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종합정비창

 


'''육군종합정비창'''
'''陸軍綜合整備廠'''
'''Army Consolidated Maintenance Depot (C.M.D)'''
[image]
''''''
'''창설일'''
1975년('''육군종합정비창''')
'''별칭'''

'''소속'''
[image]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육군군수사령부
'''규모'''

'''역할'''
육군 정비업무 지원
'''사령관'''
가급 군무원 이기중[1]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웹사이트'''
육군군수사령부 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편제
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전군 지상공통장비 창 정비 지원'을 담당하는 육군군수사령부 예하 부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1950년대에 창설된 각 분야별(총포, 차량, 화포, 통신기기, 화학기기, 의무기기 등)기지/공작창을 통합하여 1975년 대한민국 육군 종합정비창이 창설되었다.
전차, 장갑차, 자주포, 곡사포, 전투차량, 개인화기, 공용화기, 사통장비, 통신장비, 의무장비 등 육군 뿐 아닌 국군 전체에서 사용되는 '''모든 지상 장비의 최종 정비와 재생을 실시한다.''' 사단 직할 보수대 및 군지사 예하 정비대대에서 하는 '야전정비'보다 한 차원 더 높은 정비를 하는 것이다. 육군 지상작전사령부제2작전사령부 예하 군수지원사령부해군 군수전대, 공군 작전지원전대 등에서 못 고치는 무기는 이 곳으로 모여 재생되고, A1같은 개량형이 있는 모델이 구형으로 입고될 경우 '''개량형으로 만들어서 출고'''한다(!). K-55가 창정비 들어가면 A1으로 탄생해서 나타난다. 아이폰으로 비교하면, 아이폰6가 고장나서 서비스센터에 입고시켰더니 돌아온 건 아이폰 6S라 생각하면 된다. 여길 들어오는 건 장비를 아예 싹 뜯어서 새 장비를 만들려고 들어오는 것. 실제 내용이 수리라도, 여기서 이뤄진다면 절차상 수리라고 안 부른다. 여기서 재생된 장비는 '''무조건 이전 등록이 말소되고 새 장비로 등록된다.'''
부대의 특성상 군 장비 정비에 특화된 기술직 군무원이 엄청나게 많다. 군무원의 직렬에는 행정, 군수, 전차,차량, 총포, 유도무기, 일반기계, 용접, 건축, 통신, 전자, 인쇄, 화학분석, 시설, 전기, 전산, 금속, 의공 직렬이 근무중이다. 장교와 부사관보다 군무원의 비중이 높다.

3. 편제


  • 특수무기정비단(이천)
  • 항공기정비단(진해)

4. 창장


'''역대 육군종합정비창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창장

00대
이남일
예) 준장

창장

00대
서만열
예) 준장
학군 17기[2]
창장

00대
김명규
예) 준장

창장

00대
박기섭
예) 준장

창장

00대
이기중
가급 군무원

창장


5. 기타


2006년운전병의 부주의로 차량이 전복되어 선탑자인 군무원이 중상을 입었고 경계 근무에 투입되던 육군 병사 5명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상급부대인 육군군수사(당시 사령부가 부산광역시에 위치) 본근대 장병들과 군무원들이 장례식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이 사고에서 군무원 본인과 운전병 본인은 살아남았고, 형사처벌을 받았다. 기사
2013년 EBS 극한직업에 궤도장비정비단의 전차 재생공정이 방영되기도 하였다. # 전차 재생공정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공정, 예를 들어 주물공장, 제청작업[3], 궤도 재생공정(궤도에 있는 고무를 녹이기 위해 소각로에 집어 넣음. 고무는 재활용 불가), 도색공정 및 창정비 후 장비를 화차에 실어 각 부대로 후송준비하는 장면 등이 방영되었다.
경전선의 지선인 덕산선[4]은 이 육군정비창에 장비를 반입하는 시설이다.
뜬금없지만 이 부대에 출처불명의 Kar98k가 있다는 목격담이 있다. 창군 이래 단 한 차례도 제식이었던 적이 없는데 대체 무슨 인생... 아니 총생을 살았기에 육군종합정비창까지 흘러갔는지 불명, 광복군이나 독립군이 사용한 역사가 있기에 광복군 출신 육군 창설 멤버(!!!)가 들고 온 게 아닐까 내지는 6.25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이 독일이 지원한 병기를 운용하던 국민당군의 병기를 노획하거나 나치 독일군의 장비를 노획한 소련에게 공여받아 사용한 사례가 있기에 노획품으로 어딘가에서 굴러다니다가 입고된 게 아닐까 추측할 뿐....

[1]육군탄약지원사령관(준장)[2] 조선대[3] 산업용어는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 장비표면에 공기압으로 쇠구슬(쇼트볼)을 발사하여 녹이나 페인트를 벗기는 표면처리작업.[4] 덕산역의 경우 2015년 지역 발전을 위해 폐역 결정이 내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