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에 겐자부로

 


'''오에 겐자부로
大江 健三郎

Kenzaburō Ōe'''
[image]
[image]''' '''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오에 겐자부로
(大江 健三郎, Kenzaburō Ōe)
'''국적'''
일본 [image]
'''출생'''
1935년 1월 31일, 일본 제국 에히메 현 우치코정 오세히가시
'''학력'''
도쿄대학 문학부 불문(프랑스어)과
'''직업'''
작가
1. 개요
2. 대표작
3. 정치적 성향
4. 여담


1. 개요


일본소설가이자 사회운동가. 일본 내 진보주의, 평화주의의 상징으로 '''일본 양심의 상징'''으로 불리며 일본의 2번째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이다. 1958년 당시 '사육(飼育)'이라는 작품으로 23년 5개월의 연령에 아쿠타가와 상 수상이라는 상당한 경력이 있다. 당시에는 최연소 수상자였고, 이 기록은 2003년까지 유지된다.[1]
전술했듯, 가와바타 야스나리에 이어 일본인으로는 2번째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노벨상 수상 직후 아키히토 덴노가 문화훈장과 문화공로상을 수여하려고 했으나, '''본인이 거부하였다'''. 이유는 '''전후 민주주의자로서 민주주의 위에 군림하는 권위와 가치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2] 후술된 정치성향을 보면 알겠지만 좌파성향이 강해 사회운동도 하고, 특히 원폭과 원전 전반에 대한 비판을 많이 한다. 반전 운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대표적인 친한파 명사. 실제로 노령임에도 한국에 자주 방문한다.
현재는 절필을 선언하며 작품 활동은 하지 않는다. 대신 사회운동을 택했다고.

