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zma Burst

 

1. 개요
2. Plazma Burst: Forward to the Past
2.1. 무기 목록
2.1.1. 1 전기충격기
2.1.2. 2 피스톨
2.1.3. 3 라이플
2.1.4. 4 샷건
2.1.5. 5 로켓 런쳐
2.1.6. 6 플라즈마 캐논
2.1.7. SMG
2.2. 스킬 목록
2.2.1. E - use/끌고가기
2.2.2. Q/Enter/Insert - 수류탄
2.2.3. ~ - 명령어
2.3. 적 목록
3. Plazma Burst 2
3.1. 스킬 목록
3.1.1. Z - 슬로우 모션/보호막 수류탄
3.1.2. G/Insert - 수류탄(Grenade)
3.1.3. Q - 무기 교체
3.1.4. C - 키네틱 모듈/순간이동 수류탄
3.1.5. Enter - 명령어/채팅
3.1.6. V - 무기 버리기
3.1.7. TAB - 플레이어 캐릭터 바꾸기
3.1.8. E - 장치 작동
3.1.9. X - 힘빼기
3.1.10. 벽 점프(Wall Jumping)
3.2. 무기 목록
3.2.1. ~/0번 무기
3.2.1.1. 칼
3.2.2. 1번 무기
3.2.2.1. 피스톨 C-01p
3.2.2.2. 피스톨 CS-Pro
3.2.2.3. 에일리언 피스톨
3.2.3. 2번 무기
3.2.3.1. Assault Rifle C-01r
3.2.3.2. Assault Rifle CS-RC(어썰트 라이플 CS-RC)
3.2.3.3. Alien Rifle
3.2.3.4. Minigun C-02m
3.2.4. 3번 무기
3.2.4.1. Shotgun C-01s
3.2.4.2. Alien Shotgun(에일리언 샷건)
3.2.4.3. Shotgun CS-DAZ
3.2.5. 4번 무기
3.2.5.1. Lite Railgun v01 CS-HShot
3.2.5.2. Heavy Railgun v04 CS-OneSOneK
3.2.5.3. Sniper Rifle CS-YippeeKiYay
3.2.6. 5번 무기
3.2.6.1. Rocket Launcher CS-LitBro
3.2.7. 6번 무기
3.2.7.1. Defibrillator
3.2.7.2. Grenade Launcher CS-SpamThemBaby
3.2.8. 7번 무기
3.2.9. CS-BNG
3.2.9.1. Portable Shield v07 CS-Quarium
3.2.10. 8번 무기
3.2.10.1. Plasmagun CS-Bloom
3.2.11. 9번 무기
3.2.11.1. Ray Gun C-01y
3.2.11.2. Drone Gun CS-Virus
3.2.12. 기타
3.2.13. 멀티플레이 무기
3.2.13.1. 글록
3.2.13.2. 팔코니안 피스톨
3.2.13.3. M4A1
3.2.13.4. Combat Rifle CS-OICW
3.2.13.5. 레이 라이플
3.2.13.6. 팔코니안 샷건
3.2.13.7. Alien Sniper Rifle
3.2.13.8. 팔코니안 저격 소총
3.2.13.9. 팔코니안 수류탄 발사기
3.2.13.10. 팔코니안 반중력 로켓런쳐
3.2.13.11. 로켓 런쳐가 아님
3.2.13.12. 플라스마 샷건
3.2.13.13. 안드로이드 샷건
3.2.13.14. 크로스파이어 CR-54 바이퍼
3.2.13.15. 에일리언 플라스마 피스톨
3.2.13.16. 어썰트 라이플 AV-135
3.2.13.18. 에일리언 산성 그레네이드 런처
3.2.13.19. PHANX-92 팔코넷
3.2.13.20. 크로스파이어 CR-34 약탈자
3.2.13.21. OEDA EA-109H 런처
3.2.13.22. 팔코니안 PSI 커터
3.2.13.23. 샷건 NXS-25
3.2.13.24. 재생 피스톨[1]
3.2.13.25. Android Railgun
3.2.13.26. 헤비 저격소총 RQ-10
3.2.13.27. 아키타입 27XX
3.2.13.28. 로켓 런쳐 CS-Barrage
3.2.13.29. CS-가우스 라이플
3.2.13.30. 상어
3.2.13.31. 보이지 않는 총
3.3. 차량용 총
3.3.1. 차량 대포
3.3.2. 차량 미니건
3.3.3. CS-오토캐논
3.3.4. 차량 로켓런쳐
3.3.5. 차량 그레네이드 런쳐
3.4. 등장 캐릭터
3.5. 종족
3.5.1. 플레이어 캐릭터 및 동료
3.5.1.1. 인간형
3.5.1.2. 외계인형
3.5.1.3. 로봇형
3.6. 차량
3.6.1. Drone
3.6.2. Hound Walker-CS
3.6.3. Mobile rO81-CS
3.6.4. Corvette
3.6.5. 라이프 캡슐
3.6.6. 로프
3.6.7. 상자
3.7. 치트 명령어 목록
3.7.1. PB1 명령어
3.7.2. PB2 명령어
4. Plazma Burst 2:Void
5. Star Defenders 3D
5.1. 라이플
5.2. 스파크 건
5.3. 샷건
5.4. 스나이퍼 라이플
5.5. 로켓 런쳐
5.6. 빌드 도구
6. Plazma Burst 2.5
7. Plazma Burst 3
7.1. 기타 사운드 목록


1. 개요


Coolbuddy에서 서비스하는[2] 횡스크롤 슈팅 게임의 형식이며 여러 종류의 총, 칼을 들고 적군을 쏘아죽이는 플래시 게임이다. Eric gurt라는 우크라이나의 프로그래머가 개발했다.

2. Plazma Burst: Forward to the Past



플레이하기
흔히 Plazma Burst 1 이라고 불린다. 영미권에서는 PB:FTP 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3] 더 줄이면 PB1로 통한다.
Easy, Normal, Hard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후속작보다는 전반적으로 훨씬 쉽지만[4], 마지막 판에서만 등장하는 적군한테 한 방에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인공지능의 문제인지,노린건지는 모르겠지만 적군들끼리도 공격할 수 있어서 분명 같은 팀이어야 할 적군들이 아군 오사가 발생한 다음에는 적으로 돌변해서 서로를 공격한다.[5] 많은 적군이 몰려있을수록 오사로 인하여 의외로 쉽게 풀리는 일이 있다.
플라즈마 버스트라는 이름답게 플라즈마 캐논이 제일 강력한 무기다. 일격 일격은 매우 강력하지만 대기시간이 길어서 1vs1에 최적화되어있다. 플라즈마 버스트 2에서는 강화 무기로 레이 건이 있는데, 강력하긴 하지만 플라즈마 캐논처럼 사용하면 재미가 없을 정도로(걸핏하면 한 방에 플레이어를 보내주는 보스전 제외) 센 건 아니고, 마지막 판에서는 오히려 버리게 된다.[6]
일부 총알은 총으로 막을 수 있다. 그렇지만 그 총알의 넉백을 감당해야 한다.[7]
13탄에서 아군을 만나게 되는데, 아군이 죽으면 게임 오버가 되므로 계륵과도 같은 존재다.
13탄부터 팔코크가 등장하는데, 수직으로 상승해서 플레이어를 갈기므로 상대하기 비교적 까다롭다. 죽으면 부양 능력이 폭주하는 것인지 몸이 이리저리 멋대로 날아가기도 한다.
14탄은 그 아군을 조종하게 된다. 무기가 SMG밖에 없으며 업그레이드를 할 수도 없다.
15탄에 피닉스 팔코크가 나오는데 플레이어가 쓰는 플라즈마 캐논을 쓰는 것 같다. 방어력이 지금껏 나온 적들 중 가장 높다. 최강의 방어와 최강의 공격이라서 가장 상대하기 까다롭다. 적이 쓰는 플라즈마 캐논을 잘못 맞으면 한방에 죽기도 한다. 하지만 플레이어가 플라즈마 캐논으로 피닉스 팔 코크를 공격하면 한 방에 안 죽기도 해서 1~2발 더 맞춰야 하는데 상대방도 플라즈마 캐논이라서 장전 도중 죽기도 한다.
16탄에 소드 봇이 나오는데 그 어떤 무기도 통하지 않는다.[공략] 느와르 라임이 그 로봇한테 한 방에 그냥 죽지만 플레이어는 '''두동강나서''' 죽게 된다. 소드 봇을 쓰러뜨린 뒤 기절한 느와르 라임을 팔 코크 선박까지 끌고 가면 게임이 끝난다.
체력을 회복하려면 파란색 적십자 마크가 그려진 아이템에 접촉해야 한다.
멀티지원을 하지 않아서 초보는 10일이면 모든 스테이지를 끝내고 치트키를 사용할수 있다.

2.1. 무기 목록


숫자키와 무기목록이다.
2와 달리 칼은 못쓴다. 아래의 전기 충격기가 강화된 것.

2.1.1. 1 전기충격기

그닥 쓸만한 무기가 못된다. 등짝이 닿을정도로 거의 가까이가서 지져야하기 때문에 그거 쓸바엔 차라리 라이플을 쓰자. 개죽음당한다.
마우스로 스크롤을 했을때 안 떠서 존재감이 낮은 무기이기도 하다.

2.1.2. 2 피스톨

공격력이 제일 약하다. (업그레이드를 안 한 상태에서)
스테이지에 있는 폭발물(드럼통)을 아무리 많이 쏴도 터지긴 커녕 금조차 가지 않는다.
업그레이드를 하면 쌍권총이 되면서 연사속도도 빨라지지만 공격력은 체감상 차이가 없다.

