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혈목이

 



[image]
'''유혈목이'''
Tiger Keelback
이명: 꽃뱀(화사 / 花蛇), 풀뱀(초사 / 草蛇)
율모기[1], 늘메기(문화어)
''' ''Rhabdophis tigrinus'' ''' (Berthold, 1859)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뱀목(Squamata)

뱀과(Colubridae)

유혈목이속(''Rhabdophis'')

'''유혈목이(''R. tigrinus'')'''
1. 개요
2. 상세
3. 천적

[clearfix]

1. 개요


의 종류 중 하나.
몸길이는 0.5~1.2 m로, 국내에 사는 뱀 중에서는 대형이며 무자치와 더불어 흔하게 볼 수 있다. 노년층들 중에서는 이 뱀을 '화사'(花蛇)라고 부르는 경우도 간혹 볼 수 있는데, 실제로 꽃뱀이라는 단어의 유래가 된 뱀으로[2], 원래는 꽃무늬가 있는 예쁘게 생긴 뱀이라는 의미였다. 먹이는 개구리도롱뇽 같은 양서류. 국내 서식하는 뱀 종류 중에선 능구렁이와 함께 '''두꺼비'''[3]를 잡아먹는다.

2. 상세


본래 독사가 아니라고 잘못 알려졌으나, '''엄연한 독사이며''', 과거일본에서 이 뱀에 물려 죽은 사람이 생겨난 후, 연구를 거듭한 결과 어금니 부위에 독니가 있다는 걸 발견했다. 독니가 전면에 드러나는 독사와 달리 상대적으로 뒤에 숨겨져 있었기 때문에, 제대로 물리는 경우가 아니면 독이 퍼지지 않아 알려진 피해자가 없었던 것.[4] 또한 다른 독사들이 사람을 만나면 잘 도망가지 않고 사람을 경계하는 반면 유혈목이는 될 수 있으면 도망간다. 이러한 점 역시 유혈목이가 독사라는 사실이 늦게 알려지는 데 한 몫 했다.
특이한 사실은 용혈독을 사용하는 독 외에도 수동적 방어수단으로 별도의 독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위협을 받으면 목을 넓게 펼쳐 위협하면서 공격을 그 방향으로 유도하기도 하는데 이부분에 추가적인 독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분을 공격받으면 피부가 찢어지며 독이 외부로 흘러나온다. 여기서 나오는 독은 두꺼비를 섭취하면서 저장해 둔 두꺼비독인 부포톡신.목을 부풀리고 머리를 치켜드는 위협자세를 보면 마치 코브라 같다.[5] 일단 꽤 오랫동안 독이 없다 알려졌기 때문에 지금도 종종 독이 없다고 적힌 책 등을 볼 수 있다. 생각보다 위험한 동물. 그런데 위기탈출 넘버원에서는 독이 없다는 잘못된 정보를 내보냈다.[6] 선글라스 벗어도 죽고 웃어도 죽는다는 프로그램에서 정작 독사에게 독이 없다고 방송한 것은 역시 아이러니. 게다가 이 독은 쇠살무사나 까치살무사보다 더 강력하다고 하며, 국내에는 해독제도 없다.
그나마 성격이 온순하기 때문에 큰 위협을 가하지 않는 이상 자기보다 큰 사람에게 덤벼들지 않으며, 사람이 접근하면 목을 납작하게 펴는 위협자세를 취하거나 먼저 자리를 피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꽃뱀에게 물렸다는 사람들은 보통 서로가 서로를 발견하지 못하고 너무 가까이 다가가거나,[7] 혹은 독이 없는 뱀인 줄 알고 맨손으로 그냥 잡으려고 하니 뱀은 커다란 위협으로 느낄 수밖에 없다.
역시 뱀은 뱀이라 정력[8][9]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아재들이나 할배들의 손에 자주 희생당하고 있지만, 다행히 개체수는 아직은 많기 때문에 대도시를 벗어나면 종종 볼 수 있다. 그나마 저건 양반이고, 무단횡단하거나 대낮에 따뜻하게 달궈진 아스팔트 위로 오밤중에 올라와 체온을 높이려다가 차량에 치여서 참혹하게 납작 오징어가 된 채로 발견될 때가 더 많다. 아닌 게 아니라 국내에서 가장 로드킬을 많이 당하는 이다. 국내 뱀 중에서 유혈목이 개체수가 많은 편이고, 서식지와 활동범위가 넓으며 주식이 양서류라 물가나 농경지, 즉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에 서식하기 때문이다.[10]
게다가 사이즈도 작아서 만만한지 1960년대에는 동네 국딩들한테 나뭇가지로 만든 막대나 돌멩이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고 사망하는 안습한 일도 많았다고 하며, 아예 동네 어른들은 꽃뱀으로 뱀술 만든다고 애들한테 뱀 좀 잡아오라고 시켰다고도 한다. 선거 문제로 택배로 꽃뱀을 보낸 사람도 있었다.
여담으로, 우리나라에 사는 뱀 중 유일하게 초록색[11]을 띈다. '''그러므로 야산에서 초록색 뱀을 보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물론 뱀 뿐만 아니라 다른 대부분의 야생동물들도 마찬가지지만.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청사에 많이 출몰한다고 한다. 또 고라니, 무당개구리와 더불어 군부대나 그 주변에서도 의외로 종종 볼 수 있는 동물.
아종은 총 3가지가 있으며, 일본에 서식하는 ''R. t. tigrinus'', 대만에 서식하는 ''R. t. formosanus'', 한국이나 중국, 연해주에 서식하는 ''R. t. lateralis''[12]로 나뉜다.

