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 방언

 


1. 개요
2. 특징
3. 어휘
3.1. 상대 높임법
4. 주요 화자
5. 예문
6. 관련 문서


1. 개요


黄海道 方言.
중부 방언의 하위 방언이며 쉽게 말하자면 중부 방언의 어휘와 서북 방언의 억양이 합쳐진 형태라고 보면 된다. 방언학에서 황해도방언은 전이 방언이다. 황해도 방언은 경기도 방언과 평안도 방언이 융합된 형태라 생각하면 된다. 지역에 따라 해주, 연백 등의 남부는 경기도, 신계군, 곡산 등의 동부는 강원도, 황주, 수안 등의 북부는 평안남도 방언의 특색을 더 많이 띄며, 중부 평산 등지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모습을 보였다. 예성강, 임진강, 재령강과 낭림, 멸악 산맥이 황해도 방언 분화에 기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용하는 지역은 사리원 이남의 황해도며, 현재로써 남한에서는 그나마 서해5도, 경기도에서 가장 듣기 수월한 방언이다. 경기도의 전쟁 때 내려오신 실향민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거의 다 가까운 황해도 분들이다. 실제로 서해 5도는 과거에 황해도였던 곳이라, 이곳의 토박이들은 황해도 사투리의 억양이 아직 강하게 남아있다. 또한 강화도, 파주, 인천에도 황해도 실향민이 적지 않게 살 수 있어 이 지역의 시장 한 켠이나 길거리의 어르신 말투를 잘 들어보면 황해도 말투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거의 경기도의 황해도민들은 해주나 옹진, 연백 같이 남서부 경기만 연안 지방 출신이라서 사리원 같은 내륙지방의 방언은 거의 듣기 힘들게 되었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존재감 없는 방언이다.[1]
황해도 실향민이나 후손[2][3]들이 화자로 있지만, 원래 존재감 없는 지역인데다가 오랜 분단으로 인하여, 또 화자가 계속 줄어들어서 더욱 존재감이 희박해져서 황해도 말을 서북 방언이나 동북 방언하고 구분을 못해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티비나 영화를 보면 이게 평안도 말인지, 함경도 말인지 헷갈리며, 영화, 애니 번역 등지에서도 자주 쓰이는 서남 방언, 동남 방언과 달리 찾아 보기도 어렵다. KBS에서 방영했었던 순금의 땅에서 황해도 사투리가 나와있다. 개성, 연천 등지를 배경으로 한 연속극이라서.. 오래 전엔 남보원, 백남봉 등 옛날 코미디언들이 구사를 잘했었다.
북한의 문화어 보급 정책으로 없어진 건 몰라도 문화어에 가깝게 변형되어가고 있다는 추정이 있다. 추정인 이유는 이 지역 탈북자가 드물고,[4] 탈북을 하는 사람들도 타지 사투리는 역사 소설, 남한에 비하면 드물게 주어지는 사석에서 타지 사람을 만나는 경우를 제외하면 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황해도 사투리는 이렇게 변형된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다. 말투가 억세진다는 주장도 있지만, 문화어를 보급했으면 이 언어에는 실질적 서울 방언의 요소가 포함되기도 하여 부드러워져야 한다고 할 수도 있다. 남한에서도 서해5도를 방문한 사람들은 이 지역 토박이의 사투리를 억세다고 여긴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의 석사 논문의 자료에 따르면 북한 안에서는 느린 말투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개성 인근은 경기도 사투리에 가깝다는 주장도 있다. '시까, 시요, 시기요, 렁, 잉, 디'라는 어미에 '충청도말과 비슷하다, 서울말과 비슷하다, 평양말씨[5]보다 사투리가 짙다, 평양말씨보다 꼬부라지게 발음한다'는 평이 있었다.
심지어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도 다른 지역의 방언보다 무관심 속에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연구자료가 실향민들이 전부였다는 이유도 있었겠지만, 학자들이 그저 황해도 방언을 방언의 완충지대나 중부방언의 하위로 분류하면서 경기방언과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 치부한 것이 가장 이유라 말할 수 있다. 이남의 황해도 방언에 대한 논문은 1980년 김영배의 연구가 유일하다. 그것도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니까 월남한 황해도 출신들을 토대로 작성된 것. 황해도 방언에 관한 책자로는 고현철, 황대화의 책자가 있다. 북한은 '조선어문', '문화어학습' 등의 학술지에서도 계속하여 기술되고 있다. 물론 모든 논문은 종당에 "언어의 문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투리를 없애고 문화어의 발음규범을 좇아야한다"라고 적혀있다. 이북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 상황을 정리하자면, 황해도 방언은 북한에서는 문화어 정책으로 인하여 사라져가고, 대한민국에서는 실향민 1세분들은 돌아가시고 2, 3세들은 쓰질 않으니까 서해 5도[6]정도를 제외하고는 무관심속에 빠르게 화자수가 줄 것이 예상된다.