2.1.3. 3 라이플

업그레이드를 안 해도 폭발물을 폭파시키거나 금이 가게 만들 수 있다.
써보면 알겠지만 연사 속도가 미니건급이다. 탄 퍼짐은 개틀링 기관총처럼 부정확하다.
그러니 막 갈기지 말고 점사하면서 쏘자. (심한 반동 때문일듯)
샷건처럼 빠르게 쓸어버리는 무기는 아니지만 적 경직을 많이 일으켜서 적이 정조준을 못하기도 하는데
적이 이걸로 플레이어를 경직시키면 망한다.

2.1.4. 4 샷건


빨간색으로 탄환이 나오고 라이플보다 공격력이 강해서 약한 적을 한 방에 죽일 수 있다.
업그레이드 수치에 따라서 적을 두동강 내는 것도 가능하다.
PB:FTP에서는 적의 HP가 낮아서 가장 빠르게 정리하는 무기로 호평받지만 후속작부터는 집탄도가 떨어져서 운영하기 힘들어진다.

2.1.5. 5 로켓 런쳐

날아가는 것은 로켓이지만 수류탄을 쓰기 때문에 수류탄이 다 떨어지면 더 이상 못 쓴다.
또한 다른 무기와는 다르게 중력의 영향을 받는지 쏜 지점보다 밑으로 떨어지므로 예측할 수 있으면 예측해서 쏘자.
그리고 각도가 좋으면 도탄도 되며, 벽 뒤의 적도 공격 가능하다.
업그레이드가 필요 없다.
단, 어도비 플래시 에디션[L]이라면 수류탄을 소모하지 않는다. 대신 데미지나 연사속도 면에서 매우 약해진다.[8]
또한 플라즈마 캐논과도 발사 사운드를 공유한다.

2.1.6. 6 플라즈마 캐논

공격력이 제일 강하지만 장전시간이 가장 느리다.
탄알 4발이 샷건처럼 날아간다. 탄의 분산도가 상당히 적다.
풀강시 엘리트 그럽을 헤드 샷으로 한방에 보내는 종결무기다.
피닉스 팔 코크가 사용하는데 피닉스 팔 코크도 제대로 노리면 1방이다.
로켓 런쳐와 발사 사운드를 공유한다.

2.1.7. SMG

14탄에 느와르 라임을 조종할 때 쓰는 총이다.
라이플보다 느리지만[9] 데미지가 은근 좋으며 15라운드까지 쓸수있다. 탄환색은 빨간색.

2.2. 스킬 목록



2.2.1. E - use/끌고가기

붉은 패널을 작동시킬수 있다.
또한 시체를 끌고가서 고기방패로 삼는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에 느와르 라임을 끌고가야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어도비 플래시 에디션[L]이라면 죽은 느와르 라임을 총으로 쏘면 게임 오버가 된다.
또한 시체가 디스폰 되는것을 켜놨다면 끄는동안은 디스폰되지 않는다.

2.2.2. Q/Enter/Insert - 수류탄

초반에 3개밖에 못쓰지만 로켓런쳐를 얻은 다음 스테이지에서 자동으로 15개까지 증가한다.
로켓런쳐를 쓰라고 만든 것이기 때문에 되도록 쓰지말자. 단 어도비 플래시 에디션[L]이라면 수류탄은 여전히 3개다.
그대신 데미지가 강력하다.
도탄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적을 비겁하게 공격할수있다.

2.2.3. ~ - 명령어

사실 이 게임도 모두 마치면 치트 명령어 사용이 가능해진다. 자세한 내용은 "치트 명령어 문단" 참조.
단 어도비 플래시 에디션[L]이라면 치트 창은 열리는데 치트가 써지지 않는다.
후속작과 달리 클릭하거나 이동키를 누르면 치트를 쓰는 도중에도 발사나 이동이 이루어지니 P키로 일시정지후 하는것을 추천한다.
마치면 엔터를 눌러서 실행해보자.

2.3. 적 목록


  • 휴먼 쉴더 그린 - 피스톨로 무장한 인간형(이라기보단 그냥 인간) 적. 권총만 든 형태와 녹색 바이저가 달린 헬멧을 쓴 종류가 있다. 둘 다 방어력도 공격력도 새발의 피밖에 되지 않으니 별 신경은 쓰지 않아도 된다. 단, 드라이브탄에 그린 바이저를 썼으나 샷건 쏘는 놈이 있다 초반에 데미지를 많이 주니까 앞을 쏘면서 간 뒤에 드론을 상대하자.
  • 휴먼 쉴더 엘로우 - 라이플로 무장한 인간형 적. 마찬가지로 소총만 든 형태와 노란 바이저를 낀 헬멧을 쓴 타입이 있다.
권총병과 달리 공격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헬멧을 쓰지 않은 적은 1점사(어쩌다 2점사)로 제자리에서 공격을 하지만, 헬멧을 쓴 타입의 경우 총을 난사하면서 돌격하며 공격하고, 방어력도 좀 더 높다. 아머를 좀 업그레이드 하면 별 위협은 되지 않는다.
  • 휴먼 쉴더 레드 - 샷건으로 공격하는 적, 빨간 바이저가 달린 헬멧을 쓰고 있다.
샷건 주제에 연사력이 권총수준으로 빠르고 집탄률도 생각보다 높아 주의해야 할 적이다.
여담으로 이 빨간 바이저의 적은 로켓 런처와 플라즈마 캐논을 들고 쏴대기도 한다.
  • 그럽 - 그냥 로봇이다. 노란색의 구식 로봇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다.[10] 양팔에 있는 포[11]를 쏴서 공격하는데, 이게 생각보다 아프고[12] 맷집도 생각보다 좋아서 꽤 위협적이다. 그렇지만 라이플로 근접해서 좀 지지면 되기 때문에 쉽게 쓰러뜨릴 수 있다.
  • 아머드 그럽 - 그럽의 업그레이드형이며 외관부터 상당히 개선되었다.
그럽이 여기저기서 폐품을 긁어 모아 만든것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다면
아머드 그럽은 알류미늄으로 만들어진 것 같은 (신형이라는 게 느껴지는) 생김새를 하고 있다.
그럽과 마찬가지로 양 손에 달린 포를 쏴서 공격하는데, 이 녀석은 양손에서 동시에 쏘지 않고 한 쪽씩 교차해서 쏘기 때문에
접근하기도 힘들고, DPS도 체감상 더 높다. 그러므로 주의해서 상대하자.
팁으로, 이 녀석들은 인간형 적들을 적으로 인식하고 공격한다. 그러니까 인간형 적과 그럽이 만나서 교전을 벌이면 그대로 놔두자. 보통 인간이 지지만, 그 쯤 되면 아머드 그럽의 체력도 많이 깎여있으므로 쉽게 죽일 수 있다.
  • 아머드 그럽(레이 라이플) 아래의 엘리트 그럽(레이 라이플)과 비슷하지만 체력이 더 낮다.
7스테이지에서 1번만 등장하는데 3개체가 각자의 위치에서 난사한다! 사실상 하드모드에서는 시작부터 난사해서 경직도 많이 일어나고 운이 안좋으면 죽을수도 있다. 이 3개체 후에는 흩어진 나머지 3개체만 처리하면 되니까 별거없다.
  • 엘리트 그럽(보이지 않는[A] 레이 라이플) - 암 캐논 변형. 양 팔에 보이지 않는 레이 라이플이 장착되어 레이 라이플을 1셸씩 난사해서 공격하는데 10 스테이지에만 출연한다.
아래의 로켓 런쳐 버전보다 약해서 10스테이지의 위엄이 8스테이지 보다 쉬워지는 밸런스를 가지게 만든 주범이다.
  • 엘리트 그럽(보이지 않는[A] 로켓 런처) - 로켓 런처 암 캐논을 장착한 엘리트 그럽.
로켓 런처의 위엄만큼 엄청난 피해량을 자랑하므로 주의해서 상대해야 한다.
8 스테이지에서만 등장한다.
아머드 그럽과 엘리트 그럽의 외형적 차이점이라면 바이저의 색이 붉은색에서 황금색이 되었고
가방이나 다리의 LED가 파란색에서 붉은색이 되었다. 또한 바이져가 거의 가면만큼 커졌다.
  • 팔코크 - 라이플을 난데없이 제트펙을 쓰는데 가끔씩 지들끼리 날아서 낙뎀받고 죽는다.
물론 맵이 막혀있으니 일부들은 안 그렇다.
후속작에서는 제트펙이 제거된것을 확인할수 있다.
  • 팔코크(15 스테이지) - 로켓 런쳐를 사용한다. 서술했듯 제트펙 사운드와 로켓 런쳐 사운드를 공유하니 조심하자.
  • 피닉스 팔코크 - 플라즈마 캐논을 사용하며 체력이 상당하다
상대해 보면 알겠지만 플라즈마 캐논을 레벨 몇으로 올렸는지 모를 정도로 강력하다.[13]
총 3명이 있는데, 공략법을 따르거나 무기 스위칭 버그[14]로 처치해야 한다.
첫번째는 비행하면 뒤로 빠지고 떨어지면 쏘고 하다보면 죽는다. 그래도 어떤 AI는 안내려가고 쏴대는데 다시 시작하자.
두번째는 플라즈마 캐논을 피하면서 샷건과 플라즈마 캐논으로 지진다. 초보라면 조금 어려울수있다.
세번째는 두번째 개체가 서있던 곳에서 오른쪽으로 로켓런쳐 콤보를 먹인다.
그럼 광역 피해로 죽어있을것이다. 단 제트펙 비행시 위쪽으로 올라가야 한다.
  • 소드 봇(또는 로보 오메가) - 설정상 이 게임의 최종 보스다.
모든 무기가 통하지 않으며 팔 코크 선박 보관장소로 들어가는 문을 닫아 끼이게 하여 죽게 만들 수 있다.
사실, 다른 무기가 전혀 안 통하기 때문에 이게 유일한 공략법이라 봐도 별 수 없다.
이 게임의 적들중 유일하게 AI가 아니다. 그래서 뒤쪽으로 계속 유인하면 계단하나를 못올라가서(...) 못온다.
수류탄 점프를 잘 하면 소드 봇을 쓰러뜨리지 않고 탈출할 수 있다.
[image]
자세히 보면 앞쪽 감지거리보다 뒤쪽 감지거리가 비성상적으로 넓다(...)
여담으로 후속작의 PSI 블레이드처럼 죽으면 칼이 사라진다. PSI 블레이드가 소드 봇의 기술을 가져온듯 하다.