2. 대표작


'''만엔원년의 풋볼'''(万延元年のフットボール)
'만엔원년'이란 제목 때문에 막부 말기의 일본을 다룬 소설로 생각하기 쉽지만[3], 그렇지는 않다. 오에의 대표소설이자 '''다니자키 준이치로상 및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다. 1967년작이고 영제는 'The Silent Cry'.
안보투쟁에 참가했다가 진압대에게 영 좋지 않은 곳을 맞아 미쳐 버린 뒤 기괴한 몰골[4]로 자살한 친구를 '''부러워하며''' 폐인처럼 지내던 주인공 네도코로[5] 미쓰사부로는 안보투쟁에 참가했다가 전향한 인물의 대표로 미국에서 참회극 공연(…)을 하던 동생 다카시가 돌아왔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다카시와 만난 미쓰사부로는 다카시의 권유로 (막부 말기) 만엔원년에 농민 봉기를 일으킨 (주인공의) 증조부 동생과 그를 진압한 증조부의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 내려오는 고향 시골 마을로 떠나게 된다.
그곳에서 다카시는 자신을 증조부 동생과 동일시하며, 인근 조선인 부락 출신이었으나 지금은 시골 마을의 경제를 장악한 조선인, 일명 '슈퍼마켓 천황'[6]이 소유한 슈퍼마켓을 습격할 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해 마을 청년들을 모아 풋볼 연습을 빙자한 훈련을 시키기 시작하는데…
제목처럼 과거와 현재가 절묘하게 얽혀 들어가는 전개가 일품이디. 재일동포 문제도 다룬다. 주인공 친구부터 시작해서 알콜중독자인 주인공 아내, 근친상간 이야기, 처참하게 죽은 마을 처자와 관련 묘사 등등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이 여럿 나오며, 이야기의 흐름을 조금도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등장인물과 사건 자체의 의미를 완전히 뒤엎어 버리는 결말부의 충격적인 반전이[7] 인상적이다. 이렇게 폭풍처럼 휘몰아치는 전개 방식으로 일본이라는 국가의 폭력성과 그에 대한 수치심을 오롯이 시사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치료탑'''(治療塔)
1990년작. 사람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탑이 있는 혹성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뤘다. 장남인 히카리가 자폐를 안고 태어나서, 평생을 힘들게 살았던 저자의 개인적인 고뇌가 표출되었다고 해피 SF 2호(비정기 발행 무크지)에서는 말한다. 이 일화는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나왔다.
'''체인지링'''(チェンジリング)[8]
중년의 시점에서 자신의 '''친구 겸 처남'''과 작가 본인의 청소년기 시절을 회상하고 고뇌하는 소설. 역시 저자인 오에 겐자부로의 체험.[9]을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작품. 2000년작이다.
''''나의 나무' 아래서'''(「自分の木」の下で)
오에 겐자부로의 사상과 그 한계를 엿볼 수 있는 에세이집. 2001년에 발간되었다. 책 제목은 "사람마다 자신의 나무가 있으며, '나의 나무' 아래에서는 노인이 된 자신을 만날 수 있다"는 고향 지방의 전설에서 따 왔다.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 의외로 '비교적' 쉽게 쓰여 있다.
'''개인적인 체험'''(個人的な体験)
한때 유망한 대학원생이었으나 술에 의지해 현실도피한 끝에 입시학원 강사로 전락한 주인공이, 막 태어난 자신의 아들이 머리에 기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이 아이를 기를 것인지 아니면 '안락사'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에 놓이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 이야기. 1964년작이다. 이 작품 역시 작가의 경험을 토대로 쓰여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겐자부로의 아들인 유명한 음악가 오에 히카리는 뇌 헤르니아 장애로 뇌수술 끝에 무사히 태어나나 일생동안 지체장애를 안고 살게 되는데 특유의 절대음감으로 음악에 재능이 있다는 걸 알게 된 가족들의 격려로 음악가의 길을 걷게 된다.
'''아름다운 애너벨 리 싸늘하게 죽다'''
(臈たしアナベル・リイ総毛立ちつ身まかりつ)
나이가 70이 넘은 겐산로[10]는 지적장애인 히카리[11]를 돌보며 늙어가고 있었다. 어느 날, 겐산로의 지인이자 영화 제작자 고모리가 30년 만에 그의 앞에 나타난다. 겐산로와 고모리는 과거 8mm 영화 <애너벨 리>의 여주인공이었던 아역 배우 출신 사쿠라와 함께 30년 전 독일 작가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미하엘 콜하스의 운명>을 일본 시코쿠지역 농민봉기로 각색하여 영화를 제작하려고 했다. 하지만 불미의 사고로 영화 제작 프로젝트는 무산되어 고모리는 미국으로 도피했고, 사쿠라는 영화 출연의 꿈을 포기하게 되었으며, 겐산로는 점점 글쓰기와 멀어지게 되어 서로 각자 마음의 상처를 지니고 있었다. 그로부터 30년 뒤, 겐산로는 고모리와 오랜만에 회동하고, 한국의 시인 김지하 석방을 위한 단식 농성장에 찾아온 사쿠라를 마주하게 되며 이 셋은 자신들에게 트라우마와도 같던 영화 제작 프로젝트를 재개하기로 하는데...
세 사람이 지니고 있는 예술가로서의 열정을 표현함으로써 지난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는 노인들의 성장 소설이다. 또한 오에 자신의 자전적인 내용도 들어있어 픽션과 논픽션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다.

3. 정치적 성향


일반적인 정치 성향은 좌파이자 진보적 성향을 띤다고 알려져있다. 더 나아가 덴노제 폐지를 주장하고 아키히토 덴노의 훈장 수여를 거부하는 등 덴노제에 대한 적개심도 있는 편.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자위대의 파병에 대해 '이라크에 대해서는 순수한 인도적 원조만 하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2004년에는 헌법 9조(평화헌법)를 지키기 위한 '9조의 회(모임)'라는 단체를 결성하기도 했다.
또한 고이즈미 전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일본과 일본의 젊은 세대의 장래를 최대한으로 해치는 것'이라고 말한 적도 있으며, 2012년 영토 문제의 악순환을 막자며 독도센카쿠 열도에 대해서는 과거에 일본이 침략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적도 있다. 또한, 난징대학살에서 일본군의 잘못을 인정하는 등 일본의 우익세력이 이를 갈만한 성향이다.
2014년 김영호 경북대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가짐으로써 20년만에 한국 언론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으며, 이때는 아베 신조의 행보를 조목조목 비판하기도 했다. 아시아의 평화가 개별 국가의 번영보다 우선하는 가치가 되어야 한단 말도 했다.