2. 특징


  • 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되버린다. 단, 모음으로 시작허는 경우는 예외.
예)내 삼강으루다가 났시다.(나는 삼광으로다 났습니다.)
  • 경기 방언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어휘에서 ㅏ ―> ㅐ 전설모음화 현상이 보인다.[7]
예)핵교, 댕기다, 챙피하다, 맨지다, 댄추, 맨날, 배깥(바깥), 챔나물(참나물), 댐에(담에=다음에)
  • 첫음절에서만 전설모음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다음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다.
예)장개(장가), 아매(아마), 감재(감자), 치매(치마), 마누래(마누라)
  • 'ㅣ' 전설모음화도 있다. ㅅ,ㅆ,ㅈ,ㅉ,ㅊ와 같은 경구개음아래서 'ㅣ' 전설모음화 현상이 보인다.
예)십관(습관), 시러지다(스러지다), -십니다(-습니다), 대갔이니까(되겠으니까), 가갔이니께(가겠으니까), 있이니께(있으니까), 히구망칙하다(해괴망측하다)
  • ㄱ,ㄲ등 연구개음과 ㄷ,ㄹ등 치음아래서도 'ㅣ' 전설모음화 현상이 보인다.
예) 기거(그것), 기리게(그러기에), 길지 말라(그러지 말라), 긴데(그런데), 기렇게(그렇게), 기카구(그렇게 하고), 기:니?(그렇니?), 기래(그래), 기래두(그래도), 기래서(그래서)[8], 기저께(그저께). 길쎄(글쎄), 디가다(들어가다), 디문디문(드문드문), 노낀(노끈), 낀(끈)
  • ㅟ ―> ㅜ 후설모음화도 보이고 있다.
예) 구먹쟁이(귀머거리), 구신(귀신), 두지다(뒤지다), 바우(바위), 비우(비위), 볼따구(볼따귀), 뼉다구or뻬다구(뼈다귀), 바쿠(바퀴)
  • 이 외에도 ㅏ ―> ㅓ(허다=하다), ㅓ ―> ㅡ(읎다=없다), ㅗ ―> ㅜ(삼춘=삼촌), ㅔ ―> ㅣ(비게=베게), ㅚ ―> ㅗ(오삼춘=외삼촌), ㅣ ―> ㅡ(승겁다=싱겁다) 등의 수많은 음운현상이 있다. 전문서적을 참고.
  • "~네다"는 황해도에서도 쓰이지만, 해방 직후 기준 북부 내륙지방(평산 등)의 느낌이 강한 어휘다. 즉, "-니다"도 쓰고 있다란 말씀. 참고로 탈북자들은 이렇게 발음을 해도 '~니다'라고 적어야 하는 교육을 받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일부 함경도 출신 탈북자들은 왜 없는 말투인 '~네다'가 북한 말투로 여겨지냐며 불쾌하게 생각하기도 하는데, 원래 남쪽에 평안도, 황해도 출신 실향민이 많았던 역사 때문에 그렇다.