3. 천적


아무리 독이 있는 위험한 동물이라지만, 이런 유혈목이에게도 천적이 있다. 대표적으로 때까치, 맹금류가 있지만, 큰 사마귀의 경우에도 잡아먹히는 경우가 있으며, 심지어 물속에서 먹이를 찾을 때 물장군에게 잡혀 체액이 빨려 죽어가기도 한다. 또한 멧돼지 같은 짐승들도 종류 중 하나인 유혈목이를 잡아먹기도 한다.
물론 이들보다도 더 무서운 지상 최강의 천적은 단연 '''사람'''이다.
[1] '유혈목이'의 변형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라서는 '놀메기', '너불메기' 등으로도 발음한다.[2] 지역에 따라선 '풀뱀(초사 / 草蛇)'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너불래기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경상도에서도 너불떼기라고 부르는 곳이 있다. 충청도에서는 율목이라고도 부른다.[3] 두꺼비는 사납고 독이 있을 뿐더러 무자치 같은 뱀이나 도마뱀을 곧잘 잡아먹는다.[4] 보통 저렇게 화려한 무늬를 가진 뱀은 독사라는 속설이 있으나 반드시 맞는 건 아니다. 그저 독을 가진 뱀 중에서는 자신이 독을 가졌다는 경고의 의미로 화려한 무늬를 가진 경우가 존재하는 것뿐이다. 독사로 잘 알려진 살모사도 그다지 화려하지 않다. 이는 독버섯에도 마찬가지니 화려함=독성으로 동일시하면 곤란하다.[5] 눈 뒤에 있는 볼록하게 솟은 곳이 독샘이다. 여기서 독이 나온다. 색은 하얀색. 이게 부포톡신이다.[6] 한 번은 독사라는 정확한 정보를, 다른 한 번은 독이 없다는 잘못된 정보를 내보냈다.[7] 사실 위에서 설명했듯이 가까이 다가가기 전에 먼저 도망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경우는 거의 없다. 참고로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8] 특정 동식물의 모양이나 행동을 가지고 자기의 정력에 좋을 것 같다고 여기는 것은 주술의 일종일 뿐 아무 근거가 없다. 뱀이 다리도 없이 힘차게 돌아다니는 모습이 인간의 정력을 강화해주지는 않는다. 구하기도 힘든 뱀을 하나 잡아먹느니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운동을 하는 게 정력에 좋다. 식사도 운동도 제대로 안 하면서 뱀 먹어서 정력을 보상받으려는 베짱이 심보는 버려야 한다. 인간과 동물의 기는 서로 달라서 동물을 먹으면 그 기가 신체의 특정 부위를 통해 빠져나가는데 뱀의 기는 음경을 통해 빠지기 때문에 그것이 발기로 나타난다는 속설도 돈다.[9] 참고로 1980년대 중반에 특전부사관으로 복무하였던 연극연출가 '잇빨중사'의 수기에 의하면 1990년대 이후로 도시 근교의 뱀은 껍질 벗겨보면 내장에 죄다 '''기생충'''이 득실거려 절대 먹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특전부사관은 생존술 중 하나로 야생동물을 잡아먹거나 하며 버티는 훈련이 있다.[10] 김석범 등 9인, 2017, 남한 동북부지역 도로에서 뱀류 로드킬의 양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권31. 참고로 로드킬 빈도가 높은 뱀들은 유혈목이를 필두로 하여 쇠살무사, 능구렁이, 누룩뱀, 살무사다.[11] 혹은 올리브색, 또한 거기에 약간 무늬가 있다.[12] 최근에는 별개의 종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듯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