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AMEN BREAK
[image]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 이벤트의 조상의 각성 등장곡이다. 작곡 팀은 くふおー[1] 로, 팀 구성원은 泉 陸奥彦, wac, DJ TOTTO, TAG, beatnation RHYZE의 Hommarju, 거기에 이번 이벤트를 통해 처음으로 수록곡 작곡에 참여하는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사운드 디렉터 '''Cody'''까지 6명.
곡 제목은 처음에는 (투탕)카멘과 '아멘 브레이크'[2] 의 합성어로 추정. wac이 트위터에 풀어낸 비화에 의하면 wac이 생각해두었던 장르명이었고 제목은 오히려 '''마스크 가면 v.s. 사하라 사막'''이라는 것이 될 뻔했다는 모양. 덤으로 팀 명의도 찌개[3] 냄비 보이스 남자들이 될 예정이었다고. 만일 채택되었더라면...
조상의 각성으로 해금되는 세 곡 중 자켓 디자인이 가장 정상적인 곡이다. 디자인은 なす. 거기다가 작곡가 조합이 조합인지라 '진지한 최종보스 곡'이라고 추정한 유저들이 많았으나,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개그곡이었다.'''
2014년 7월 30일 알람파워가 가득 차 7월 31일에 각성곡 중 마지막 곡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Cody의 코멘트 그대로 누가 어느 파트를 담당했는지 다른 두 곡보다는 쉽게 알 수 있으며 TAG와 TOTTO는 특히 파이어-!나 썬더-!를 외치고 시작하는 등 대놓고 어딜 맡았는지 알려주는 듯 하다. 특히 사볼 인피니트 채보에서는 작곡가의 파트마다 해당 작곡가의 곡을 샘플링으로 넣는 센스로 "아 이 파트는 이 사람이 담당했구나"가 저절로 나오게 된다. [4] 이에 대해서는 사볼 설명 부분 참고.
가사 중에 투탕카멘이라고 들리는 부분은 투탕카멘이 아니고 스타가면(スター仮面)이라고 wac이 트위터에서 언급했다. 아마 의도한 몬데그린인듯하다. Hommarju의 코멘트에서 스타 가면이란 말이 엄청 자주 나오는데 코멘트를 가사를 염두해두고 쓴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Hommarju가 스타 가면으로 불렸는진 알 수 없다(...)
여담으로 사립 BEMANI 학원의 お米の美味しい炊き方와 비슷한 점이 세가지 있다. 첫번째는 처음 조합이 나왔을 당시에 사람들이 진지한 고난도 곡이라 생각한 것, 두번째는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개그곡(...)이었다는 것, 마지막 세 번째로 개그곡이라는 단서가 있었다는 것.[5]
나머지 두 조상의 각성 곡들과 비교해서 굉장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특히 리플렉 비트쪽에선 2014년 8월 11일부터 17일동안 집계한 주 히트 차트에서 오리지널곡 부문 2위를 차지했고, 유비트 쪽에서도 2014년 8월 18일에 집계한 오리지널 히트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다. 아무래도 이벤트의 컨셉과 잘 어울리는데다가 난이도도 적당하고 패턴도 찰진 것이 큰 듯하다.
다만 다른 두 곡들이 유비트나 리플렉 비트, 팝픈뮤직에서 매우 고난도의 곡으로 나온 것과는 달리, 어느 기종에서도 고난도곡 자리까지 올라오지는 못했다. 난이도와 곡 인기는 상관 없다는 것의 반증.
청음 가사이기 때문에 불확실할 수 있음.
SPA 영상
싱글 어나더는 전체적으로 무난하지만, 초반의 갑작스런 백스핀 스크래치와 빠른 35트릴의 조합에 게이지를 갉아먹힐 수 있으니 유의하는 것이 좋다.
비공식 난이도는 10.0.
SPADA 당시는 11레벨이었다. 다음작인 PENDUAL에서 10으로 하향되었다.
