교수 뿐 아니라 여성교육운동에도 깊이 관여했으니, 작곡할 시간이 있을리가...[3] 1,2악장만 완성된 상태이고 나머지는 후배인 글라주노프가 관현악화했다.[4] 일반적으로는 교향시로 분류한다.[5] 우리가 아는 그 젓가락 행진곡이 맞다[6] 보통 그녀가 출연한 오페라의 유령과 엮긴 뮤직비디오가 많다.[7] 2000년대에 활동했던 영국의 싱어송라이터로 본명은 이소벨 쿠퍼(Isobel Cooper).[8] 영어판 위키피디아에는 훈스디커 반응(Hunsdiecker reaction)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있지만, 아무래도 네임드 작곡가이기도 한 보로딘과의 공동연구 결과다보니 대중들에게는 다소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훈스디커 부부 이름은 잘리고(...), 보로딘 반응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