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구조대

 

航空求助隊
언어별 명칭
영어
air rescue
일본어
こうくうきゅうじょたい(航空救助隊)
중국어
航空救护队(hángkōngjiùhùduì)
1. 개요
2. 상세
3. 하는 임무
3.1. 평상시
3.2. 전시: CSAR 작전
4.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4.1. 창립
4.2. 사용장비
5. 기타
6. 같이보기


1. 개요


[image]
헬리콥터 등의 탈것을 타고 구조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 일반적으로 조난자를 구조하는 것이 주요 임무이며, 군 항공구조대는 적지에 고립된 아군 조종사를 구조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군에서는 주로 공군 편제에 있고, 민간에선 주로 소방 편제에 있다.[1]

2. 상세


국군에서는 대한민국 공군제6탐색구조비행전대(SART)가 이 임무를 수행하며, 주로 전투기 조종사 구조를 목적으로 한다.[2] 미 공군에는 SART의 원조격인 파라레스큐[3]가 있으며, 이들은 미군의 방대한 규모에 걸맞게 조종사를 포함한 모든 군 병력(주로 특수부대원)을 대상으로 구조 활동을 펼친다. 일본 항공자위대에는 항공총대 예하 항공구난단이 있다.
응급처치 탐색능력, 낙하산강하, 장거리수영, 암벽등반, 레펠, 생환훈련 등등 거의 모든 능력을 갖춰야하는 소수 정예부대이다. 해군에도 비슷하게 바다에서 활동하는 구조 부대가 있다. 대한민국 해군해난구조전대가 그 예.
이들의 주요 임무는 전장 한가운데에 고립된 인원을 구출하는 것인데 그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임무 중 하나가 '''조종사 구출'''이다. 우선 항공구조사는 공군 소속이며 타군의 경우엔 자체적으로 자신들이 구조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애초에 적지 한가운데에 고립되는건 일반 정규군이라면 상당히 힘든 상황이다. 주로 조종사나 특수부대원이 그 대상인데, 특수부대원의 경우 규모 및 몸값으로나 임무 특성으로나 보통 조종사 1명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거대한 별도의 지원/후송 부대(대표적으로 미군의 경우 이들 '''특수부대만의 지원'''을 위해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SWCC등의 특수부대를 창설했다)가 이들의 지원 및 구출을 위해서 항시 대기 중이다. 특수부대 요원들의 경우 애초에 본인들의 자체 퇴출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도 사실. 허나 파일럿은 전투기가 격추되었는데 파일럿이 탈출해 적지 한가운데에 고립되는 일 자체가 드물다. 그리고 한국 기준으로 10년차 베테랑 조종사 한 명을 양성하는데 약 86억원이 들어간다. 항공기가 복잡해지고 기능이 상승함에 따라 이 가격은 더 올라가면 올라갔지 내려가진 않는 고급인력들이다. 프롭기가 털털거리던 제2차 세계 대전때도 숙련된 조종사 부족으로 허덕인 나라가 많은데[4], 현대에 더욱 복잡해진 공군은 제대로 된 조종사를 하나 배출하는데 몇 년 정도 걸리는 건 기본. 그나마 양성 과정에서 많은 수가 나가떨어져서 조종사의 수는 적고 가치는 상상을 초월하니 조종사를 희생시키지 않으려고 많은 나라의 공군들이 아주 기를 쓴다. 눈앞에 초고성능 전투기가 있으면 뭘하나? 조종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데.
구조를 담당하는 부대가 특수부대인 이유는 간단하다. 조종사가 지상으로 추락하거나 아군이 크게 부상을 입어 호송이 필요하다면, 총포탄이 날아다니는 위험한 상황일 게 틀림없는데, 이런 데에 냅다 들어가서 아군만 줍고 후다닥 빠져나가는 게 절대 간단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높은 확률로 적군이 돌아다니는 영역이고. 물론 고립된 인원은 주로 특수부대원, 혹은 조종사이므로 나름대로 살아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생환 훈련을 받긴 하지만, 조종사의 경우 혼자서 모든 상황에 대처하기란 대단히 어려운데다, 특수부대원의 경우 그 전에 추락으로 인한 부상이나 전투 중 무력화로 인해서 괴멸 직전인 경우가 많다. 그런고로 임무의 난이도가 높으며 잠입·침투 등의 능력이 필요하다 보니 보통 특수부대이다.
미공군의 '항공구조대'인 파라레스큐공정통제사를 기반으로 나왔다고 한다. 창설 당시부터 '(구출 대상이)죽은 걸 확인하기 전까지는 살아있는 거다'고 생각하는게 기본 주의라고 한다. 그만큼 필사적으로 생존자를 찾아서 구조한다는 말. 미군에서는 공정통제사들은 스칼렛 베레, 항공구조사들은 머룬 베레라고들 부른다. 우리나라도 공군 특수부대공정통제사 부대는 붉은 베레모를 쓰지만 항공구조사 부대의 베레모는 약간 더 자줏빛이 난다.

3. 하는 임무



3.1. 평상시


전시가 아닌 평상시에는 항공기 사고 구조나 자연재해, 대민지원등 여러 구조임무에 투입된다. 물론 119 구급헬기나 산림청 헬기 등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의 범위를 넘길 경우에 한정해서. 예를 들어 단순한 산불에는 119 구급헬기 혹은 산림청 헬기가 투입되지만, 그 산불이 산 근처 도시에 번질 정도가 되면 항공구조대가 투입된다. 즉, 조난자가 발생하면 어디든지 달려가서 구출하는 특수 임무를 수행한다. 항공구조대는 전시에는 조종사를, 평시에는 국민을 구하는 부대로, 깊은 바닷속에서 조난자를 구조하거나 산 속 또는 적진으로도 향하기도 한다. 이들은 제주 선박 화재 사고 현장,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현장 등에서 다양한 인명 구조 활동을 펼쳤다.

