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군

 



伊川郡 / Ichŏn County
이천군
伊川郡 / Ichŏn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603.22㎢
광역시도
강원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1읍 22리
시간대
UTC+9

1. 개요
2. 명칭
3. 역사
4. 교통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6.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6.1. 구 이천군 지역
6.2. 구 안협현 지역
7. 기타
8.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1. 개요


강원도 북부에 있는 군(郡). 전 지역이 휴전선 이북에 있는 미수복지역이다.

2. 명칭


남한의 경기도 이천시와는 한글로[1] 같지만 한자 명칭과 그 유래는 다르다.
伊는 원 발음이 '이'인 까닭에 '''문화어로도 '리천'이 아니라 '이천'이다'''. 따라서 '리천군'으로는 이 문서에 들어올 수 없으며, 오히려 문화어 기준으로 '리천'이 되는 곳은 우리가 잘 아는 경기도 이천시('''利'''川)이다.[2] 즉 남한 기준으로는 둘 다 '이천'이고, 북한식으로는 이곳 이천은 그대로 이천, 남한 이천만 리천이 된다.[3]
비슷한 예로 함경남도 영광군(榮光)은 '령광'이 아니고 전라남도 '''영광군'''('''靈'''光)이 '령광'이다.

3. 역사


삼국시대고구려의 이진매현(伊珍買縣)이었다.
신라가 차지한 후 신라 경덕왕 때 지금의 이름인 이천현(伊川縣)으로 고쳤으며, 9주 5소경한주에 소속되었다.
광복 당시에는 군청을 이천면 향교리에 두고 11개 면(이천·낙양·동·방장·산내·서·안협·용포·웅탄·판교·학봉)으로 이루어졌다.[4] 북한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판교면 등을 분리하여 판교군을 신설하였고, 지금의 이천군은 이천면·학봉면·서면(6개리)·산내면(6개리)·용포면(5개리)에 해당한다.

4. 교통


군의 북쪽에 국도는 3번 국도, 지방도는 463번 지방도, 이외 청년이천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동점역·송정역·이천청년역·하안역·문동청년역이 있다.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1읍 22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이천읍 (伊川邑)
  • 개천리 (開川里)
  • 신당리 (新堂里)
  • 문동리 (文童里)
  • 산지리 (山旨里)
  • 무릉리 (武陵里)
  • 건설리 (建設里)
  • 회산리 (回山里)
  • 축동리 (軸洞里)
  • 산참리 (山站里)
  • 우미리 (友味里)
  • 룡정리 (龍亭里)
  • 신흥리 (新興里)
  • 학봉리 (鶴峰里)
  • 오현리 (筽峴里)
  • 사청리 (射廳里)
  • 은행정리 (銀杏亭里)
  • 심동리 (深洞里)
  • 장동리 (長洞里)
  • 송정리 (松亭里)
  • 상하리 (上下里)
  • 장재리 (長在里)
  • 성북리 (城北里)

6.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image]
군기
'''이천군'''
伊川郡
Ichŏn County
}}}
<colbgcolor=#008c44><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이천면 향교리
'''광역자치단체'''
강원도
'''하위 행정구역'''
11 91
'''면적'''
1,707.9㎢
'''인구'''
82,599명[5]
'''인구밀도'''
48.36명/㎢
'''명예읍·면장'''
11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이천군 소개
이천군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이천군이 안협군을 흡수하면서 형성되었다.

6.1. 구 이천군 지역


  • 이천면(伊川面)
    • 관할 리 : 향교(鄕校), 개상(開上), 개하(開下), 남좌(南佐), 비석(碑石), 신당(新塘), 신흥(新興), 안양(安養), 천안(泉岸), 추목(楸木), 탑(塔), 회산(回山)
    • 향교리에 면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 낙양면(樂壤面)
    • 관할 리 : 지하(支下), 구봉(九峰), 내락(內洛), 삼포(三浦), 외락(外洛), 지상(支上), 지석(支石)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영양면(榮壤面)으로 개칭되었으나, 1939년에 환원되었다. 청년이천선 지하리역이 있다. 이천군에서 유일하게 예성강 수계에 해당되는 곳이다(그 외는 모두 임진강 수계).
  • 방장면(方丈面)
    • 관할 리 : 가려주(佳麗洲), 가하(佳下), 경도(京都), 구당(龜塘), 당우(堂隅), 사동(寺洞), 용지(龍池), 인원(獜原)
    • 북한 행정구역상 판교군 소재지. 당우리, 사동리 일대에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 산내면(山內面)
    • 관할 리 : 송정(松亭), 개련(開蓮), 삼거(三巨), 상하(上下), 용포(龍浦), 장동(長洞), 장재동(長在洞), 추동(楸洞), 화풍(花豊)
  • 용포면(龍浦面)
    • 관할 리 : 문동(文童), 무릉(武陵), 산지(山旨), 상두(上頭), 성거(成巨), 용흥(龍興), 창전(倉田), 호암(虎巖)
  • 웅탄면(熊灘面)
    • 관할 리 : 왕막(王幕), 건자(乾子), 용금(龍金), 이락(耳洛), 평(坪), 해랑(海浪), 회전(檜田), 희역(希易)
    • 원래 이름은 고미탄면(古味呑面)이었으나 1938년에 개칭되었다.
  • 판교면(板橋面)
    • 관할 리 : 명덕(明德), 광현(廣峴), 군지(君至), 송원(松原), 용당(龍塘), 용천(龍川), 풍림(楓林), 한지(漢支)
  • 학봉면(鶴鳳面)
    • 관할 리 : 은행정(銀杏亭), 공수탄(公須灘), 노동(魯洞), 대하현(大河峴), 묵막(墨幕), 사청(射廳), 성북(城北), 성호(星湖), 신파(薪坡), 심동(深洞), 오현(筽峴), 장항(獐項), 학봉(鶴峰), 회산(回山)

6.2. 구 안협현 지역


  • 동면(東面)
    • 관할 리 : 하식참(下食站), 상식참(上食站), 월암(月巖), 정동(定洞)
  • 서면(西面)
    • 관할 리 : 산참(山站), 문암(文巖), 상화암(上禾巖), 우미(友味), 유대포(流大浦), 축동(軸洞), 하화암(下禾巖)
  • 안협면(安峽面)
    • 관할 리 : 읍내(邑內), 거성(擧城), 상수회(上水回), 저전(楮田), 퇴탄(退灘), 하수회(下水回)
    • 북한 행정구역상 철원군 소재지.

7. 기타


철원군(북한)과 함께 구글지도나 구글 어스에서 검색할 시 군역 전체[6]가 표시되는 몇 안되는 북한의 행정구역이다. 다른 북한의 행정구역들은 대부분 중심 시가지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평양직할시조차 구글 지도로 검색하면 시가지 영역만 비춰주는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의외.

8.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1] 한자로는 명칭은 다르다.[2] 당시 강원도 이천군은 군청 소재지가 이천'''면'''이었고, 경기도 이천군(이천시)은 군청소재지가 이천'''읍'''이었다는 차이도 있다.[3]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 때 기준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된 지명을 일본 한자음으로 읽을 경우에도 강원도 이천군은 '''이'''센('''I'''sen)이 되고, 경기도 이천시는 '''리'''센('''R'''isen)으로 읽힌다.[4] 이 중 동면, 서면, 안협면은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 안협현에 속했던 지역이다.[5] 1944년 호구조사[6] 이북 5도 기준이 아닌 북한 행정구역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