[1] medic pistol에 관한 것은 나무위키가 가장 먼저 서술되었다. 그 빠르다는 FANDOM 위키도 나무위키보다 늦은 위키를 제출했다.[2] [3] 이 문서에서는 PB:FTP 또는 전작이라 칭한다.[4] 샷건 한방이면 대부분 적이 죽는다.(피닉스 팔 코크나 소드 봇 제외.) 후속작에서는 3방을 쏴도 4방을 쏴도 죽지않는 스테이지가 존재한다.[5] 대부분 인간과 로봇이 서로 죽인다.[6] 다른 무기를 장착하기 위해서다.[7] 후속작에서는 총알을 막지는 않지만 잘 막으면 탄속이 줄어든다.[공략] 문을 열 때 사용했던 정사각형 패널을 다시 사용해서 로봇이 문 바로 밑에 올 때 문을 닫으면 쓰러뜨릴 수 있다.[L] A B C D 아래 서술할 PB2 런쳐로 PB:FTP 플레이가 가능하다. 자세한건 해당문단 참조.[8] 여담으로 재장전 사운드가 팔 코크 제트펙 사운드와 공유된다. 팔 코크는 쉽게 무찔렀어도 최종도스인 피닉스 팔 코크는 비행여부를 확인하기위해 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9] 에초에 라이플은 연사속도가 밸붕이다.[10] 사실 로봇까지는 아니고 바이저는 마스크며 위에 눈이있다. 안드로이드이거나 팔코크에 개조된 생명체(돌연변이)거나 그냥 사이보그일 수 있다.[11] 양손에 달려 있는 걸 동시에 쏘는데, 그 때문인지 2발로 산탄된다.[12] 아머 업그레이드를 안 하면 Easy에서도 한 방이다![A] A B 엘리트 그럽은 무기가 달라도 외형의 차이가 없다.[13] 낮은 버전에서는 총으로 플라즈마 총알을 막았다가 넉백때문에 벽에 박고 죽는게 아닌 벽'안'에 끼여서 죽기도 한다!!! [14] 무기 스크롤 버튼을 돌리면서 또면 재장전이 되어있는걸 알수있다. 6, 5번 무기를 계속 바꾸면 로켓런쳐와 플라즈마 캐논을 미친속도로 난사할수 있다.


3. Plazma Burst 2




CoolBuddy.com에서 플레이하기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하기
어도비 플래시 지원 종료로 개별형 런처가 개발되었다.다운로드
배경 음악은 안티 그래비티.
전작과 비교해 그래픽에서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또한 점프능력도 좋아졌다.[오류]
Eric gurt가 제작한 Dead Drunk 1.9의 물리법칙을 업그레이드 하여 가저온듯 하다. x키를 누르고 뛰어내린 플레이어의 외형은 영락없는 이 게임이다.
난이도 면에서 Impossible 모드를 추가로 선택할수 있는데, Easy모드에 비하면 체력이 매우 낮은 것이 차이점이다.[15]
체력은 타격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회복된다.
'''싱글 플레이의 경우(map id판 제외) 살아있는 상태에서 팔이나 다리가 절단되면 무엇으로든 한대만 맞으면 재생되는 비자연스러운 경우가 있다! ''' 심지어 map id나 멀티와 달리 다리가 잘려도 걸을수 있다. 허리가 잘리면 god 1로 잠깐 움직일 수 있다! 왜냐면 허리 절단시 즉시 죽기 때문이라 화면이 어두워 지는 동안만 체험할 수 있기 때문 (멀티나 맵ID는 절단되자말자 출혈상태로 이어진다 특히 팔이 절단되면 무기를 들수없고 다리가 절단되면 움직일수 없으며 머리나 몸통이 잘리면 즉사한다) 싱글에서는 치트키 head shot을 쓰면 머리가 절단된체 이동한다. 서술했으나 한대라도 맞으면 머리가 생긴다. 단 죽으면 안된다는 점.
총알은 Hp가 있으나 표시되지 않는다. HP가 높으면 벽관통도 잘 되고 적 뒤의 적까지 겨냥 가능하다.
총으로 탄환을 막거나 벽관통을 실시했거나 적 뒤의 적을 겨냥하면 총알의 HP가 줄어든다.
HP가 낮은 탄환은 적 뒤의 적에게 원래 데미지보다 더 낮은 피해를 준다.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탄환은 다시 빨라진다. 유탄에 총알이 닿아도 HP가 다는데 이를 통해 유탄 발사기의 속도를 무진장 빠르게 하면 총알을 막는 방패가 된다(...)
플래시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제법 높은 난이도와[16] 연출[17]을 자랑하며, '''멀티플레이어를 지원한다.''' 3개의 채널이 있으며 채널당 2800명 수용 가능하며 보통 3개 채널에 3~500명 정도가 접속한다. 다만 사람들이 USA-1채널에 몰린 탓인지 2채널, 3채널에는 시골이라 해도 될 만큼 썰렁한 분위기가 나온다.
DM(데스 매치) COOP(멀티 플레이어 협동 또는 협동 팀 매치) TM(팀 매치) 를 설정할수 있다.
데스 매치는 플레이어의 스킨에 따라 바꿀수 있고, 팀 매치는 팀 스킨이 적용되며, 멀티 플레이어 협동은 맵 제작자에 따라 바뀌거나 플레이어의 스킨에 따라 바꿀수 있다. 단, 협동 팀 매치는 팀 스킨이 적용된다.
상당한 수준의 맵 에디터도 만져 볼 수 있으며, 서버에 저장해 다른 사람이 플레이할 수 있다.[18]
40라운드에는 Ray Gun을 버리고 드론 건 CS-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다. 애매한 위치에 있는 적군을 손쉽게 죽일 수 있으나 이건 Easy모드 한정이고 Normal부터는 드론들을 적군들이 칼로 순살해서 잘만 맞추면 일격에 죽일 수도 있는 레이건이 훨씬 낫다.[19]
난이도는 Easy, Normal, Hard, Impossible, 이렇게 4단계로 나뉘는데 그 차이를 설명하겠다. Easy는 아주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 한 자신으로부터 뒤 돌아 서 있는 적을 아주 쉽게 죽일 수 있고, 일정 거리 도망치면 추적하지도 않는다. Normal은 어느 정도 적의 근처에 접근하면 적이 알아서 감지해서 반격한다. 다른 곳에서 지원병력도 종종 오기때문에 아차하면 포위될수 있다. Hard는 봇이 벽뒤에 있는 적도 탐지해내고 체력또한 늘어난다. Impossible에서는 아예 처음부터 플레이어를 향해 총알을 난사한다. 운이 나쁘면 z 키를 눌러서 슬로우 상태가 됐어도 면단위로 비처럼 쏟아지는 탄환에 맞고 맥도 못 쓰고 죽을 수도 있다. 심지어 그 탄환의 난사를 죽기 전까지 전혀 멈추지 않으므로 말 그대로 쏟아지는 탄환 속을 뚫고 적에게 반격만 해야 한다. 어려운 난이도한다고 보상을 추가로 주고 그런거 없기때문에 처음에 Easy로 클리어하고 점점 난이도를 높여가면서 달라지는 어려움을 느끼는걸 추천한다. 스테이지 클리어 보상은 최초 클리어 한번에만 주기때문에 반복노가다가 아예 안 된다.
여담으로 적과 교전시 신나는 브금이 재생되는데 끝부분에 '아무도 날 막을순 없어' 라는 대사가 나온다.
무기의 연사속도가 전체적으로 줄었고 집탄률도 떨어졌다.

3.1. 스킬 목록


글자키와 스킬 목록이다. 스킬은 무슨 무기를 들고 있던 사용 가능하다. Z, C, Enter(치트)키는 멀티에서 쓸 수 없다. 단, bot 명령이나 -kill 명령은 허용된다.

3.1.1. Z - 슬로우 모션/보호막 수류탄

에너지를 사용해 적과 자신의 이동 속도와 탄환 속도를 줄인다. 작중 설명을 보면 아드레날린 분비를 통해 일어난다는 것 같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적의 탄환을 보고 예측하여 피하거나 자신의 조준을 좀 더 정확히 하여 명중률을 높일 수 있다. 아니면 느린 탄속을 이용하여 칼로 튕겨내거나 말이다.
또한, 슬로우 모션 상태에서는 적 캐릭터보다 조금은 더 빨리 움직이며, 회복도 일반 상태일 때보다 더 빨리 시작된다. 그래서 빠르고 정확한 행동을 할 때 사용하는 데에 좋다.
에너지 소모량은 한 번 활성화 시키면 단 번에 10을 소모하고 그 뒤에 시간에 따라 빠르게 1씩 줄어든다. 대충 0.1초마다 1씩 줄어드는 것으로 보이는데, 반대로 충전 시간은 매우 길다.
멀티에서는 보호막 수류탄으로 변한다.

3.1.2. G/Insert - 수류탄(Grenade)

1탄에서는 Q키였지만 이제 G키로 바뀌었다.
멀티 플레이에서는 애매하나 캠페인 모드(싱글 플레이)에서 은근히 유용하다. 대미지가 아주 막강해서 5번 로켓 런처보다 강한 것 같은데, Impossible 모드에서도 그 대미지는 매우 막강해서 한 방에 CS Lite/Heavy를 죽일 수 있다. 또, 계단식 구획에 밑에 있는 적에게 수류탄을 던질 때와 수류탄의 폭풍을 이용해서 높은 곳으로 점프를 할 때에도 쓸 수 있다. 하지만 점프의 경우에는 5번 무기인 로켓 런처나 7번 무기인 미사일 런처를 쓰는 게 훨씬 낫기 때문에 일부러 돈을 안 쓰고 모으다가 5번 무기를 사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그레네이드는 캠패인 스태이지 곳곳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운만 있다면 얼마든지 조달 가능하다.