EX 영상
하이퍼는 죽는듯 사는듯 하다가 끝내면 게이지가 꽉 차있는 신기한 구성이다. 이런 연유로 인해 37치고는 쉬운 편이다.
EX는 노트 수에 비해 곡 길이가 길어 전체 밀도가 낮고, 이즈미 파트부터 후반의 난이도가 높아지기는 하지만 순간 밀도가 높은 구간도 크게 난해하지 않아 45레벨 중에서는 무난한 편으로 꼽힌다.
중간에 90BPM의 저속 구간의 함정이 있다.
ESP 영상
EDP 영상
싱글,더블 익스퍼트는 Another Phase와 비슷한 정박,엇박 패턴과 16비트 5연타 트릴로 무장한 채보다. 싱글은 고난이도 허리틀기나 동시밟기가 거의 없어 16수준에서는 좀 쉬운 편이다.
베이직,디피컬트는 무난한 수준의 난이도이다.
드럼 익스트림 영상
관련 칭호
EXT 보면 영상
EXT EXC 영상. 플레이어는 A.K.R-Y
등장과 동시에 Elemental Creation과 Lisa-RICCIA를 제치고 공개 당시 1위와 노트 2개 차이로 근접하며 충격을 주었다. 하지만 난이도 자체는 조상의 각성 타이틀로 공개된 3곡 중 가장 쉽다. 곡도 체감상 매우 길고, 노트수가 많아 체력이 많이 들고 노트 밀도 역시 상당하지만 단순 폭타 위주 채보인지라 무난한 편이다. 풀콤보 난이도와 스코어링 난이도 모두 10레벨 평균 정도로 평가된다.
ADV 패턴에도 스핑크스 패턴이 나오는데, 맨 처음과 맨 끝에만 나오는 EXT 패턴과는 달리 후렴에서 두번 더 들어가는 '스핑크스~'에서도 해당 패턴이 등장한다.
하루만에 매칭 중에 스핑크스 패턴의 인사법이 간간히 보인다.
EXT EXC 영상
2017년 3월 3일에 FLOOR INFECTION & POLICY BREAK 개최 기념이라는 명목으로 아케이드에도 수록되었다.[15]
기존 패턴이랑 다른점은, HYENA 매쉬업 구간에서 HYENA 초반부의 난타패턴이 등장하고, 롱 FX칩이 등장하는 구간에서는 가로 슬라이드 패턴이나 세로 슬라이드 패턴이 나오고, 초반부 폭타가 배치가 한층 더 까다롭게 등장했다. 한 손으로 치기 어려운 배치도 원 채보보다 늘어나서 어느정도 암기가 필요한 채보이다.
베이직은 원곡도 마찬가지로 물량이 꽤 많은 축이긴 하지만, 4레벨로 강등당하면서 최다물량으로 등극했다.
하드 보면 플레이 영상
오브젝트 수 900이라는 물량곡이므로 뻘미스 주의. 전체적인 패턴은 쉬운 편이나 후반부의 Valanga후반스러운 트릴과 다닥닥다 하는 동시치기 부분이 처리하기 매우 어렵다. 14레벨 중에서는 하위권 정도의 난이도.
900개의 오브젝트 수는 海神과 같은 오브젝트 수이다. 900개의 오브젝트가 고르게 분산되어 밀도가 그렇게 빡빡하지 않아보인다는 것도 특징이지만 전체적으로 그 900개에 해당하는 물량이 쉴 새 없이 나오는 구성이라 그렇게 보이는 것.
하드 보면 플레이 영상
16비트 트릴이 주가되는 패턴으로 곡 내내 트릴이 내려온다. 노트 수도 매우 많은편이라 밀도가 빽빽하다.
