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기갑여단
[clearfix]통일!
1. 개요
제5기갑여단 철풍부대는 대한민국 육군 제6군단 예하의 독립전투여단이다.
2. 상세
1990년 12월 1일에 대한민국 육군의 네 번째 독립 기갑여단으로서 창설되었으며, 경기도 양주시와 연천군에 주둔하고 있다.
제5기갑여단은, 예하 3개 전차대대, 2개 기계화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 그리고 8개 직할부대로 편제되어 있다. (2018년 9월, 제38전차대대와 제126기계화보병대대가 제5기갑여단으로 예속전환되어 들어왔다.)
상징명칭은 철풍(鐵風)부대, 경례구호는 '''통일'''[1] 이다.
3. 예하부대
제5기갑여단은 예하 3개 전차대대와 2개 기계화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 그리고 공병대 방공대 등의 직할대로 편제되어 있다.
3.1. 여단 직할대
대부분의 직할대가 신 막사이지만 기갑수색중대는 아직도 구 막사를 사용 중이다.
2019년 1월부로 정보중대와 화생방중대, 전투지원근무대대가 신설되었다.
3.2. 제38전차대대 불사조
본래 제5기갑여단 소속이었으나 1994년 10월 1일 제26보병사단이 기계화 하면서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75기계화보병여단으로 예속전환 되었다가 8사단과 26사단의 통합 과정에서 26사단 75여단이 해체되면서 2018년 9월 1일부로 다시 5기갑여단으로 돌아왔다. 665포병대대와 함께 연천에 동떨어져 있다. 심지어 부대 상징도 665와 같은 불사조다.
시설은 매우 낙후되어 있는 편에 속하며, 막사에서 px까지의 거리가 매우 가깝다. 뛰어서 10초 거리..? 주도로는 아스팔트가 제대로 깔려있는 곳이 없으며, 노래방은 컨테이너 박스인데 여름엔 찌는 듯 덥고 겨울엔 손발이 얼어 노래를 못 부른다. 바로 맞은편에 있는 제6포병여단과 5사단 공병대대의 으리으리 번쩍번쩍한 막사와는 정말 비교된다. 전입올때 와 여기로 전입오는 사람들은 진짜 불쌍하다 했는데 그부대로 전입간건 안비밀
26사단 내 전차대대 중 최다 전적(각종 경연대회 수상)이 있으며 기계화사단 이전에는 5기갑여단 예하로서 역사가 깊다. 인접부대인 27대대와 교류가 잦았다. 막사는 원래 미군이 쓰던 것으로, 몇 년 전에 퇴역미군 할아버지가 찾아온 적도 있었을 만큼 겁나 오래되고 낡아서 신 막사 이야기가 꾸준하게 나오는 편이었다.
제26기계화보병사단이 해체되자 친정이던 ''''제5기갑여단'''으로 복귀했다.
3.3. 제39전차대대 번개
국군양주병원 인근에 위치한 전차대대
3.4. 제55전차대대 폭풍
국군양주병원 인근에 위치한 전차대대.
여러 대대 중 39전차대대와 55전차대대의 관계가 상당히 특이한데, 두 개 대대가 건물 한 채 안에 같이 입주해 있다. 막사는 15년 말 신축되어 상당히 시설이 좋은 편. PX, 병영식당, 의무과, 교회와 법당[4] , 위병소를 제외하면 모든 시설은 '''따로 사용 중'''. 그래서 대대 부지가 상당히 넓고, 연병장도 두 개다. 같은 날 입대한 신병들이 수료 후 각각 39대대와 55대대에 배치받아서 떨어지게 되는 줄 알았는데, 운좋게 둘 다 취사병이 되어 다시 만났다는 풍문도 있다. 가까워도 너무 가까워서 두 대대 사이는 좋은 것 같기도 하고 나쁜 것 같기도 하다. 병사들끼리는 이런저런 문제로 트러블이 좀 있다[5] . 그렇다고 간부들도 마냥 친한 건 아니고, 서로에게 불필요한 일은 안 하는 선 정도만 지키고 있는 수준. 여단 체육대회 때 대진이 붙기라도 하면 전날부터 분위기가 흉흉하다.