3.1.3. Q - 무기 교체

방금 들고있던 무기 2개를 번갈아 바꿀수 있는 스킬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니까 높은데 올라갈때는 칼로, 공격할때는 무기로 바꾸는 것도 가능한 반면
멀티에서는 무기로 싸우다 출혈하면 제세동기로 바꾸는 전략도 있다.

3.1.4. C - 키네틱 모듈/순간이동 수류탄

적을 마우스로 지목 후 C키를 누르면 적이나 물건이 부웅 뜬다. 이때 마우스를 클릭하지 않고 이동만 하면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벽 뒤에 있거나 너무 멀리 있으면 작동되지 않으나 무기를 끌어올 수 있고, 아군의 무기를 뺏을 수도 있다. (멀티플레이에서는 순간이동 수류탄) 또한, 살아 있는 적을 다스베이더 포스 마냥 들어 올릴 수는 없지만, 시체는 가능하다. 하지만 무거워서 그런지 아주 높이 들거나 스태이지 곳곳에 던지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냥 자기 머리보다 조금 높게 들어 올릴 수만 있다. 차량에 깔렸을 때 근처 적을 아래로 내동댕이 치면 자신이 부웅 떠서 탈출할 수 있다
위의 슬로우 모션 사용후 사용시 파워가 증가하여 적을 내동댕이쳐 죽일수 있다.
멀티에서는 순간이동 수류탄으로 변한다.

3.1.5. Enter - 명령어/채팅

게임을 모두 완료하면 치트 명령어 사용이 가능해진다.
멀티에서는 채팅이 된다. 입력할 수 있는 치트의 종류와 효과에 대해서는 밑의 "치트 명령어 문단"을 참조하기 바란다.

3.1.6. V - 무기 버리기

진짜로 무기를 버릴 수 있다. 무기를 버리면 무기 슬롯이 사라지는데 그 상태에서 버린 무기에 다시 접촉하거나 살해한 적의 무기에 접촉하면 그 무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캠페인(싱글 플레이)에서만 얻을 수 있는 특수 무기를 얻기도 한다.

3.1.7. TAB - 플레이어 캐릭터 바꾸기

싱글 플레이를 진행하다보면 PROXY를 만나거나 로봇을 동료로 써먹는 스테이지가 있다. 이때 TAB 키를 누르면 플레이어는 PROXY를 조종하거나 로봇을 조종할 수 있다. 그 대신 방금 전에 플레이어가 사용했던 캐릭터는 AI가 알아서 조종한다.

3.1.8. E - 장치 작동

게임 내에 USE라고 써진 기계 장치를 보게 될 것이다. 거기에 E 키를 누르면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거나 닫혀 있던 문을 열 수 있다. 차량에 탈 수도 있다.

3.1.9. X - 힘빼기

엎드리기라고 나오는데 정확히는 힘을 빼는 것에 가깝다. 진짜로 플레이어 캐릭터가 힘을 쭉 빼고 시체처럼 눕거나 앉아버린다. 이를 이용하여 앉아서 들어갈 수 없는 스태이지의 구석진 곳에 들어가거나 누울 수 있다.[20] 단, X키를 누른 상태에서는 이동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상한 곳에서 쓰면 진짜 시체가 된다. 누워서 사격할 때가 가장 보편적이라 할 수 있겠다. 스테이지 중에 앉아서 들어갈 수 없거나 빠져 나올 수 없는 구간에 갇히면 달리다가 X키를 눌러서 관성의 힘으로 빠져 나올 수 있기도 하다. 점프 후 x를 누르면 가벼워지는데 이때 높게 점프한다. 영미권에서는 셀프 부스트(Self boost)라고 한다.

3.1.10. 벽 점프(Wall Jumping)

요령은 아주 간단하다. 그냥 벽을 향해 달려가다가 일정 구간에서 점프를 하고 좌우 화살표 키를 아무 것도 안 건드리고, 오직 점프 키(위쪽 방향키)만 누르고 있으면 알아서 자동으로 올라간다. 그러나, 벽과 벽 사이 간격이 기준치보다 넓은 경우(예를 들면 스테이지 27 후반) 그냥 위쪽 방향키만 누르고 있어서는 안 되고, 연사력이 좋은 2번 무기나 8번 무기[21]를 이용하여 밑을 향해 총을 난사하면서 해야 벽 점프가 가능하다. 즉, 위쪽 방향키만 누르고 있어도 벽 점프가 가능할 정도의 너비라면 굳이 총을 쓰지 않아도 된다.

3.2. 무기 목록


숫자키와 무기 목록이다. '숫자/숫자'는 그 숫자키에 선택할 수 있는 다른 무기를 칭한다.[22]
간단하게 작중 막강 대미지 무기 TOP 3만 소개하자면 CS-BNG, 레이 건, 로켓 런쳐가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한 발 한 발의 대미지가 막강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장전 속도가 다른 무기에 비해 느리다는 것이다.[23]
이름에 CS가 들어가면 민사 안보(Civil Security)(적군)이 만든 총이라는 뜻이다.
이름에 C-0(숫자)(영문)이 들어가면 크리스탈 9 (Correction Nine)의 기술을 이용한 총이라는 뜻이다.
(숫자) 부분은 불규칙적이고 (영문)은 피스톨: (p), 라이플: (r), 샷건: (s), 미니건: (m) 등 앞글자를 따온 형식이다.
PB:FTP 에서 PB2로 들어온 무기의 대부분이 이 호칭을 받으므로 상당히 큰 세력일 수 있다.
참고로 일부 총탄은 도탄도 가능해서 도탄을 이용한 암살도 할 수 있다. 도탄의 조건은
1. 레이, 일반 탄환 총기만 가능하다.(멀티에서는 레일건도 가능)[특]
2. 스테이지 맵의 바닥이나 표면이 검정 박스가 아니라 금속판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3. 최대한 금속판과 수직에 가까울수록 도탄이 일어나지 않는다. 사실상 45º도 이하일수록 효과가 좋다.[특]
4. 그냥 칼을 휘두르면 적의 총탄을 튕겨낼 수 있다. 멀티에서 보호막 수류탄을 써도 튕길수 있다.
단, 튕기는 것보다 피격되는 탄환이 많으므로 정말 추천하지 않는다.[24]
5. [25]
또, 1번, 2번, 3번 등의 무기가 물의 저항에 영향을 받아서 물속에는 탄환의 이동 속도가 느려진다. 전작에 비해 데미지가 줄어든거 같지만 밸런스 조정을 위해 체력을 높인거라고 한다. 이름 뒤에 줄임말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위의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진짜 줄여놓은 것일수 있다.
반자동 계열과 펌프액션 계열로 나뉜다. 펌프액션 계열은 해당 문서에서 각주로 남긴다.[펌] 대부분 반자동 무기다. 그래서인지 다들 이 차이를 인지하지 못한다. 빠르게 장전하고 원샷을 노려야하는 멀티에서는 큰 단점이다.

3.2.1. ~/0번 무기



3.2.1.1. 칼

'''PSI Blades'''
[image]
<colbgcolor=#50bcdf><colcolor=#FFFFFF> 피해량
70~192.5
발사 속도
기본적으로 초당 4회(때에 따라 다름)
정확도
100%
탄환의 속력
즉시 발동
구매 가격
없음
업그레이드 가격
없음
전작의 전기충격기의 강화버전, 플라즈마 버스트 위키의 정식명칭은 PSI Blades이다. 영락 없는 레이저 블레이드다. 근접용으로 쓸 수도 있고 최종무기인 Drone Gun CS-Virus의 탄환을 터뜨릴 수도 있고 레이, 일반총알을 튕길수도 있다.[26] 또한 칼을 사용할 경우 총을 사용할 때 보다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도약력이 높아지므로 빠르게 이동하거나 조금 높은 장애물 위로 올라갈 때 무기를 칼로 바꾼다.
트리거나 엔진 마크로 칼을 끄면 휘두룰시 주먹이 나간다. 데미지가 없고 연사되지 않는다. 그냥 앞으로 뻗고있는 모습이다.
여담으로 스킨마다 검의 외형과 색이 다르다.

언제인가 패치되어 스킨을 고를수 있고 칼도 생겼다.
사망시 칼이 사라진다. 전작의 소드 봇의 기술을 가져온듯 하다.

3.2.2. 1번 무기


종류마다 탄환 속도와 데미지가 반비례하는 밸런스를 취한 듯하다. 맨 처음 받는 무기는 탄환 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데미지가 약하고, 에일리언 무기는 탄환 속도가 가장 느리지만 가장 강하다.[하지만]

3.2.2.1. 피스톨 C-01p

'''Pistol C-01p'''
[image]
<colbgcolor=gray><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18.2~50.1
원 업그레이드: 20.8~57.2
투 업그레이드: 23.4~64.3
풀 업그레이드: 26~71.5
발사 속도
초당 4.3발
정확도
39%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800$
업그레이드 가격
200$
게임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주어지는 피스톨이다. 총알 색은 흰색이다. 생긴 것은 처음 나온 피스톨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리고 벽을 기준으로 (위에 올라갈 만한 공간이 있는 벽) 대략 55도~65도 정도 비스듬하게 쏘면 총알이 그대로 통과되어 나간다. 이로 인해 숨고 나서 생존 확률을 높여준다. 멀티플레이 시에 레드팀 역을 맡으면 붉은색이 된다.