EXH 패턴 클리어 영상
Megacycle의 패턴답게 종합 처리력을 시험하는 경향이 강하다. 전체적으로 무난하지만 영상 기준 1:44초부터 나오는 약 4초간의 도파민 후살과 유사한 FX-BT 트릴에서 게이지를 다량으로 잃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
INFINITE 패턴 UC 영상
최초로 '''다른 곡의 음원이 매시업'''되는 이펙트가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매쉬업된 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수록 당시에는 HYENA만 사운드 볼텍스에서도 수록되어 있었다.[16] 앞에 2 소절 구간은 단순 트릴이지만, 뒤에 두 소절은 사볼의 그 패턴을 그대로 가져왔다.
부스 시절의 패턴처럼 FX 칩과 BT 롱노트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부스 초창기처럼 반각 노브까지 없다.
수록 당시 구 레벨 기준 14가 되면서 최초로 INFINITE가 EXHAUST보다 레벨이 낮은 곡이 되었는데, INFINITE가 단순한 "상위 패턴"이 아니라 EXHAUST와는 다른 방향성을 가진 번외 패턴 성격을 띠고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난이도는 EXH보다는 약간 낮고 표기 난이도만 저렇긴해도 실질 난이도는 '''15레벨'''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채보의 주가 되는 BT 노트 폭타는 명백히 레벨 14 수준을 벗어나 있으며, 중반의 HYENA 구간이나 간간히 팔을 교차해야 하는 부분 등 당황하기 쉬운 요소가 산재해 있어 주의를 요한다. 그러다 보니 출시 당시 BEMANIWiki나 리듬게임 갤러리 등지에서는 이 곡의 INF 패턴을 '''명백한 레벨 14 보스곡'''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사볼 3에서도 금작에 14로 강등당한 후 초월사칭 소리를 듣고 있는 유정천 비바체와 치르노의 퍼펙트 산수교실 INF보다 어렵다고 할 정도. 체인 수도 레벨 14 내 4위로, GAMBOL (dfk SCL rmx)과 200개 넘게 차이난다. 특히 EX 클리어 난이도는 사볼3 기준으로도 타 레벨 14는 범접할 수 없을 정도.
그러나 3의 불꽃 난이도 인플레로 인해 14렙에서 폭타가 주가 되는 패턴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폭타에 자신이 있다면 오히려 Stella Sinistra나 VISION 중력, FIRE FIRE#s-4.3は電気スウィングの夢を見るか?, 6弦とピアノのためのエチュード op.4 보다 체감 난이도가 낮게 느껴질 수 있는 개인차곡 수준의 평가까지도 받게 되었다. 이 5곡의 주가 되는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우위를 서로 비교하기가 힘들지만, 스코어링은 체인수가 워낙에 많고 정박 위주 구성이라 같은 14레벨 사기곡 FIRE FIRE#s-4.3は電気スウィングの夢を見るか?이나, VISION, Monkey Business#s-4.3(Band Edit.)같은 곡에 비하면 쉬운 편. 타 최종보스곡에 비해서 결과적으로 상위레벨의 난이도 인플레의 기준선이 된 거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990만점 이상의 초고득점같은 경우는 타 4곡과 비견될 정도로 어렵고, EX 클리어, UC, PUC 난이도는 폭타에 16비트 노브 등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구간이 많이 때문에 타 4곡에 비해서 매우 까다롭다. 다만 PUC 난이도만 따지면 Monkey Business (Band Edit.)이 더 어렵다.
그리고 결국 Stella Sinistra와 함께 스킬 레벨 9의 2스테이지에 들어갔다.[17] 그리고 4볼에서 EXH 패턴과 똑같은 16레벨로 승격처리되면서 유일하게 가지고 있었던 "EXH보다 난이도가 낮은 번외 패턴"의 타이틀을 잃게 되었다.[18]
미라이다갓키의 이식곡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울트라 채보는 DDR의 싱글 채보를 그대로 박았다.
