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여객
1. 개요
1980년에 설립한 부산광역시의 버스 회사다.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동부산공영차고지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삼거리에 영업소가 있다.(부일여객과 같은 날에 설립)
송정영업소는 본래 이 업체의 본사였으나 동부산공영차고지의 개장 후 청강리로 옮겼다. 이전에는 기장읍 교리 쪽에 181번을 주박하던 영업소가 있었지만 동부산공영차고지 입주 후 폐쇄되었고 그 자리에는 할인마트가 들어섰다.
부산여객과 마찬가지로 송정영업소 노선들이 잘나가고 본사 시종착인 100번과 181번은 배차간격이 긴 탓인지 수요가 많지는 않다. 그래도 181번은 기장 수요라도 있는 반면 100번은 노선 개편 이후 굴곡노선에 배차간격도 긴 편이라... 1011번은 이용객 면에서는 터져나가지만 환승 수요가 대다수인데다 노선 특성상 급행버스끼리 환승하는 수요가 다른 노선에 비해 많아서 운송수입금은 이용객 수에 비해 매우 낮다.
2000년까지는 자일상용차와 현대자동차를 골고루 출고하였고 2001년부터 대우로 전향하였다가 2011년 9월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소수 도입한 이후 평가가 좋았는지 당시에 내구 연한이 한창 남은 커먼레일 로얄시티 디젤차량마저 전부 다 조기대차 시켜버렸다. 그래서 2012년 청강리 연장 직후부터는 전차량 천연가스버스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대우 가스차 역시 현대차로 대차해서 현재는 현대차만 운행중이다. 부산 최후의 글라이딩 도어 BS110CN을 운행했으며[1] 남아있던 BS106 차량도 2019년 10월 모조리 현대 일렉시티로 대차되어 입석형 대우차는 전멸했다. 좌석 역시 2019년 대우 FX116 초기형에서 현대 유니버스 엘레강스로 대거 대차되었고 전용예비로 1대 남은 FX116(3360호) 마저 2020년 4월 유니버스 엘레강스로 대차되어 100% 현대차로 운행한다.
여담으로 이 회사의 모든 노선들은 해운대역에서 만난다.
준공영제 실시 전에는 동부산 지역 위주로 운행하고 서부산, 원도심으로 가는 노선은 없었으나, 준공영제 실시 이후 부산 버스 1001을 시작으로 원도심과 서부산 지역에 진출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부산 버스 1011로 이동하자 동구와 중구에서 철수하고 영도구에 진출하기에 이르렀다.
2019년 상반기, 전기버스 운용 사업자 신청 및 선정되어 10대를 배정받았고, 2019년 9월 송정영업소에 전기버스충전기 설치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9월 30일 일렉시티 2대가 출고되었다. # 10월 4일, 29일 2대, 30일 1대, 31일 1대가 출고되었다. 이후 11월 4일 2대도 출고하였다. 총 10대가 출고되었으며, 해당 차량들은 모두 141번에서 운행한다.[2]
2020년 여름 대규모 폭유사태로 유한여객과 함께 버스피해를 입었다.
폭우로 인해 해동 1011번 버스 정규차량인 3358[3] 의 면허가 유실되는 바람에 3358호가 3359호로 면허가 변경되었다.이외에도 다른 버스에도 피해를 입었었다.