엄연히 다른 대대기 때문에 부대 일정도 달라서 '''한쪽은 철야 훈련을 하는데 한쪽은 전투휴무를 즐기는 모습도 종종 보인다'''. 심지어 상기식과 하기식도 따로 한다. 39대대는 6개월 동기제, 55대대는 3개월 동기제를 시행 중인데 이 때문에 39와 55 인원이 함께 업무를 보는 의무병이나 취사병들 사이에서는 족보가 꼬이는 일이 빈번하다. 입대일은 같지만 누구에겐 선임이고 누구에겐 동기인지라...
부대 인근에 국군양주병원이 있다. 매우 가까워 막사에서 창밖으로 양주병원이 보일 정도. 전군 통틀어 39/55대대보다 국군병원과 가까운 부대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5분이면 위병소에서 병원 정문까지 뛰어갈 수 있다. 가끔 앰뷸로 오후 외진 갔다가 오전외진 인원이랑 같이 복귀하게 되면 앰뷸이 꽉차서 따로 걸어올 정도. 부대로 여유롭게 10분이면 복귀한다.
현재 55전차 병사들은 현 대대장으로 인해 최악의 암흑기를 보내는 중. 위의 전차포 영상도 아득바득 여단장 바뀌기 전에 고집부려서 훈련을 나가게 되어 찍힌 것이다. 육본에서 꼭 가야되냐고 말렸는데 나가게 되었으니...그 탓에 참모총장이 다락대 시험장에 방문하게 되었다.
3.5. 제113기계화보병대대
여단 본부 옆에 위치해 있다. 여단 내에서 가장 깨끗하고 세련된 막사를 보유 중이다.[6] 훈련이 굉장히 많다. 특히 모 중대는 1년 넘게 육본에서 진행하는 과학화 훈련에 임해 대대에 없는 날이 더 많다고 한다. 보병이 많아서 장갑차를 이용한 훈련은 당연하고 맨몸으로 받는 훈련들도 전부 다 받는다. 한 달에 적어도 X번은 훈련이 있는 대대이다. 113대대 뒤에 칠봉산 유격장이 있다.
3.6. 제126기계화보병대대 강병
1994년 제 26보병사단 76연대 예하 1대대(강병대대)를 중심으로 나머지 대대를 통합하여 제 26기계화보병사단 76여단 126 기보대대가 탄생했다.
불무리 사단이라 불리던 26사단 76여단이 해체되면서 5기갑여단 예하로 예속전환되었다. 부대 상징은 코뿔소로 바뀌었다는데 예전엔 여단급에서 사자였고, 대대급에선 상징 동물은 없었다. (불무리 사자부대가 76여단)
멀리서 보면 마치 연꽃 같은 423고지 아래 자리한 부대이다. 조선시대 이성계가 거처했다는 회암사지를 옆에 끼고 있다.
3.7. 제665포병대대 불사조대대
양주 인근에 주둔하고 있는 여단 예하부대와는 달리 38전차대대와 함께 연천군(전곡)에 있는 부대이다.
여단에서 동떨어져 있어 여단과 교류가 거의 없어 665포병이
여단으로 가면 다들 신기해한다. 포병도 여단 가면 마찬가지
서로 궁금해한다
665포병대대는 여단보다 28사단 포병연대의 통제를 더 많이 받는다. 막사는 구막사였으나, 20년 10월부로 신막사로 이전하였다.