  • 거의 또 "~시다." "~시까?"[9] 등도 절찬리에다가 사용하고 있다. 아, 거 혹시나 하는 말인데 '~시까', 이것이 높임말이다. 반말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하다.
예)안녕하시까?(안녕하십니까?), 포인트 카드 있시까?(포인트 카드 있습니까?), 더는 못 먹갔시다.(더는 못 먹겠습니다.), 누구라 아침버텀 일 하갔시까?(누가 아침부터 일 하겠습니까?)
  • "~네?" 또한 의문형으루다가 쓰인다.
예)밥 먹었네?(밥 먹었냐?)
  • 의문형 중 "-ㄹ까요"는 "-까요"로 ㄹ이 탈락되어 쓰인다.
예) 저 얘기 좀 하까요?(저 얘기 좀 할까요?)
  • "~요", "~죠"도 당연이 쓰이고 있다.
예) 지금 젊은 사람들은 이라죠. "아바이, 식사하라요." 식사하시라요라 하는 거이.
  • "거이"가 무슨 서남 방언급으로 빈번허게 쓰인다. 짧게 "거"라고도 한다.
  • 명령형 종결어미로는 "~라우" "~라요"가 있다.
예)철수야, 밥 먹으러 오라우.(철수야, 밥 먹으러 와라.) 한아바지, 진지드시라요.(할아버지, 진지드세요.)
  • 감탄을 나타내는 어미로는 "~군(요)" "~누만(요)"가 있다.
예)그라믄 많이 컸갔구나.(그러면 많이 컸겠구나) 많이 추어졌누만.(많이 추워졌는구먼)
  • 과거완료를 나타내는 시제어미로는 "-대", "-댓"이 있다. ㅏ가 추가되는 형태도 있다.
예)아바이, 집에 가셨댔어요?(아버지, 집에 가셨었어요?), 이 집이가 10년 전엔 핵교대이?(이 집이 10년 전에는 학교였니?), 여기가 황해도 옹진군 해남면이댔시다.(여기가 황해도 옹진군 해남면었습니다.), 이 염전은 전엔 개뻐락이댓시까?(이 염전이 전에는 갯벌이었습니까?) 이거이 오늘 완 택배니?(이게 오늘 온 택배니?), 이 프로그램 봔 거야(이 프로그램 본 거야)
  • 주격조사로는 "이", "가", "이가"등이 혼용되며 평안도 영향을 받은 내륙에선 "~레"도 쓰이고 있다.
예)흉가 지다(흉이 지다), 이 집이가 따뜻하누나(이 집이 따뜻하구나)
  • 60년 전에는 "ㅈ"이 /t͡s/[10]로 발음되는 현상이 연백, 금천을 제외한 전역에서 나타났지만, 지금은 이 현상이 나타나는 지방은 많이 줄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곳이 옹진이다.[11]
  • 해봤댔자 = 해봐야
예) 오마니 서꺼랑 붙어봤댔자 이기갔어?