3.2.2.2. 피스톨 CS-Pro

'''Pistol CS-Pro'''
[image]
<colbgcolor=gray><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15.4~42.3
원 업그레이드: 17.6~48.4
투 업그레이드: 19.8~54.4
풀 업그레이드: 22~60.5
발사 속도
초당 3.3발
정확도
55%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750$
업그레이드 가격
125$
가장 기본적이고 권총같이 생긴 권총이다. 총알 색은 노란색이다.
1단계에서 인간형 적(Civil Security)을 사살하면 얻을 수 있는 권총이다.
권총 계열 무기들 중 가장 탄환의 정확도가 높다.
벽관통이 잘 안된다는게 문제.

3.2.2.3. 에일리언 피스톨

'''Alien Pistol'''
[image]
[image]
<colbgcolor=#c68a12><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9~24.75
원 업그레이드: 12~33
투 업그레이드: 6~16.5
풀 업그레이드: 18~49.5
발사 속도
초당 3.75발
정확도
47%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구매 가격
600$
업그레이드 가격
250$
(위 사진의 경우는 1.17패치 이전의 에일리언 피스톨이며 다음과 같다.) 권총 2개를 손잡이쪽으로 같이 이어놓은 듯한 디자인이다. 일반 총알이며 2발이 겹쳐서 나간다.[27] 노란색 외계인(Usurpation Forces)들이 주로 쓰는 권총이다.
탄환 속도가 가장 느리지만 가장 데미지가 강한 권총이다. 단 삭제되었고 현재는 아래와 같다.[28][29]
(아래사진의 경우는 1.17패치 이후의 에일리언 피스톨이며 다음과 같다.) 권총 1개를 손 2개로 같이 이어놓은 듯한 디자인이다.
총알은 레일이며 노란색 외계인들이 주로 쓰는 권총이다. 레일이지만 가장 데미지가 낮은 권총이다. [30] 구매가격은 둘 다 동일하다.
여담으로 넉백 승수는 높아서 노말 모드부터 접근하기 어려워진다. 거기에 다른적이 강한 무기를 들고 있다면(...)

3.2.3. 2번 무기


라이플 무기들이다. 대체로 속도와 데미지를 반비례 하는 밸런스를 취한 것 같다. 처음 받는 라이플은 데미지는 별로지만 탄환 속도가 가장 빠르고 에일리언 라이플은 탄환 속도가 가장 느리지만 데미지가 가장 강하다.
재미있는 시스템으로 좌우 벽을 번갈아 튕기며 오르는 구간에서 점프키를 사용하지 않고 라이플을 이용해서 오를 수 있다. 특히, 탄환 속도가 빠른 1, 2번 라이플들은 그냥 길게 누르기만 해도 타이밍을 계산하지 않아도 될 만큼 쉽다. 방법은 벽을 향해 점프를 할 때 해당 벽의 방향에 아래로 비스듬하게 조준하며 발사하면 반대 방향으로 자동 점프가 되고, 반대편 벽도 이를 반복하면 된다.

3.2.3.1. Assault Rifle C-01r

'''Assault Rifle C-01r'''
[image]
<colbgcolor=gray><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10~26.94
원 업그레이드: 11~30.8
투 업그레이드: 13~34.64
풀 업그레이드: 14~38.5
발사 속도
초당 10발
정확도
39%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1300$
업그레이드 가격
200$
게임을 시작하면 제일 먼저 주어지는 라이플이다. 어썰트 라이플로 이름이 바뀌었다. 총알 색은 흰색이다.
생긴 것은 처음 나온 풀 업그레이드 라이플에서 조준경이 하나 추가되었다.
시즌 1에 비해서 하향을 먹은 건지 상향을 먹은 건지 알 수가 없는 애매한 총이 되었다.
그래도 다른 어썰트 라이플이나 에일리언 라이플보다 탄환 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 대신 그것들보다 대미지가 가장 낮다.
그래도 풀 업그레이드하면 진짜 무시할수 없는 막강한 화기다.
주인공(마린)이 선택한 주인공 총이다.
멀티플레이에서 레드팀 역을 맡으면 붉은색이 된다.

3.2.3.2. Assault Rifle CS-RC(어썰트 라이플 CS-RC)

'''Assault Rifle CS-RC'''
[image]
<colbgcolor=gray><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12.6~34.65
원 업그레이드: 14.4~39.6
투 업그레이드: 16.2~44.6
풀 업그레이드: 18~49.5
발사 속도
초당 7.5발
정확도
34%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1200$
업그레이드 가격
350$
일명 어썰트 라이플, H&K XM8과 매우 흡사하게 생긴 라이플이다. 총알색은 노란색, (붉은색 피를 흘리는 적들인) 민사 안보(Civil Security) 적이 향시 들고 다니는 라이플이기도 하다. 노말모드 부터는 맞으면 진짜로 피가 순식간에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 소총이다.

탄환 속도와 데미지가 다른 라이플들에 비해 중간이기 때문에 많이 애용하기도 한다.

3.2.3.3. Alien Rifle

'''Alien Rifle'''
[image]
<colbgcolor=#c68a12><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13~35.75
원 업그레이드: 19.49~53.625
투 업그레이드: 26~71.5
풀 업그레이드: 31.2~85.8
발사 속도
초당 2.5발
정확도
60%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1400$
업그레이드 가격
300$
일명 에일리언 라이플, Alien Shotgun과 비슷하게 생긴 생김새다. 노란색 외계인들이 주로 들고 다니는 라이플이다.
발사속도는 라이플 중에 최악으로 딸린다.[31]
그 대신에 데미지가 가장 높다.
구매가격은 라이플 계열 무기들 중에서 가장 높은 1400달러다.

3.2.3.4. Minigun C-02m

'''Minigun C-02m'''
[image]
<colbgcolor=gray><colcolor=#FFFFFF> 피해량
업그레이드 여부에 관계없이 20~55
발사 속도
초당 10발
정확도
30%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구매 불가
업그레이드 가격
업그레이드 불가
상점 구입 불가하다. 전작의 무기, SMG를 강화시킨 무기다.
스테이지 40에서 아군 Noir Lime이 들고 나오는 라이플이다. M16 소총차체에 미니건총신을 붙여놓은 모양새다. 총알색은 붉은색, 상점에서 구입불가이기에 역시 업그레이드는 불가하다. 하지만 1레벨이라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있다.[32]
발사속도가 매우 빠르다. C-01r과 똑같으며 데미지는 더 높고 집탄도도 그럭저럭 쓸만하다.

3.2.4. 3번 무기


샷건 무기들이다. 기본 캐릭터의 무기는 탄환 속도와 데미지가 반비례하는 밸런스를 취한 듯하다. 나중에 등장하는 PROXY라는 여성 캐릭터는 특별한 샷건을 사용한다.

3.2.4.1. Shotgun C-01s

'''Shotgun C-01s'''
[image]
<colbgcolor=gray><colcolor=#FFFFFF>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33~90.75
원 업그레이드: 42.89~117.97
투 업그레이드: 49.49~136.12
풀 업그레이드: 66~181.5
발사 속도
초당 1.7발
정확도
30%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1500$
업그레이드 가격
400$
시리즈 1에 나오는 샷건의 풀 강화 버전의 모습에 중앙 연결 고리를 씌운 모습이다.
총알색은 붉은색, 나가는 탄환 수는 3발이다. 발사시 전작과 달리 앞의 총구가 위 아래로 전개된다.[33]
풀 업그레이드 시에 상대를 두 동강 내기가 가능해진다. (Easy모드 3단계까지 한정) 스테이지 41단계에서 코르벳 상대하기에 은근 좋다. 반동도 별로 없고 발사 속도도 권총급이다. 데미지도 쏠쏠한 편이다.
멀티플레이 시 레드팀 역을 맡는다면 색이 파란색이 된다.[34]

3.2.4.2. Alien Shotgun(에일리언 샷건)

'''Alien Shotgun'''
[image]
<colbgcolor=#D3D4D5>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25~55
원 업그레이드: 37.5~82.5
투 업그레이드: 42.5~93.5
풀 업그레이드: 50~110
발사 속도
초당 3발
정확도
60%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1500$
업그레이드 가격
350$
Alien Rifle의 완벽한 상위호환으로 유사하게 생겼다. 레이 탄환에 나가는 탄환 수는 2발이다. 하지만 C-01s 샷건보다 연사가 빠르다.
풀 업그레이드 시 상대는 9발 이내에 헤드샷 시 머리가 터진다. (Easy모드 한정)
발사속도는 샷건 중 가장 빠르다.
DPS도 그럭저럭하는데 멀티플레이에서 (연사가 빨라서) 쓰기 좋다.

3.2.4.3. Shotgun CS-DAZ

'''Shotgun CS-DAZ'''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37.78~103.9
원 업그레이드: 57.52~158.2
투 업그레이드: 64.72~178
풀 업그레이드 : 72~198
발사 속도
초당 1.7발
정확도
20%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1600$
업그레이드 가격
300$
여성 캐릭터 PROXY 전용 샷건이다.
생긴건 진짜 영락없는 샷건이다. 장전도 똑같다.[펌]
총알 색깔은 노란색, 나가는 수는 4발이다.
피해량은 샷건 중 가장 강하나 연사가 상당히 느린편.
멀티에서는 4발이란 점을 이용해 탄막을 무지하게 만들기도 한다.
풀강화 해도 별 차이가 없으며 그저 그런 총이다.

3.2.5. 4번 무기


주로 레이저 무기들 또는 저격 무기이다. 장전 속도는 매우 느리지만 피해량이 상당해서 잘만 하면 한 방에 적을 죽일 수 있다. 다만, 하드 모드나 노말 모드에서는 적이 한 방에 죽지 않는다면 재장전하는 동안 총알을 미친듯이 난사하니 주의할것.
스나이퍼 라이플과 레일건은 관통형 탄환이기 때문에 적을 맞춘 뒤에 그 뒤에 있는 적에게도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단 벽을 관통한 탄환과 비슷하게 데미지가 약해진다.
PB2 레일건의 원리가 빛 통로를 만들어 그 속도로 총알을 쏘는 원리인데 물에서는 속도가 느려진다.
물에서 발사후 P 버튼으로 중단하면 가느다란 레일건의 총알을 볼수 있다.