3.2. 전시: CSAR 작전


전쟁이 터지면 적진이나 산, 바다 등지에서 추락한 아군들을 구조 및 응급처치임무를 수행하는데 특히 전투탐색구조(CSAR : Combat Search And Rescue)는 적진에 고립된 아군을 구조하기 위해 시행하는 군사작전 일체를 뜻하는 군사용어인데 이는 아군이 위험한 상황에 처해 전투불능 상태가 되어 독자적인 퇴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이를 도와주는 것을 뜻한다.
CSAR가 일반적인 탐색구조(SAR : Search And Rescue)와 차별화 되는 이유는 악천후와 같은 기상조건뿐만 아니라 적의 공격이라는 물리적 악조건까지도 극복해야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SAR가 구조항공기 단독작전이라면, CSAR는 구조항공기에 각종 지원항공기와 구조요원까지 포함하는 통합작전이다. 현재 한국 공군의 CSAR작전은 아군을 구하기 위해 구조헬기 2대와 전투기 6대, 공중통제기 1대, 여기에 공군 탐색구조요원 8명을 최소 기본단위로 정하고 있다.
CSAR을 담당하는 항공구조대의 작전의 경우 파라레스큐(Pararescue)로 불리는 공군 구조요원, 수색구난 항공기, 근접지원 항공기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美 공군의 경우 통상적으로 5분 이내 아군의 신원을 확인하고, 최대 10분 이내 구조지점에서 탈출하는 것을 작전 성패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되기 보다 신속한 아군의 구조가 우선시 되며, 이를 퀵 세이브(Quick Save)라고 부른다. 퀵 세이브 기록은 베트남 전쟁 당시 수립되었는데 가장 빠른 기록은 45초이고, 가장 오랜 기록은 23일이다.

4.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4.1. 창립


대한민국에서는 1958년에 국내 최초의 항공구조대인 제33구조비행대대를 창설하였다. 당시엔 미군의 원조를 받았으나, 이후 최신기종 헬기로 전력보강을 실시하면서 오산에서 군산, 김포, 서울, 수원기지를 거쳐 1995년부터 청주기지에 새둥지를 틀면서 미군에게 항공 구조 임무를 인계받아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별칭 SART(Special Airforce Rescue Team)로 독립했다.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문서 참조.

4.2. 사용장비



5. 기타


민간에도 항공구조대가 있다. 해상, 산악에서 조난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특성상 해양경찰청소방청 산하에 편제되어 있다.[5] 군 항공구조대와 크게 다를 것 없이 이들도 구조사와 구조 헬기를 갖추고 있고, 하는 일도 거의 겹치다 보니 군 항공구조대 출신들이 전역하고 이쪽으로 전직하는 경우가 흔하다.
일본에서는 자위대의 항공구조대를 소재로 한 되살아나는 하늘 -RESCUE WINGS-라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항공총대 소속의 항공구난단에서 해당 업무를 담당한다.
영화 에어 포스 원에서 나오는 제임스 마셜 대통령이 항공구조사 출신으로 추정된다. 확실히 그런 말이 나오는 건 아니나, 비상이 떨어진 백악관에서 한 '''공군''' 장성이 대통령은 베트남 전쟁에서 '''자기 휘하 헬기 조종사'''로 활동하며 수많은 조종사들을 살렸다는 언급이 나오니 공군 구조 부대 계열일 가능성이 높고, 영화 속 대통령의 전투력은 웬만한 특수부대원 이상이니까….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 히어로 팔콘은 전직 항공구조대 출신이다. 비행 능력을 제공하는 제트팩은 현역 시절에 입던 장비라고 한다. 물론 현실에서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가상의 장비이다.
사이버펑크 2020의 등장 기업 트라우마 팀 인터내셔널(Trauma Team International, TT)은 보험 서비스의 일부로 환자를 위험 지역으로부터 구출하는 CSAR와 퀵 세이브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과정에서 환자에게 위해를 가한 인물은 모두 발포하여 제거하고 작전 도중 사용된 총알값과 요원의 사망 보상금은 구출된 환자에게 청구된다. 파생작인 사이버펑크 2077에서도 등장한다.

6. 같이보기



[1] 그 외에도 해군, 해양경찰 편제의 구조대도 있다. 이쪽은 해상 구조 임무에 특화, 한정되어 있다.[2] 작전 범위는 한반도와 부속도서 전역이며, 우리 공군 조종사는 물론 동맹군인 미군 조종사도 구조 대상에 포함된다. 그 외 평시에는 민간을 대상으로도 구조 활동을 펼친다.[3] 한국 공군의 항공구조대는 1개의 독립 전대로 편성되어 구조사 대부분이 6전대에 모여있는 반면, 미 공군은 항공구조사(PJ)들이 제24특수작전비행단 예하 부대들로 흩어져 CCT, TACP, SR 등 다른 특기의 공군 특수부대원들과 함께 주둔하고 있다.[4] 2차 대전 당시 항공기보다 많은 조종사를 확보하는 데 성공한 국가는 (그 많은 항공기 생산량에도) 미국 뿐이다. 아포칼립스 세계관이 적용된 매체에서 이 부분이 두드러지는데 블랙 불릿을 예로 들면, 기체는 많은데 조종사가 갈수록 부족하다고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5] 대표적으로 강원도 소방항공구조대, 충청북도 소방항공구조대, 울산광역시 소방항공구조대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