朱 난이도 플레이 영상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 이벤트의 조상의 각성 등장곡이다. 작곡 팀은 くふおー[1] 로, 팀 구성원은 泉 陸奥彦, wac, DJ TOTTO, TAG, beatnation RHYZE의 Hommarju, 거기에 이번 이벤트를 통해 처음으로 수록곡 작곡에 참여하는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사운드 디렉터 '''Cody'''까지 6명.
곡 제목은 처음에는 (투탕)카멘과 '아멘 브레이크'[2] 의 합성어로 추정. wac이 트위터에 풀어낸 비화에 의하면 wac이 생각해두었던 장르명이었고 제목은 오히려 '''마스크 가면 v.s. 사하라 사막'''이라는 것이 될 뻔했다는 모양. 덤으로 팀 명의도 찌개[3] 냄비 보이스 남자들이 될 예정이었다고. 만일 채택되었더라면...
조상의 각성으로 해금되는 세 곡 중 자켓 디자인이 가장 정상적인 곡이다. 디자인은 なす. 거기다가 작곡가 조합이 조합인지라 '진지한 최종보스 곡'이라고 추정한 유저들이 많았으나,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개그곡이었다.'''
2014년 7월 30일 알람파워가 가득 차 7월 31일에 각성곡 중 마지막 곡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Cody의 코멘트 그대로 누가 어느 파트를 담당했는지 다른 두 곡보다는 쉽게 알 수 있으며 TAG와 TOTTO는 특히 파이어-!나 썬더-!를 외치고 시작하는 등 대놓고 어딜 맡았는지 알려주는 듯 하다. 특히 사볼 인피니트 채보에서는 작곡가의 파트마다 해당 작곡가의 곡을 샘플링으로 넣는 센스로 "아 이 파트는 이 사람이 담당했구나"가 저절로 나오게 된다. [4] 이에 대해서는 사볼 설명 부분 참고.
가사 중에 투탕카멘이라고 들리는 부분은 투탕카멘이 아니고 스타가면(スター仮面)이라고 wac이 트위터에서 언급했다. 아마 의도한 몬데그린인듯하다. Hommarju의 코멘트에서 스타 가면이란 말이 엄청 자주 나오는데 코멘트를 가사를 염두해두고 쓴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Hommarju가 스타 가면으로 불렸는진 알 수 없다(...)
여담으로 사립 BEMANI 학원의 お米の美味しい炊き方와 비슷한 점이 세가지 있다. 첫번째는 처음 조합이 나왔을 당시에 사람들이 진지한 고난도 곡이라 생각한 것, 두번째는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개그곡(...)이었다는 것, 마지막 세 번째로 개그곡이라는 단서가 있었다는 것.[5]
나머지 두 조상의 각성 곡들과 비교해서 굉장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특히 리플렉 비트쪽에선 2014년 8월 11일부터 17일동안 집계한 주 히트 차트에서 오리지널곡 부문 2위를 차지했고, 유비트 쪽에서도 2014년 8월 18일에 집계한 오리지널 히트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다. 아무래도 이벤트의 컨셉과 잘 어울리는데다가 난이도도 적당하고 패턴도 찰진 것이 큰 듯하다.
다만 다른 두 곡들이 유비트나 리플렉 비트, 팝픈뮤직에서 매우 고난도의 곡으로 나온 것과는 달리, 어느 기종에서도 고난도곡 자리까지 올라오지는 못했다. 난이도와 곡 인기는 상관 없다는 것의 반증.
1.1. 아티스트 코멘트
1.2. 가사
청음 가사이기 때문에 불확실할 수 있음.
2. beatmania IIDX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21 SPADA ~
2.1. 싱글 플레이
SPA 영상
싱글 어나더는 전체적으로 무난하지만, 초반의 갑작스런 백스핀 스크래치와 빠른 35트릴의 조합에 게이지를 갉아먹힐 수 있으니 유의하는 것이 좋다.
2.2. 더블 플레이
비공식 난이도는 10.0.