3.2.5.1. Lite Railgun v01 CS-HShot

'''Lite Railgun v01 CS-HShot'''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50~137.5
원 업그레이드: 60~165
투 업그레이드: 70~192.5
풀 업그레이드: 80~220
발사 속도
초당 1발
정확도
83%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구매 가격
2500$
업그레이드 가격
850$
일명 라이트 레일건(Lite Railgun), 플라즈마 버스트 저격무기 중 아이덴티티다.[펌]
전기가 나가는 소리와 헤비 레일건의 두 배 가량 되는 빠른 속도로 나간다.
파워는 동렙 로켓 런처와 비슷하다. 장전 속도도 로켓 런처(5번 무기)와 같다.
그리고 이 무기의 역사를 보면 v01인걸로 보아 첫 테스트때 만들어진 총으로 보인다.
정확도 또한 뛰어난데 아래 서술할 헤비 레일건의 2배에 가까울 정도다! (Head shot 《헤드 샷》의 줄임말이 뒤에 붙었다.)

3.2.5.2. Heavy Railgun v04 CS-OneSOneK

'''Heavy Railgun v04 CS-OneSOneK'''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80~220
원 업그레이드: 120~330
투 업그레이드: 160~440
풀 업그레이드: 200~550
발사 속도
초당 0.4발
정확도
47%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구매 가격
2700$
업그레이드 가격
900$
일명 헤비 레일건(Heavy Railgun), 라이트 레일건보다 더 굵고 파괴력이 증가했다.
풀 업그레이드 시 하드 모드고 뭐고 머리 적중 시 바로 머리통이 없어진다대신 그 만큼 장전시간이 좀 오래 걸린다.
그새 라이플이나 샷건으로 견제를 하자. 그만큼 반동도 심해서 점프해서 쏘면 넘어진다.
만약 PROXY가 동료로 같이 나오는 스테이지에서 PROXY가 사망할 시에 라이트 레일건을 버리고 플레이어가 헤비 레일건을 획득할 수 있다.(샷건도 마찬가지)
물론 그 스테이지를 클리어 해야 획득할 수 있다.
PROXY는 이 무기를 상자에서 얻으므로 설정상 PROXY전용 무기는 아닌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무기의 역사를 보면 v04라고 적힌걸 보아 4번째 테스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무기의 진짜 단점은 연사속도나 반동이 아닌 정확도다.
47% 정확도는 라이트 레일건의 83% 정확도보다 '''거의 2배나''' 부정확하다는 뜻이다!
여담으로 임파서블 모드를 켜면 모든 적의 헤비 레일건이 아래의 저격 소총으로 변한다.
이 게임 한정으로 가장 데미지가 좋다.(One shot one kill《원샷원킬》의 줄임말이 뒤에 붙었다.)[35][36]
멀티플레이 에서는 모든 무기가 노 업그레이드 기준으로 설정되므로 아래의 스나이퍼 라이플보다도 데미지가 약해진다(...)

3.2.5.3. Sniper Rifle CS-YippeeKiYay

'''Sniper Rifle CS-YippeeKiYay'''
[image]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피해량
업그레이드 여부에 관계없이 100~275
발사 속도
초당 0.5발
정확도
93%
탄환의 속력
120
구매 가격
구매 불가
업그레이드 가격
업그레이드 불가
SVD와 흡사하게 생긴 저격소총이다.[펌]
상점 구입 불가다. 그러나 스테이지 40에서 Impossible 난이도로 플레이 할 시에 이 총을 들고 있는 적을 죽이면 획득할 수 있다.[37]
참고로 격발 시 적에게 적중시킬 수 있을 방향으로 겨누면 (적에게 총을 겨누면) 평소엔 연두색이던 총 옆면의 LED 3개가
초록색으로 밝게 깜빡인다. 이 기능 덕에 보이지 않는 적을 사살하기 쉬워진다.
멀티에서는 적의 체력이 약해 원샷 원킬을 노릴 수 있으나
싱글 플레이의 후반부는 적의 체력이 1000 정도로 매우 높아 DPS가 매우 딸린다.
저격 LED가 빛날 때 다른 무기로 스위칭하면 그나마 멀리 사격하는 장점으로 그나마 PvE에서도 써먹을수 있다. CS-BNG과 어울린다.
단, 데미지 좋은 저격무기가 싹다 4번무기에 몰려있으니 헤비 레일건으로 저격LED를 사용하는 상상은 하지말자.
아군 PROXY 에게 주면 모든 무기를 스위칭하면서 쓰는 AI 특성상 매우 좋아진다.
뒤의YippeeKiYay는 해당문서 참조.

3.2.6. 5번 무기


유탄 무기들이다 실제로 그레네이드 런처는 5번 무기인데 캠페인에서만 6번 무기다.
friends로 체험 가능하다.

3.2.6.1. Rocket Launcher CS-LitBro

'''Rocket Launcher CS-LitBro'''
[image]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56.18~154.5
원 업그레이드: 64.21~176.6
투 업그레이드: 72.27~198.75
풀 업그레이드: 80.3~220.83
발사 속도
초당 1.4발
정확도
38%
탄환의 속력
25
구매 가격
1800$
업그레이드 가격
650$
일명 로켓 런처, 말 그대로 로켓을 발사하는 '로켓 런처' 맞다.[펌]
전작과 달리 수류탄을 소모하지 않으며 '퉁'하는 발사음과 함께 유탄이 날아간다.
유탄은 전작과 차이점이 생겨 일직선으로 날아가며 어딘가에 맞기 전까지는 터지지 않는다.
풀 강화 시에 몇몇 적을 한 방에 골로 보내버릴 수 있다.
특히, 난이도에 상관 없이 드론이나 Hound Walker처럼 적의 탑승 장비의 급소를 정확히 노리면 극딜을 넣거나 한 방에 파괴시킬 수 있다.
이것은 광역 피해로, 모든 부위에 최대 피해량까지 중첩시킨다. 더 강한 저격총으로 다리를 맞추면 죽지않고 이걸로 맞추면 죽기도 한다.
대신 갈수록 체감상 적의 체력이 많아져 데미지가 모자란 지경까지 간다.
이 무기의 또 다른 진가는 이동에 있다. 레이저 블레이드로도 못 올라가는 곳이 있는데 그곳은 로켓 런처의 착탄 시 발생하는 폭발 폭풍을 이용해서 올라가야 한다.[38] 그래서 아예 처음부터 다른 무기의 업그레이드나 구입을 하지 않고 모으기만 했다가 필요 시에 상점에서 구입하는 전략을 쓰기도 한다. 만약 제때 이 무기를 구입하지 못했다면 수류탄(그레네이드, Grenade)의 폭발 폭풍을 이용해서 올라가야 하는데 정확한 착탄 지점이나 폭발 지점을 정할 수 있는 로켓 런처와 달리 그레네이드는 각도 한 번 잘못 맞춘 걸로 폭발 지점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캠패인(싱글 플레이)에서 수류탄을 이용해서 올라가라는 구간이 있는데 그냥 로켓 런처를 쓰는 게 편하다. 단 그냥 폭발만 사용하면 어렵고 살짝 점프 후 쏴야 강한 효율을 볼수 있다. [39] 비슷한 것으로 7번 CS-BNG를 쓸 수도 있는데 이것은 너무 데미지가 크기 때문에 5번 로켓 런처가 그나마 낫다.
멀티에서는 스나이퍼 라이플과 마찬가지로 적의 체력이 낮아져 매우 좋아진다.

3.2.7. 6번 무기


오직 치유를 위한 무기다.
수류탄 발사기는 원래 5번인데 캠페인에서만 6번이다. 또한 버그를 사용하지 않으면 캠페인에서 사용할수 없다.

3.2.7.1. Defibrillator

'''Defibrillator'''
[image]
<colbgcolor=#ebecf0> 피해량
10
발사 속도
초당 1.2발
정확도
없음
탄환의 속력
없음
구매 가격
500$
업그레이드 가격
업그레이드 불가
생긴 건 그냥 전동드릴, 하지만 단숨에 자신이 메르시가 될 수 있다. 평소에 적들에게 사용하면 미약한 데미지를 주며 적의 체력이 200이하가 되면 출혈 상태로 만든다. [출혈] 별 효과가 없지만 이 무기는 '자신이나 팀이 다 죽어갈 때' 비로소 진정한 진가를 발휘한다. 자신의 팀이 과다 출혈로 죽어갈 때[힐조건] 한 방 쏴주면 출혈이 멈추고 전투가 가능한가 하면, 죽어버린 팀원도 살릴 수 있다.[40] 만약 팀 데스매치일 때 6:6 편성이 된다면 돌격 3명, 저격 1명, 후방지원 1명, 힐러 1명이 가능해진다. 물론, 너나 나나 총 들고 싸운다고 힐러를 생각 안 할 수도 있는 게 대부분이다.
캠패인에서도 자신이 팔다리가 멀쩡한데 과다출혈로 죽어갈 때 이 무기를 사용하면 살아남을 수 있고, 나중에 만나는 동료 캐릭터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무기가 적들에게 은근히 딜이 잘 먹히기 때문에 몇 번 쏘면 적이 출혈 상태가 된다. 하지만 이 무기를 쓰는 것보다 맞는 게 더 많기 때문에 치트키를 이용하지 않는 한 적에겐 쓰지 않는 게 좋다.
Medic Pistol의 하위 호환이다.

