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관법

 


1. 개요
2. 한국 및 동아시아에서는 아직 척관법을 쓰는가?
3. 단위 목록
3.1. 길이 $$\sf L$$
3.2. 넓이 $$\mathsf{L}^2$$
3.3. 부피 $$\mathsf{L}^3$$
3.4. 질량 $$\sf M$$
4. 같이 보기


1. 개요


고대 중국을 기원으로 하여 한국, 일본동아시아 지역에서 쓰던 전통 도량형. '척근법(尺斤法)'이라고도 한다.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선 여러 해석들이 있으나, 전국시대의 강국이었던 진(秦)의 재상인 상앙 이후 제정했다고 추정한다. 한국에서는 고조선 시대에 발견된 자 유물로 보건데 이때부터 사용한 듯하다.
단위로는 길이 단위인 자#s-7척(尺), 질량 단위인 관(貫), 부피 단위인 되#s-1석#s-2 등이 있다. 같은 척관 단위라고 해도 당시 기술력과 정치적인 문제로 국가시대에 따라 단위의 크기가 상당히 다른 편이다. '황종척'을 예로 들어보자. 삼분손익법 문서에도 나오는 내용인데, 12음률 중 '황종' 음을 내는 황종관을 만들기 위해 황종척(黃鐘管)이라는 길이 단위를 정했다. 그런데 황종척의 기준이 되는 기장알의 길이와 부피가 일정치 않았기 때문에 황종의 음높이가 시대마다 달라졌다.
한자 문화권의 국가 개념에서 나라는 천명을 받아 일어서고, 도량형 또한 나라가 천명에 따라 통치하는 수단의 일환이다. 그래서 새 왕조가 개창되면 기존의 역법이나 도량형을 바꾸곤 했다. 천명을 새로 받았음을 백성들에게 알리려는 정치적 이유가 있다. 그래서 단위의 명칭이야 같다고 해도 지역에 따라,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단위를 사용하곤 했다. 이 때문에 사료에서 나오는 척관법으로 표기된 수치#s-2들은 당시 시대에 쓰던 척관법의 크기를 감안해서 읽어야 한다. 현대 한국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척관법 단위는 대부분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전통 단위계 중에서도 차원#측정학 개념이 빈약한 편이다. 야드파운드법/미국 단위계에도 있는 온도압력은 물론, 심지어 길이만으로 정의되는 각도 단위조차도 없다.

2. 한국 및 동아시아에서는 아직 척관법을 쓰는가?


한국에서는 1961년부터 SI 단위(미터법)를 사용한 이래 공식적인 계측에서 척관법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한국에서 아직도 실생활상에서는 척관법을 혼용하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흔하지만, 한국에서 척관법의 위상은 영미에서 미국 단위계야드파운드법의 위치와는 완전히 다르다. 즉, 현대 한국인들은 SI 단위로 계측한 다음 이를 척관법상 단위로 표현하는 방법을 쓸 뿐, 척관법으로 바로 계측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고기를 살 때 600그램을 계량하여 '한 근'이라고 하지, '근'이라는 단위로 눈금이 새겨진 저울을 쓰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면적을 잴 때도 제곱미터로 계산한 다음 '몇 평짜리 집'이라고 인식하는 식이다. 실제로 SI 단위를 사용하고, 이를 편의상 전통적 단위로 표현하거나 전통 단위 개념과 비교하는 것일 뿐, 척관법을 도량형으로 사용한다고 할 수는 없다.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중국에서는 500그램을 1근으로 인지하는데, 1 kg을 잰 뒤에 이를 '2근'(=1공근)이라고 표현하는 것일 뿐 이것을 두고 중국이 아직 척관법을 쓴다고 말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미국에서는 시장에서 쓰는 저울에 파운드 단위로 눈금이 새겨 있고, 줄자에는 피트와 인치 단위로 눈금이 새겨 있다. 물론 미국단위계상 단위개념의 정의는 SI 단위에 의존하지만[1], 시민들과 국가기관이 실제 계측에 사용하는 직접적인 도량형을 SI 단위가 아닌 미국단위로 사용함은 미국 산업발전과 해외 교류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했다. 이에 비하여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SI 단위가 완전히 정착했다고 평할 수 있다.

3. 단위 목록


물리량이 작은 것부터 서술한다.

3.1. 길이 $$\sf L$$



3.2. 넓이 $$\mathsf{L}^2$$



3.3. 부피 $$\mathsf{L}^3$$



3.4. 질량 $$\sf M$$



4. 같이 보기



[1] 예를 들어 1인치의 정의 자체가 2.54 cm이지, 1인치를 정의하는 별도의 물리학적 상수 또는 원기가 있는 것이 아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