SPADA 당시는 11레벨이었다. 다음작인 PENDUAL에서 10으로 하향되었다.
3. 팝픈뮤직
EX 영상
하이퍼는 죽는듯 사는듯 하다가 끝내면 게이지가 꽉 차있는 신기한 구성이다. 이런 연유로 인해 37치고는 쉬운 편이다.
EX는 노트 수에 비해 곡 길이가 길어 전체 밀도가 낮고, 이즈미 파트부터 후반의 난이도가 높아지기는 하지만 순간 밀도가 높은 구간도 크게 난해하지 않아 45레벨 중에서는 무난한 편으로 꼽힌다.
4. 댄스 댄스 레볼루션
중간에 90BPM의 저속 구간의 함정이 있다.
ESP 영상
EDP 영상
싱글,더블 익스퍼트는 Another Phase와 비슷한 정박,엇박 패턴과 16비트 5연타 트릴로 무장한 채보다. 싱글은 고난이도 허리틀기나 동시밟기가 거의 없어 16수준에서는 좀 쉬운 편이다.
베이직,디피컬트는 무난한 수준의 난이도이다.
5. GITADORA 시리즈
드럼 익스트림 영상
6. 유비트 시리즈
6.1. KHAMEN BREAK
관련 칭호
- 유비트 소서 풀필 ~
- KHAMEN BREAK : 모든 보면 클리어
- スター仮面とお前を呼ぶ (스타 카멘이라 너를 불러)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EXT 보면 영상
EXT EXC 영상. 플레이어는 A.K.R-Y
등장과 동시에 Elemental Creation과 Lisa-RICCIA를 제치고 공개 당시 1위와 노트 2개 차이로 근접하며 충격을 주었다. 하지만 난이도 자체는 조상의 각성 타이틀로 공개된 3곡 중 가장 쉽다. 곡도 체감상 매우 길고, 노트수가 많아 체력이 많이 들고 노트 밀도 역시 상당하지만 단순 폭타 위주 채보인지라 무난한 편이다. 풀콤보 난이도와 스코어링 난이도 모두 10레벨 평균 정도로 평가된다.
ADV 패턴에도 스핑크스 패턴이 나오는데, 맨 처음과 맨 끝에만 나오는 EXT 패턴과는 달리 후렴에서 두번 더 들어가는 '스핑크스~'에서도 해당 패턴이 등장한다.
하루만에 매칭 중에 스핑크스 패턴의 인사법이 간간히 보인다.
6.2. KHAMEN BREAK -SDVX Infinity MashUP-
- 관련 칭호
- \すーふぃーんくすー/(\스-핑-크스-/) : 모든 보면 클리어
- いろいろ混ざりすぎ注意!!(이것저것 너무 섞임 주의!!) : 모든 보면 풀 콤보
EXT EXC 영상
2017년 3월 3일에 FLOOR INFECTION & POLICY BREAK 개최 기념이라는 명목으로 아케이드에도 수록되었다.[15]
기존 패턴이랑 다른점은, HYENA 매쉬업 구간에서 HYENA 초반부의 난타패턴이 등장하고, 롱 FX칩이 등장하는 구간에서는 가로 슬라이드 패턴이나 세로 슬라이드 패턴이 나오고, 초반부 폭타가 배치가 한층 더 까다롭게 등장했다. 한 손으로 치기 어려운 배치도 원 채보보다 늘어나서 어느정도 암기가 필요한 채보이다.
베이직은 원곡도 마찬가지로 물량이 꽤 많은 축이긴 하지만, 4레벨로 강등당하면서 최다물량으로 등극했다.
7. 리플렉 비트 시리즈
7.1. KHAMEN BREAK
하드 보면 플레이 영상
오브젝트 수 900이라는 물량곡이므로 뻘미스 주의. 전체적인 패턴은 쉬운 편이나 후반부의 Valanga후반스러운 트릴과 다닥닥다 하는 동시치기 부분이 처리하기 매우 어렵다. 14레벨 중에서는 하위권 정도의 난이도.