4. 여담


  • 루쉰을 20세기 가장 위대한 아시아 작가라고 평했다.#
  • 나이를 먹은 뒤로는 작품 활동보다는 에세이를 더 많이 쓰는 편이다.
  • 일본 유명 음악가로 활동하는 장남인 히카리가 자폐아로 알려져있다. 당연히 오에는 상심이 컸는데, 그런 고통을 나중에 소설 '치료탑' 과 '치료탑 혹성' 으로 표출하였단 평도 있다. 이후 개인적 체험을 통해 아들과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이 아들인 히카리는 절대음감을 통해 유명한 음악가가 된다.
  • 오에의 청년시절 이후의 작품들은 비비꼬인 복잡하고 난해한 문장 때문에 읽기 쉽지 않은 편이다. 오에 스스로도 자신의 문장을 '악문'이라고 부를 정도다. 그래서 그가 일본 문학계의 거성이 되고 노벨 문학상까지 받고 난 후에도 '일본 사람들은 누구나 집에 오에 겐자부로의 책을 한 권씩 사 두지만 정작 읽은 사람은 적다'라는 우스개소리가 있다.
  • 2005년 서울국제문학포럼에 참석해 "이 자리에는 노벨상을 이미 받았어야 하는데 못 받은 작가 한 사람과, 앞으로 받을 사람이 세 사람이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때 '못 받은 작가 한 사람'은 르 클레지오(2008년 수상)였고, '앞으로 받을 사람 세 사람'은 오르한 파묵(2006년 수상)과 모옌(2012년 수상) 그리고 황석영이었다. 관련 기사. [12]

[1] 2003년 하반기 아쿠타카와 상을 당시 19세이던 와타야 리사가 수상하며 이 기록은 깨지게 된다. 엄멀히는 1999년 수상자 히라노 게이치로가 생년월일차로 앞서 깨졌으나 여전히 23세였기에 기록 자체는 유지되었다.[2] 재미있는 것은 "내가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면 나 다음으로 상을 받을 사람은 오에 밖에 없다"며 오에 겐자부로의 노벨상 수상을 예언한 미시마 유키오는 극단적인 덴노주의자였다.[3] 츠츠이 야스타카가 이 작품의 제목을 패러디해 만든 '만엔원년의 럭비'라는 단편이 있는데,거기서는 만엔원년에 일어난 사쿠라다문밖의 변을 배경으로 이이 나오스케의 잃어버린 목을 두고 닌자들이 럭비 대결을 벌인다. 물론 공은 이이의 머리다(...)[4] 벌거벗은 채 머리와 얼굴을 빨간 페인트로 칠하고 항문에 오이를 쑤셔 박은 채 목을 매달았다. '허벅지에는 생애 마지막 검열삭제가 묻어 있었다'라는 자비 없는 추가 묘사까지 있다![5] '네도코로'(根所)는 '네즈'로도 읽을 수 있는데,이를 이용해 주인공은 스스로를 '네즈미'(쥐)라 부른다.[6] 조선인에게 '''천황'''이란 이름을 갖다 붙인 것은, 자신들이 과거 깔보고 무시하던 조선인에게 지배당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기 위해서란다. 훌륭한 정신승리법이다.[7] 농민 봉기를 일으킨 증조부 동생은 증조부의 손에 죽었다는 것이 마을에 퍼진 이야기였는데, 미쓰사부로는 증조부 동생이 죽지 않고 혼자 도회지로 도망쳤음을 나타내는 증거를 얻게 된다. 그리고 진실은…[8] 일어 제목의 가타카나를 그대로 번역한 영향인지 체인지링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됐지만 작가가 영감을 얻은 서구 유럽의 설화에 나오는 존재의 올바른 표기는 영문 표기가 Changeling이므로 '체인질링'이 맞다. 서적 겉표지의 일러스트 밑에도 확연하게 Changeling이라고 쓰여 있다.[9] 자신의 '''불알친구이자 처남'''이었던 명감독 이타미 주조(1933~1997)의 자살 사건이다. 그는 본격 야쿠자 까는 영화 '민보의 여자'의 내용 때문에 야쿠자에게 심한 린치를 당했을 때도 '나는 굴하지 않는다. 영화로 자유를 가로지를 것이다'라고 선언한 그런 쿨가이였다. 하지만 불륜 의혹에 대해 '죽음으로 결백을 증명하겠다'며 투신자살하고 말았다. 다만 이 자살에 대해서는 상당히 뒷말이 많다. 정작 생전 인터뷰에서 불륜 의혹에 대해서는 아내한테 물어보라고 대답한데다, 향후 스케줄도 제법 있었기 때문.[10] 작가 자신의 이름 '겐자부로'를 그대로 음독한 것이다.[11] 오에의 장남[12] 그 이전에도 황석영의 손님(2001년작)에 대해 "황석영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고유한 작가세계를 가지고 있다"고 호평한 일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