3.2.7.2. Grenade Launcher CS-SpamThemBaby

'''Grenade Launcher CS-SpamThemBaby'''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32.72~90
원 업그레이드: 51.39~141.33
투 업그레이드: 77.09~212
풀 업그레이드: 102.78~282.66
발사 속도
초당 2.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상황에 따라 다름
구매 가격
구매 불가
업그레이드 가격
업그레이드 불가
수류탄 발사기인데 얻을 수 없다[* 사실 싱글에서도 얻을 수 있긴 한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못 얻고 치트를 써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이 먼저 모든 캠페인을 다 클리어하여 치트 기능을 해제해야 한다는 것이다.[41] 그리고 스테이지 38에서 god 치트를 사용해 무적으로 만든 다음[42] 플레이어 캐릭터를 Proxy로 변경한 다음 6번 무기를 버린다. 마지막으로 dm 치트를 활성화하면 된다. 그리고 나면 마지막에 등장하는 하운드 워커를 쓰러트리고 나면 풀업 그레네이드 런처를 들고 나오는 외계인이 나오는데 그 외계인을 죽이면 풀업 그레네이드 런처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획득한 그레네이드 런처를 마린에게 주고 싶다면 둘이 같이 등장하는 맵을 하나 골라 마린에게 넘겨주면 된다.[43] 상점에서는 당연히 안 판다. 적이 들고 있는데 연사 속도도 빠르고 데미지도 높아서 강력하다. 게다가 곡사 화기이기 때문에 사각에 숨은 적을 괴롭히기 딱 좋다. 연사가 빨라서 벽 점프를 라이플로만 할수있는 곳에서 이 총을 쓸 수도 있다
3레벨이 되면 수류탄은 2정이 된다.
멀티에서는 무조건 1발이며 연사속도가 하향먹는다.

3.2.8. 7번 무기



3.2.9. CS-BNG


'''CS-BNG'''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85.67~235.6
원 업그레이드: 97.92~269.3
투 업그레이드: 110.18~303
풀 업그레이드: 122.4~336.6
발사 속도
초당 0.5발
정확도
64%
탄환의 속력
30
구매 가격
4000$
업그레이드 가격
1100$
BFG9000이 모티브로 보이는 무시무시한 파워를 자랑하는 총이다. 탄환은 초록색의 타원형 구체가 날아가는데 발사 시에 게임 화면이 좀 흔들린다.(특히 Z키로 슬로우 상태일 때) 근데 흔들리는 이유가 있다. 바로 총알이 지나갈 때 적이 피격 판정을 받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이 총의 원리가 강한 압력을 압축하여 발사하는 형태로 그 총알 주위에는 강한 중력장이나 강력한 폭발 폭풍으로 인해 강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Z키(타임 슬로우)를 누른 다음에 맞춘 후 CS-BNG콤보를 먹여 주면 데미지가 더 들어가며 이 무기로 적을 맞추고 살아 있으면 Z키 슬로우를 사용하여 4번 레일건이나 5번 로켓 런처, 기타 다른 무기의 정확도를 높여 추가 데미지를 입히는 방법도 있다.
싱글 플레이에서 이 무기의 탄환을 미사일(Missile)이라고 한다. 그러나 맵 에디터에서 '총A의 총알을 에너지로 변경' 트리거를 키면 이 총알이 나가므로 미사일이 아닌 에너지가 유력하다.
비싼 만큼 몸값을 하는 무기다.
또한 게임의 유일한 7번 무기다.

3.2.9.1. Portable Shield v07 CS-Quarium

[image]
캠페인 모드에서는 37~38 Impossible난이도에서 등장하는데 수류탄 발사기 얻는 방법처럼 얻어도
한번 사용하면 바닥에 떨어트리는데 다시 주울려하면 주울수가없어서 사실상 1회용 무기...[44]
멀티에서 Z키를 눌러서 수류탄을 던질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수류탄 주위에 원 모양의 보호막이 생성된다.
보호막 안에 있으면 바깥에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있지만 바깥에 있으면 안에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없다.
보호막은 총알을 튕겨내며 레일건 조차도 튕겨낸다. 단, 적이 안에 들어오는 건 못 막는다. 멀티에서는 수류탄 바에 뜬다.
일정 이상 데미지를 입으면 파괴된다.
다른 무기를 다 버리고 이 무기를 사용하면 다시 칼을 생성할 수 없다...
또한 7번 무기인 CS-BNG를 버리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

3.2.10. 8번 무기


개조 무기들이다.
여기서 개조 무기는 무기를 개조해서 만드는 무기가 아니다. 예를 들면 라이플처럼 연사가 빠르고 샷건처럼 강력한 무기다.

3.2.10.1. Plasmagun CS-Bloom

'''Plasmagun CS-Bloom'''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11.2~30.8
원 업그레이드: 18.2~60.6
투 업그레이드: 22.4~74.6
풀 업그레이드: 60.7~101.49
발사 속도
초당 6발
정확도
23%
탄환의 속력
30
구매 가격
2000$
업그레이드 가격
650$
에너지와 라이플을 합친 개조무기다 생긴 게 은근 포탈건 비슷하다는 사람들도 있다. CS-BNG와 형제라고 한다. 총알은 흰색의 구체다. 이 총의 이름에서 추측해보면 탄환을 플라즈마 덩어리 탄을 쏘는 것으로 예상되며 라이플이나 권총, 샷건 등 가느다랗고 기다란 투사체들과 달리 칼로 튕겨낼 수 없다. '둥둥둥'하는 묘한 발사소리가 포인트다. 풀 강화 시에 매우 쓸만해진다.
연사 속도는 라이플급에 데미지도 준수하다. 다만, 이 총은 적이나 벽에 붙어서 쏘면 자신도 데미지를 입는다. 처음 몇 발은 바로 즉사할 정도는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근거리에서 쓰지 말자.
이 무기를 얻을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이 무기가 처음 등장하는 스테이지(레벨 7)에 이 무기가 떡하니 있지만, 이 무기를 획득 시 플레이어를 압살해버리는 함정이다. 정확히 말하면 이 총이 놓여져 있는 곳 주변에 압살 함정을 작동시키는 트리거가 존재한다. 이 말인 즉슨, 일부러 이 총을 주우려고 다다가지 않고 멀리서 C키를 사용하여 획득하면 함정은 작동하지 않는다. 처음 이 스테이지를 플레이하는 사람이라면 이 함정에 걸려들 수 있지만 함정이 작동되는 즉시 Z키를 누르고 무기를 칼로 바꾼 뒤 재빨리 달아나면 탈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총을 얻으려면 키네틱 모듈 기능(C키)를 써서 안전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장 좋다.

3.2.11. 9번 무기


다용도로 쓸 수 있는 무기들이다.

3.2.11.1. Ray Gun C-01y

'''Ray Gun C-01y'''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54~148.5
원 업그레이드 : 90~247.5
투 업그레이드: 126~346.5
풀 업그레이드: 168~462
발사 속도
초당 0.6발
정확도
38%
탄환의 속력
60
구매 가격
2500$
업그레이드 가격
2500$
일명 레이 건, 전작의 플라즈마 캐논을 강화시킨 총이다.
총알은 레이며 풀 업그레이드 시 4발씩 나간다.
풀 업그레이드 시 적을 두 동강 내는 게 기본이다. 노말모드에서도 두 동강 난다.
진짜 대충 간단히 설명하자면 3번 무기 산탄을 무지막지하게 강화시켰다고 생각하면 된다.
굳이 돈을 써서 업그레이드 하지 않아도 스테이지 40에서 적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적을 죽이면 업그레이드 3의 레이건을 획득할 수 있다.
최강답게 구매 가격+업그레이드 가격이 무기들 중에서 가장 높다.
그만큼 연사속도도 매우 느리다. 3번 무기의 3배 정도, 데미지 배율은 4배다.[45]
레이답게 얇은 금속판을 관통하기 때문에 암살도 가능하다. 이말은, 당연히 도탄도 가능하다는 뜻.
멀티 플레이에서는 4발이 2발로 하향된다.
멀티 플레이에서는 다른 면에서도 자주 하향먹는데, 그 탓인지 현재 멀티 플레이만큼은 도저히 써먹을수 없는 쓰레기다.

3.2.11.2. Drone Gun CS-Virus

'''Drone Gun CS-Virus'''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노 업그레이드: 20~55
원 업그레이드: 40~110
투 업그레이드: 60~165
풀 업그레이드: 80~220
발사 속도
초당 0.4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알려지지 않음
구매 가격
구매 불가
업그레이드 가격
업그레이드 불가
상점 구매불가다. 스테이지 40에서 얻을 수 있다. 발사 시에 3개짜리 드론이 나가는데 이 드론이 매우 위협적이다. 톱니바퀴 같은 게 달렸는데 땅에 닿자마자 자동으로 적을 추적해 타겟을 갉아버린다.[46] 단점은 칼질 몇 방이면 사라지고 이 소형 드론들은 영구적으로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제한 시간, 수명이 있다. 노말모드 이상부터는 적들이 다 썰어버리며 하드 모드부터는 1단계 잡몹들이 이걸 칼질로 다 없앤다. 그래도 쓸만한 게 레이저 블레이드로 무기를 바꿀 때 해비 레일건으로 바꿔 공격하면 아무것도 못한다.
그러나 이 무기의 진정한 가치는 스테이지 41에서 드러난다.
초반에 거대한 드론(Corvette) 세 대가 출현하는데 CS-BNG나 로켓 런쳐 등은 급소(아마 조종석)를 노려야 한 방에 죽일 수 있지만[47], 이 무기에 맞으면 순식간에 터져버린다! 이 무기의 매커니즘이 본체가 아닌 안에 타고 있는 조종사를 죽이기 때문이며 조종사는 블레이드를 쓸 수 없기 때문에 이 무기의 드론을 없앨 수 없다.
본 사이트의 사진에는 이 총의 전면이 공개되었는데 트리플 배럴에 드론을 생성하는 안의 탄창(중간 위의 녹색부분)은 감염된 드론의 보관함이다.
Corvette말고도 일반 드론이나 탈것에 이 무기를 사용하면 사용자와 함께 탈것이나 드론이 폭발한다. 애초에 드론도 칼을 쓸 수 없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모바일-R 이나 하운드 워커를 죽이지않고 조종사만 죽여서 약탈도 가능하다.