3. 어휘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황해도 방언은 지역에 따라서 크게 다를 수 있으므로 이후 서술되는 어휘는 모든 황해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어휘가 아닐 수도 있음을 알린다.
여기서 더 찾아볼 수 있다.
  • 가녘: 주변
  • 강내이: 옥수수
  • 과따치다: 왁자지껄 떠들다
  • 개뻐락: 갯벌
  • 갱서리: 가장자리
  • 거러지: 거지
  • 거이/괴: 게(crab,蟹)
  • 겁재이: 겁쟁이
  • 결내다: 성내다, 화내다
예)갸 종내(끝내) 결내누만.
  • 고다/고아대다: 소리지르다, 떠들다, 소란을 피우다
예)갸가 왜 고래고래 소리치고 고니?
예)야 이거 떴다 날아디게 고구기래! (왜 이렇게 소란스럽냐!)
  • 곤치다: 고치다
  • 궁진하다: (배가) 출출하면서도 심심하다
  • 기냥: 그냥[12]
  • 기집아이: 여자애[13]
  • 길장구: 질경이
  • ~꺼정: ~까지
  • 날래: 빨리[14]
  • 냉중: 나중
  • 녹살나다: 혼쭐나다
  • 니/니빨: 이
  • 닥다르다: 다그치다
예)죽일놈 닥다르듯 하지 말라우.
  • 답쌔다: 세게 때리다
예)귓썀을 한 대 답쌔!
  • 당아니: 거위[15]
  • 당추 : 고추
예)거기 당추가루 좀 개지고 오라!
  • 대개이: 머리[16]
  • 댕기다: 다니다[17]
예)그거이 유치원 댕깁네 해가꼬..
  • 더품: 거품
예)거이 더품을 물고 열을 올리니.
  • 데까닥: 단번에
  • 돈사다: 팔아서 돈을 마련하다
  • 동숭: 동생
  • 뒤끄먼치: 발뒤꿈치
  • 메: 무엇
예)메라구? 메요?
  • 모지라다: 모자라다
예)이거이 모지라다, 야
  • 무잇무잇: 무럭무럭 (김이 나는 모습)
예) 밥에서 김이 무잇무잇 나누나.
  • 민하다: 미련하다
  • 밍구스럽다: 마주하기 껄끄럽다
  • 바스라졌다:(성격 따위가)발랄하다, 작은 조각들로 쪼개짐
  • 뺏틀리다: 빼앗기다
  • 뺏들다: 빼앗다
  • 사내나이: 사나이
  • 색쟁이: 호색한
  • 세나다: (상처 부위가) 덧나다
예)상처가 몹시 세났어.
  • 서꺼랑: ~랑, ~와 함께
예)옴마니 서꺼랑 전화 다 드렸네?(어머니랑 다른 분께 전화 다 드렸니?)
예)저는 영희, 철수 서꺼랑 잘 있시다. (저는 영희랑 철수랑 잘 있습니다.)
  • 섯깔: 혀
예)섯바닥: 혓바닥
  • 셤-수염
  • 손꾸락: 손가락
예)손(꾸락)은 구어박았나?[18]
  • 수왕길: 은하수
  • 심들다: 힘들다
  • 씨엄히: 굉장히
  • 악찌가리: 입
예)악찌가리 닥치라우.
  • 어드러케: 어떻게
  • 어드래: 어때
예)머이 어드래?(뭐가 어때?)
  • 어느바루: 어디쯤
  • 어드메: 어디
  • 얼굴망태기: 곰보
  • 에무나이-여자애[19][20]
  • 없으시다-돌아가시다[21]
예)조부께서 없으셨어?
  • 오라바이: 오빠
  • 올에: 올해
  • 옴마이/옴마니: 어머니
  • 외잘마이: 외할머니
  • 왼: 맨, 아주
예)왼 못된 짓만 하네.
  • 잡아돌리다: 힘들게 하다
  • 장댕이: 등 (背)
  • 재주: 자주
  • 잰내비: 원숭이
  • 조박: 조각
  • 족도리: 족두리
  • 종당에: 결국에
  • 지지바이-계집아이
  • 지푸락: 지푸라기
  • 진종일: 하루종일
  • 천지방: 천장
  • 초매: 치마
예)저 초매입은 에미나이 예쁘지 않네?
  • 치나다: (길을) 비키다
예)야! 좀 치나라우.
  • 칭아: 차이
  • 컨오마이: 큰어머니
  • 켠: 편
예)이 켠이야, 저 켠이야?
  • 쾐히: 공연히, 괜히
  • 키짝질[22]
  • 턱무하다: 어이없다
예)오늘 너무 턱무한 일을 당했어
  • 톰발리: 빨리[23]
  • 한냠: 할머니의 호격
  • 할락꿍이: 남한 사투리를 쓰는 사람, 남쪽출신 사람을 지칭할 때 쓰는 말
  • 할마이/한마니: 할머니[24]
  • 할아바이/한아바지: 할아버지
  • ~허다: ~하다
  • 호레이: 호랑이