900개의 오브젝트 수는 海神과 같은 오브젝트 수이다. 900개의 오브젝트가 고르게 분산되어 밀도가 그렇게 빡빡하지 않아보인다는 것도 특징이지만 전체적으로 그 900개에 해당하는 물량이 쉴 새 없이 나오는 구성이라 그렇게 보이는 것.
7.2. KHAMEN BREAK -SDVX Infinity MashUP-
하드 보면 플레이 영상
16비트 트릴이 주가되는 패턴으로 곡 내내 트릴이 내려온다. 노트 수도 매우 많은편이라 밀도가 빽빽하다.
8. 사운드 볼텍스
- SKILL ANALYZER 수록
- ADVANCED : Skill Level 04(2016.8.17 ~ 2016.12.21)
- INFINITE : Skill Level 09 B코스(2015.8.21 ~ 2016.2.5)
EXH 패턴 클리어 영상
Megacycle의 패턴답게 종합 처리력을 시험하는 경향이 강하다. 전체적으로 무난하지만 영상 기준 1:44초부터 나오는 약 4초간의 도파민 후살과 유사한 FX-BT 트릴에서 게이지를 다량으로 잃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
INFINITE 패턴 UC 영상
최초로 '''다른 곡의 음원이 매시업'''되는 이펙트가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매쉬업된 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수록 당시에는 HYENA만 사운드 볼텍스에서도 수록되어 있었다.[16] 앞에 2 소절 구간은 단순 트릴이지만, 뒤에 두 소절은 사볼의 그 패턴을 그대로 가져왔다.
부스 시절의 패턴처럼 FX 칩과 BT 롱노트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부스 초창기처럼 반각 노브까지 없다.
수록 당시 구 레벨 기준 14가 되면서 최초로 INFINITE가 EXHAUST보다 레벨이 낮은 곡이 되었는데, INFINITE가 단순한 "상위 패턴"이 아니라 EXHAUST와는 다른 방향성을 가진 번외 패턴 성격을 띠고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난이도는 EXH보다는 약간 낮고 표기 난이도만 저렇긴해도 실질 난이도는 '''15레벨'''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채보의 주가 되는 BT 노트 폭타는 명백히 레벨 14 수준을 벗어나 있으며, 중반의 HYENA 구간이나 간간히 팔을 교차해야 하는 부분 등 당황하기 쉬운 요소가 산재해 있어 주의를 요한다. 그러다 보니 출시 당시 BEMANIWiki나 리듬게임 갤러리 등지에서는 이 곡의 INF 패턴을 '''명백한 레벨 14 보스곡'''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사볼 3에서도 금작에 14로 강등당한 후 초월사칭 소리를 듣고 있는 유정천 비바체와 치르노의 퍼펙트 산수교실 INF보다 어렵다고 할 정도. 체인 수도 레벨 14 내 4위로, GAMBOL (dfk SCL rmx)과 200개 넘게 차이난다. 특히 EX 클리어 난이도는 사볼3 기준으로도 타 레벨 14는 범접할 수 없을 정도.
그러나 3의 불꽃 난이도 인플레로 인해 14렙에서 폭타가 주가 되는 패턴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폭타에 자신이 있다면 오히려 Stella Sinistra나 VISION 중력, FIRE FIRE#s-4.3は電気スウィングの夢を見るか?, 6弦とピアノのためのエチュード op.4 보다 체감 난이도가 낮게 느껴질 수 있는 개인차곡 수준의 평가까지도 받게 되었다. 이 5곡의 주가 되는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우위를 서로 비교하기가 힘들지만, 스코어링은 체인수가 워낙에 많고 정박 위주 구성이라 같은 14레벨 사기곡 FIRE FIRE#s-4.3は電気スウィングの夢を見るか?이나, VISION, Monkey Business#s-4.3(Band Edit.)같은 곡에 비하면 쉬운 편. 타 최종보스곡에 비해서 결과적으로 상위레벨의 난이도 인플레의 기준선이 된 거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990만점 이상의 초고득점같은 경우는 타 4곡과 비견될 정도로 어렵고, EX 클리어, UC, PUC 난이도는 폭타에 16비트 노브 등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구간이 많이 때문에 타 4곡에 비해서 매우 까다롭다. 다만 PUC 난이도만 따지면 Monkey Business (Band Edit.)이 더 어렵다.