3.8. 전투지원근무대대
일명 '전근대' 또는 '전근대대'라고 부른다. 원래 여단 본부 소속이었던 보수(보급/수송)중대와 의무중대가 옮겨가면서 새롭게 만들어졌다. 일반정비중대, 궤도정비중대, 보급수송중대, 의무중대로 이루어져 있다. 신막사라서 비교적 깨끗한 편이라고 하며, 막사는 여단 본부에서 좀 더 북쪽으로 올라가면 있다.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1. 여단장
5.2.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부대마다 근무환경이 천차만별이다.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여단본부와 39, 55, 113, 126, 전근대대는 비교적 근무환경이 좋은 편. 그중에서도 39, 55 전차대대는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덕정역까지 '''도보 20분'''이내로 이동이 가능하다. 당연히 택시를 타면 기본 요금이 나오고, 버스를 타도 2~3정거장이면 갈 수 있다. 위수지역 역시 동쪽으로 포천시, 서쪽으로 파주시, 남쪽으로는 의정부시까지로 상당히 넓은 편인데, 2019년 위수지역 확대로 '''서울특별시의 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성북구, 중랑구까지 나갈수 있게 되었다'''.
물론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38, 665대대와는 관계 없는 내용. 이쪽은 흔히들 말하는 격오지로, 주변에 논밭(아니면 산) 빼곤 아무것도 없다. 그나마 38이 665보다는 남쪽에 있어서 서울과는 가까운 편.
위치는 둘째치고 궤도장비를 굴리는 기갑여단답게 관련 보직을 받게 되면 쉽지 않은 군생활을 보낼 수 있다. 특히 전차와 자주포는...
자주포병은 한발에 30키로 되는 탄약을 옮기고 연습해서 근육이 상당히 많이 붙는다. 탄약적재훈련 하는날 5톤에 탄약을 꽉 채우는 훈련을 하는데 그날은 팔이 마비가 된다
가뜩이나 입대 인원도 적어지는데 전역자는 계속 나오고, 소대 내에는 병보다 간부가 많고[8] , 소대장은 아무것도 모르는 ROTC 출신 소위에 조종수 포수는 전부 초임 하사라면...말그대로 답이 없다. 무서운 것은 이러한 헬게이트가 '''진짜로 열릴 수 있다는 것'''. 연간정비라도 하는 날에는 전날부터 분위기가 흉흉하다. 궤도장비는 대부분의 부품이 상당히 무거워서 떨어트리기라도 하면 어디 하나 부러지는것으로 안 끝나기 때문에, 아무리 착한 간부라도 정비할때는 불같이 화를 내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또한 전차는 쇳덩어리 그 자체라서 여름엔 미친듯이 덥고 겨울엔 미친듯이 춥다. 겨울을 맞은 신병에게 가장 먼저 주의를 주는 것이 바로 '''맨손으로 전차를 만지지 말라'''. 이외에도 연2회의 전차포 사격 훈련, 전투장비지휘검열, 중대 전투력 측정, TMPS[9] 에 전술훈련까지 훈련도 많은 편. 다행히 유격은 안 한다. (뭔소리냐 유격도하는데)
반면 궤도장비를 타지 않으면 은근 편하다. 특히 전차중대가 아닌 본부중대 소속인 경우[10] 전차중대원들의 시기와 부러움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데, 훈련 나가서도 전차중대가 전차타고 구를동안 대다수의 본부중대원들은 텐트에 누워서 보드게임이나 하고 있다. 당연히 이들도 자기 보직에서 임무를 수행하긴 한다. 다만 전차 승무원에 비해 할일이 적고, 일이 금방금방 끝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편해 보이는 것. 물론 본부중대 소속이어도 전차를 타야 하는 대대 지휘반처럼 아닌 경우도 종종 있다[11] .
6.2. 부대 시설
- P.X: 총 6개(여단본부1, 기보대2, 전차대대2[12] , 포병대대1)가 존재하며, 이 중 여단본부 PX는 2011년에 기존건물을 폐쇄 후 2012년 숲속쉼터 옆에 새로 건물을 지어 흔히 보이는 편의점처럼 밖에 파라솔과 테이블도 놓이는 등 신경을 꽤나 많이 쓴 흔적이 엿보인다.