3.1. 상대 높임법



황해 방언의 상대 높임법은 해요체, 하서체, 해라체가 있다.

4. 주요 화자


  • 안중근 의사[25]등 다른 황해도 출신은 황해도 문서를 참고.
  • 김동엽
황해도 사리원시 출신 야구 감독이다. 황해도 사투리로 선수들한테 지시하고 심판들이랑 노가리 까기로 유명했다.
황해도 벽성군 운산면 태생으로 황해도를 대표하는 애국자다. 백범 선생의 사투리는 해주를 필두로 하는 황해도 남부 해안지역의 사투리의 전형적인 특징, 즉 경기 방언과는 억양에 큰 차이가 없다는 특징을 보인다.[26]
황해도 평산군 출신으로 해방 이전에는 김구와는 함께 일제에 맞서 싸웠고, 해방 정국[27]에서는 백범의 라이벌이었다. 이승만은 김구의 고향에 비해서 좀 더 북쪽 지방 출신이었기에 확실히 경기 방언과 구분이 뚜렸했었다. 하지만 평산은 사리원 이남이었기 때문에 서북 방언[28]하고도 거리가 좀 있었다.

5. 예문


“방공호(대피소) 가서도 악몽(惡夢)은 계속 됐지야. 깜깜한 밤중 같이 불빛이 없어 너무 미서(무서)워서 죽을뻔 했시다. 급하게 피했지만, 학교에 가있는 우리 막내 딸이 어드매 대피소에 잘 숨었는지 확인 안됐지야. 딸 위치랑 안부 걱정에 정말 심장이 터지는 줄 알았습니다.”

2015년, 백령도 토박이인 주순선(52)씨의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6. 관련 문서



[1] 이 문서가 방언 목록 문서 중에 가장 늦게 쓰인 것만 봐도.. 심지어는 방언 항목에도 언급이 안되어 있었다.[2] 후손들 중 대다수는 부모님의 고향말이 아닌 그냥 서울말을 쓰지만...[3] 실향민 3세부터는 더더욱 사투리를 쓰지 않고 있다. 사실 3세 나이또래 부터는 황해도 말을 쓰면 북에서 왔냐며 이상하게 보니까.[4] 탈북자들은 대다수가 함경도 출신이다.[5] 공적 석상의 문화어의 영향을 받은 평양 사람의 말을 이렇게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평양 사람들은 진짜로 문화어만 말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어떤 평양 출신 탈북자는 구어로 문화어와 다른 말투를 언급하기도 한다. #[6] KBS 다큐3일 등지에서 백령도, 연평도를 찍은 것이 있다. # [7] 전설모음화 현상은 황해도 방언을 포함한 중부 방언에서 널리 보이고 있다. 전설 모음화는 거진 전국구이니까..[8] 황주에서는 '기래서라무니'라고 한다. 먼가 신기한 발음..[9] "~시꺄"로도 쓰이고 있다. 참고로 "~시꺄"는 강화도 방언이기도 하다.[10] 즉 일어의 つ에서 나타나는 그 소리[11] 81년 조사(김영배)에 따르면 곡산, 신계, 평산, 남부의 해주, 벽성, 옹진에서 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지만.. 확인할 길이 없어서..[12] 서울 경기지역에서도 자주 쓰인다.[13] 서울 경기지역에서도 자주 쓰인다.[14] 평안도에서도 사용하고 있다.[15] 문화어 어휘인 '게사니'라고도 한다.[16] '대가리'를 생각하면 된다. 평소 쓰임처럼 욕으로 쓰이는 말이다.[17]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남한 지역에서도 자주 쓰인다.[18] 손을 쓸 때 쓰지 않을 경우에 하는 말이다.[19] 서북방언처럼 에미나이도 사용되고 있다.[20] 아무리 ㅐ와 ㅔ발음이 황해도 방언에서도 구분이 안되두 애무나이(...)로 알아듣진 말자.[21] 언어학적으로도 특이한 어휘다. 형용사인 '없다'에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시'가 어간에 들어가 동사가 되는 흥미로운 현상이다.[22] 키를 가지구 쌀을 고르는 일[23] 재령[24] 여담이지만 황해도 출신인 송해가 가끔씩 '할마이'라는 말을 사용허는 것을 들을 수 있다.[25] 여담으로 2010년 공연된 소극장 뮤지컬 '장부가'에서는 사투리를 쓰는 안중근 의사를 연기했다.[26] 물론 현재 남은 영상자료가 연설, 즉 공적인 것 밖에 없다는 걸 고려해야한다.[27] 정확히 말하면 장덕수 암살 사건부터 둘은 갈라서게 된다.[28] 또다른 라이벌 김일성은 서북 방언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