2. 차고지
- 본사(동부산공영차고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 100번, 181번, 1011번 시종착
- 송정영업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1118 (송정동) - 100-1번, 141번 시종착[4]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3. 면허 체계
4.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100번: 14대
- 100-1번: 18대
- 141번: 21대
- 181번: 13대
- 1011번: 6대
- 예비차: 3대
- 도합: 75대
5. 운행노선
- 본사 시종착 노선
- 부산 버스 100 (청강리 ↔ 동래시장 ↔ 장전역)
- 부산 버스 181 (청강리 ↔ 일광신도시 ↔ 센텀파크)
- 부산 버스 1011 (청강리 ↔ 한진중공업 ↔ 경제자유구역청) ※ 부일여객과 공동배차[11]
- 송정 영업소 시종착 노선
- 부산 버스 100-1 (송정 ↔ 동래지하철역 ↔ 부산대학교)
- 부산 버스 141 (송정 ↔ 롯데호텔.백화점 ↔ 선암사입구)
6. 폐선, 철수 또는 타 업체로 이관된 노선
- 부산 버스 142 (기장 ↔ 해운대 ↔ 서면)
- 부산 버스 182(구) (기장 ↔ 신시가지북부 ↔ 센텀시티)
- 부산 버스 182 (청강리공영차고지 ↔ 일광 ↔ 정관신도시) ※ 일광여객과 공동배차[12]
- 부산 버스 185(구) (기장 ↔ 송정 ↔ 장산역) ※ 부산여객과 공동배차[13] - 공교롭게도 현재의 185번도 기장 - 송정 - 장산역이지만 기장읍내를 가지 않는다는 다른점이 있다.
- 부산 버스 1001 (청강리 ↔ 부산역 ↔ 동아대학교) ※ 부일여객과 공동배차[14]
- 부산 버스 1005(구) (기장교리 ↔ 반송 ↔ 서면) ※ 부산여객, 세익여객과 공동배차[15]
- 부산 버스 1006(구) (해운대 ↔ 기장 ↔ 정관신도시) ※ 부산여객, 부일여객, 일광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2002 (해운대(좌동) ↔ 온천장 ↔ 노포동터미널) ※ 부일여객, 삼신교통과 공동배차
7. 현재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초저상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8. 과거 보유차량
8.1. 자일상용차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새한 BU110 디젤
- 새한 BU120 디젤
- 새한/대우 BF101 디젤
- 대우 BR101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로얄논스텝 F/L 천연가스버스[16]
- 대우 BH113 로얄에이스 디젤
- 대우 FX116 크루징애로우 천연가스버스
8.2.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1] 해당 차량은 5355호와 5356호로 둘다 100번에서 운행했으며 2018년 12월 회색봉 옵션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일반 차량으로 대차되어 100번에 그대로 운행 중이다.[2] 원래 100-1번에서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141번 운행으로 변경되었다.[3] 2016년식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CNG차량으로 2007년식 대우 BS106 NGV 5346호의 대차분이다.[4] 동부산공영차고지 조성 이전에는 여기가 본사였다.[5] 한때 부산여객 노선인 39번도 주박했었다. 2007년 5월 15일에 인가대수가 많았던 구.142번이 후속 노선없이 그대로 폐선되는 바람에 기장영업소의 공간이 너무 남아돌게 되어 부산여객 39번이 얹혀지내게 되었다.[6] 해동여객 주 면허. 단, 53#4는 존재하지 않는다. 5345->3357,5346->3358(현.3359)[7] 세진여객 출신 면허이다. 구.135번이 폐선되면서 넘어온 면허이다.[8] 영신여객 출신 면허이다. 모두 17번의 감차분이다.[9] 유한여객 출신 면허이다.[10] 전반부의 면허체계는 성원여객이 사용 중이다.[11] 원래 1001번에서 운행하던 차량 4대가 그대로 1011번으로 넘어갔다.[12] 2012년 11월 17일 일광여객과 동반철수했다. 동시에 부산여객, 부일여객으로 이관되었으며 하행에 한해 장산역으로 연장되었다.[13] 지하철 2호선 완전개통으로 기장지역에서 지하철역 연계로 개통된 노선이었지만 인가대수도 적었을뿐더러 중복노선들 때문에 공기수송만 하다가 몇개월 지나지 않아 폐선되었다.[14] 2016년 4월 1011번 4대 증차로 철수했다.[15] 폐선 후 해당 노선에 있던 고급차량들이 1001번에 있다가 2016년 봄부터 위에 있는 1011번으로 옮겨갔다.[16] 부산에서 마지막으로 앞문 글라이딩 도어가 달린 대우저상을 운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