- 철풍회관: 그리고 여단 직할대 위병소 옆에는 철풍회관이라는 면회 장소가 있다. 간부와 상근 병사, 일부 현역병들이 관리를 하는데 1층에는 커피샵, 치킨/피자, 식당(오리고기, 삽겹살 등의 식사 가능), 면회홀이 있으며, 2층에는 기존에는 방을 대여했었으나 최근에는 간부 숙소로 사용된다고 한다.
6.3. 훈련
특히 기갑의 특성상 연 X회 전차포 사격 훈련을 하는데, 해당 훈련 시 군단 혹은 군사령부에 대한 상부의 전투지휘태세 검열(=평가), 군전투지휘검열 등을 받을 때도 있다. 궤도장비가 있기 때문에 분기마다 영외 도로 조종훈련도 실시한다. 허나 미친듯이 커다랗고 시끄러운 전차/장갑차/자주포의 특성상 주간에는 거의 불가능하고, 주로 새벽에 조종 훈련을 한다. 조종수만 나가면 되는 게 아니라 안전통제 인원들까지 다같이 출동해야 하기 때문에 도로조종이 있는 날은 전 대대에서 온전히 잠을 자는 사람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
6.4. 여단가
새롭게 제작된 여단가와 고토회복가
7. 사건사고
- 제5기갑여단에서 전차조종수로서 부사관으로 복무하던 변희수 하사가 군 복무 중 태국으로 휴가를 가서 MTF(male to female) 성전환 수술을 받고, 여군으로 복무를 계속하게 할 수 있도록 청원한 사건이다.
8. 여담
- 2014년 6월 25일, 6.25전쟁 64주년을 맞아 '소년전차병 추모식'을 거행하였다.
[1] 본래 '철풍'을 경례구호로 쓰고 있다가 2008년 즈음 독립여단 경례구호를 통일하라는 상급부대 지시에 의해 '충성'으로 강제로 변경되었던 역사가 있다. 이후 2014년 초에 여단장이 새로 부임하면서 현재 구호로 변경되었다.[2] 원래 화생방은 작전처에서 담당했으나 화생방중대 신설과 함께 아예 업무를 위임했다[3] [image] 물론 전투복에는 국방생 흉장을 사용한다[4] 일을 같이 하는 PX병과 취사병, 의무병, 군종병도 대대별로 따로 있다[5]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담배와 식당 문제[6] 기보대대답게 인원수도 많고 무엇보다 여단 내에서 여군이 가장 많다고 한다. 여군 전차 승무원이 전국에서도 손꼽힐 정도다. 전차대대에는 여군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봤자 야전이고 기갑부대라 여군이 신교대처럼 많지는 않으며 대부분 후방지원업무라 전투보직에는 별로 없다.[7] 여단장의 편제는 준장이지만 진급 직전의 대령이 맡기도 한다.[8] 2019년 편제가 바뀌면서 탄약수를 제외한 모든 승무원은 간부로 대체되었다.[9] Tank Multi Purpose Simulator. 모형 전차를 타고 시뮬레이션으로 전차를 기동 및 사격하는 최첨단 훈련 장비이다.[10] 4.2박격포 제외이다. 4.2 박격포는 장갑차에 박격포를 달아서 운용한다. 물론 지상포도 한다. [11] 본부중대 소속 통신병들 역시 야전 지휘소만 꾸리면 끝인 것처럼 보이지만, 대대장과 함께 통제탑에 올라가서 사격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전차 통신장비가 고장나거나 지휘소 전화기가 끊어졌을 때에는 훈련이 끝났어도 낑낑대며 고쳐줘야 한다.[12] 39,55전차대대의 PX는 신막사를 지으면서 PX가 합쳐져 하나밖에 없다[13] 古土, 옛 영토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