그리고 결국 Stella Sinistra와 함께 스킬 레벨 9의 2스테이지에 들어갔다.[17] 그리고 4볼에서 EXH 패턴과 똑같은 16레벨로 승격처리되면서 유일하게 가지고 있었던 "EXH보다 난이도가 낮은 번외 패턴"의 타이틀을 잃게 되었다.[18]
9. 미라이다갓키
미라이다갓키의 이식곡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울트라 채보는 DDR의 싱글 채보를 그대로 박았다.
10. MÚSECA
朱 난이도 플레이 영상
[1] 쿠후오 라고 읽으며, 쿠푸 왕과 발음이 같다.[2] '아멘 브라더스'라는 노래에서 나온 드럼루프. 이거 없으면 브레이크비트와 정글-드럼 앤 베이스의 탄생이 없었다고 할 정도의 "'''서브컬쳐 세상을 바꾼 7초'''"라 불리는 드럼샘플이다.[3] 우리가 생각하는 그 찌개 '''맞다.''' 원문은 "チゲ鍋ボーイズ男子".[4] wac 곡들을 많이 접해본 유저라면 전체적인 곡 분위기가 wac 보컬곡과 매우 흡사함을 느낄 수 있다. 보컬의 구성은 wac이 맡았을 확률이 높다. 코멘트에서도 알 수 있고...[5] 작곡가들의 과반수가 '''개그곡'''의 보컬을 맡은 경험이 있고, 후술할 코멘트에서도 곡에 나온 개그 요소가 많이 나온다.[6]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의 공식 사이트에서 연재된 기획으로, 여러 아티스트들이 한 과제곡을 가지고 파트를 나누어 편곡을 한다는 내용. GF7th&dm6th, GF9th&dm8th, GFDMV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총 3회 개최되었으며, wac은 변곡 릴레이 제 3회에 참여한 바 있다.[7] 의역. 원문은 ス―パ―キャッチ―泣きメロ. キャッチ―는 듣는 이를 사로잡는 것을 뜻하며, 泣きメロ는 높은 톤의 마치 우는 듯한 멜로디를 뜻한다.[8] 이 직후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선 POSSESSION이 매시업된다.[9]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선 SUPER STAR!라고 외치는 보이스 샘플링이 겹친다.[10]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선 SUPER STAR!라고 외치는 보이스 샘플링이 겹치며, 이 직후 HYENA가 매시업된다.[11]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선 フィーバーロボ ロボ ロボロボ라고 외치는 보이스 샘플링이 겹친다.[12]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선 ロボロボ라고 외치는 보이스 샘플링이 겹친다.[13] 이 이즈미 상 콜은 통상 버전에서는 기타 소리에 묻혀서 조금 약하게 들린다. 하지만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서는 또렷하게 들린다.[14] 이 직후 사운드 볼텍스 인피니트 음원에선 Valanga가 매시업된다.[15] 내부 데이터 자체는 프롭 때부터 존재했다.[16] 단, 리믹스 버전까지 포함하면 She is my wife도 수록되었다.[17] 참고로 현재 스킬 레벨 9의 2스테이지를 장식하는 14레벨 곡은 이곡, Stella Sinistra, 유정천 비바체, 6弦とピアノのためのエチュード op.4 4곡 뿐이다.[18] 현재 이 타이틀은 夏色DIARY -Summer Dazzlin' Vacation miX-에게 넘겨준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