3.2.12. 기타


  • 맵에 존재하는 폭발물(Barrel)
캠패인(싱글 플레이)을 하다 보면 캡슐 형태에 황토(또는 노랑 또는 아이보리), 파랑, 빨강의 큼지막한 캡슐을 보게 될 것이다. 그것들은 사실 폭발물이며 색깔에 따라 위력이 다르다. 황토색이 가장 약하고 빨강이 가장 폭발력이 강하다. 이 폭발물은 적에게도 통하지만 자기 자신이나 아군에게도 폭발 대미지가 들어가므로 주의하길 바란다.
이러한 폭발물을 사용하는 방법은 C키를 이용하여 적에게 던지거나 처음부터 적이 나올 곳을 (경험을 통해) 예측하고 미리 폭발물들을 옮겨놨다가 적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총기나 그레네이드로 폭발시키는 방법이 있다. 특히 계단형식의 구역에서 이 폭발물이 깨지지 않을 정도로 굴리고 그레네이로 폭발시키면 적을 한 방에 사지분해, 능지처참 시킬 수 있다.
이 폭발물은 낙사 및 충돌로 대미지를 입을 수 있으며 약한 대미지를 입으면 금이 가고, 금이 간 상태에서 대미지를 더 가하거나 멀쩡한 폭발물에 처음부터 강한 충격을 주면 폭발한다. 총으로 피격시켰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일어나는데 플라즈마건(8번 무기)처럼 투사체가 크고 두꺼운 총기나 런처형 무기처럼 피격 시 폭발하는 무기들은 한 방에 폭발 시킬 수 있다. 하지만 피스톨(1번) 계열 무기나 라이플(2번) 계열 무기처럼 가느다란 피사체로 '한' 발만 폭발물을 맞추면 금이 가게 할 수 있다.
폭발이 끝나면 뚜껑인지 바닥부인지 뚜껑인지 모를 회색 껍데기만 남는데 이것을 C키를 통해 던질 수 있다. 그때 껍데기가 플레이어의 캐릭터에 충돌하게 되면 플레이어가 대미지를 입는다. 연속으로 휘두르다가 연속으로 대미지를 입고 사망할 수 있으므로 시험해 보다가 남탓하지 말기를 바란다. 물론, 이 껍데기 대미지도 적에게 통한다. 하지만 애초에 C키를 통해 물건을 던지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우므로 그냥 폭발 대미지로 적을 공격하거나 늘 하던 대로 탄환 낭비로 적을 향해 난사하는 것이 쉽다..
여담으로 폭발물을 눕힌 상태에서 그 위에 올라탄 뒤 폭발물에 키네틱 모듈을 쓰면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비행할 수 있다. 이를 배럴 플라잉(Barrel Flying)이라 하는데 상당히 고난이도의 기술이라 제대로 익히려면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 그레네이드(Grenade)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으나 스태이지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다 보면 공짜로 얻을 수 있다. 주로 계단 형식으로 밑에 있는 적을 폭사시키거나 안전한 위치에서 다수, 혹은 소수의 적을 폭사시키고 싶을 때 사용한다.
또 다른 사용법으로 그레네이드의 폭발 폭풍을 이용해 점프 높이를 조금 더 높여서 일반 점프로 안 닿는 높이에 도달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이 매우 어렵다. 캐릭터가 그레네이드를 포물선으로 던지기 때문에 각도를 잘 맞추는 것은 물론, 던졌다고 바로 원하는 시간에 폭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타이밍도 잘 맞춰야 한다. 게다가 그레네이드는 한 스태이지당 6개 밖에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스테이지 중에 로켓 런처가 없어서 그레네이드로 점프력을 높여야 할 때 몇 번이고 리플레이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48] 그러므로 그냥 초반에 돈을 자린고비마냥 아꼈다가 로켓 런처를 살 수 있을 때 사고 점프는 로켓 런처로 하는 것이 가장 쉽다.
  • 산(Acid)
또한 게임을 해보면 알겠지만 물(Water)은 파랑 액체, 산(Acid)은 녹색으로 구분 짓는다.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면 물인지 산인지 나오며 산의 경우 1초당 몇의 대미지를 주는지 표시가 되는데 어떤 스태이지에서 산은 아예 죽으라고 만든 것인지 들어가자마자 극딜을 넣는 산도 있다. 하지만 지속 대미지로 조금씩만 대미지를 주는 산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적절히 알아서 피해 다니거나 하면 된다. 어떤 스태이지에서는 아예 처음부터 적은 대미지를 주는 산을 헤엄쳐서 통과하는 스태이지가 있다. 다행히 제작자가 미쳤다고 극딜을 넣는 산이 아니므로 그냥 헤엄만 쳐도 안전하게 산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 참고로 적이 자신에게 접근하려 하는 AI 시스템을 이용하여 산에 빠뜨리면 총이나 칼을 사용하지 않고도 적을 죽일 수 있다.
  • 물(Water)
사실 무기로써 기능하지도 않고 산처럼 함정으로써의 기능도 없다. 아무리 캐릭터를 물속에 오래 집어 넣어도 슈트의 특수 기능 때문이란 설정이라도 있는지 익사하지도 않는다. 대신에 실제의 물처럼 저항을 갖고 있어서 물속에선 플레이어의 이동속도는 물론이고, 투사체의 속도가 눈에 띄게 줄어든다. 하지만 총을 쏠 때의 반동이나 폭발 폭풍을 이용하면 헤엄을 칠 때 조금 더 빨리 이동할 수도 있고, 방향키(WASD키)를 누르지 않더라도 이동할 수도 있다.
물속에서는 탄환의 속도가 느려진다는 점을 이용해서 슬로우(Z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적의 총알 난사를 피하고 싶을 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4번 레일건 계열 무기들은 속도가 속도인지라 그냥 슬로우 걸고 도망치는 걸 추천한다. 재밌는 건 물속에서 슬로우 상태로 있을 때 4번 헤비 레일건의 투사체를 자세히 보면 탄환으로 보이는 빛 덩어리가 아주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단 플라즈마건 블룸이나 CS-BNG의 투사체는 멀쩡하다.
  • 살인 레이져(Killing Ray)
붉은색의 길고 가느다란 선이 약하게 점멸하는 모양이며 일종의 함정이다.
이 레이저에 닿으면 대부분 즉사하는 스테이지도 있지만, 약한 데미지를 주고 밀어내는 스테이지도 있다. 물론 적도 마찬가지.
이 특징을 이용하여 적이 레이저를 통과하게끔 유도해서 죽이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맵 에디터에서 푸싱 영역이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만들수 있다. 장식 아이템 중 살인 레이져는 피해를 주지 않는다.
푸싱 영역을 슬라이스 데미지로 설정하면 죽었을때 플레이어가 두 동강 나지만 기본 피해는 그냥 죽는다.
안정적 손상은 이동을 방해한다. 안정적 손상만 높게 설정하면,
위 또는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미는 승수를 낮게 설정해도 플레이어의 힘이 약해져 잘 밀어진다.
슬라이스 피해로 설정하면 피가 좀 많이 튄다. 기본 피해는 그냥 피해만 입는다.
초당 피해는 설정한 값의 3배다. 이는 물 도구에도 적용되며, 피해가 적용되면 즉시 산이 된다.
산과 다른점은 마우스를 대도 피해를 공개하지 않아서 들어가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곤란해지기도 한다.
피해가 없고 밀어내기만 하기도 한다.

3.2.13. 멀티플레이 무기


싱글 플레이에서 얻을 수 없고 정확히는 캠페인에서 얻을 수 없는 무기들이다. 싱글플레이 Map ID에서는 맵 제작자에 따라 숫자키도 달라서 숫자키를 자세히 표시하기 어려운 총들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설정된 숫자키는 서술해 놓았다. (6번 수류탄 발사기는 원래 5번무기입니다.)
전용무기가 따로 대비되지 않은 종족의 무기를 위해 팬아트도 많이 나왔고,
그것을 토대로 출시한 PB:FTP의 팔코크를 위해 탄생한 무기인 팔코니안 무기들도 속보인다.
Map ID로 체험할 수도 있다. 이 문서에는 어려운 표현이 많으니 외워서 가자.
  • 소유 인물 관련 용어
    • CS(Civil Security): 일명 민사 보안, 처음 스테이지에 갈색(라이트, 헤비), 붉은{민사 보안 보스(Civil Security Boss)}, 심지어는 42 스테이지의 민사 보안 고스트까지를 위한 총
    • Android: 말 그대로 안드로이드를 위한 총
    • Falkonian: 팔 코크를 위한 총
    • Alien: 처음 스테이지에서 보이는 노랑 슈트를 입은 인물[49]《유저페이션 포시스》를 위한 총
    • 크로스파이어: 크로스 파이어 종족을 위한 총
    • C-0(숫자)(영문): 수정 9에서 제조한 총.
  • 탄환 관련 용어
    • 레일: 레이저 탄환, 물속에서 느려진다. 벽 관통이 아에 안 된다.
    • 플라스마: 하얀 둥근 탄환으로 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벽에 닿으면 약간의 광역범위를 생성, 아군도 피격될수 있다. 벽관통은 안된다.
    • 에너지: 초록 둥근 탄환으로 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벽에 닿으면 큰 광역범위를 생성, 아군도 피격될 수 있다. 역시 벽관통은 안 된다. 플라스마에 바이러스 효과가 부여된 총알이다.
    • 레이: 레이건의 발사체, 벽관통이 매우 잘 된다.일반 탄환보다 굵으며 무조건 하얀색
    • 일반 탄환: 일직선에 가까운 타원이다. 레이 탄환과 닮았지만 더 가늘다. 길이와 속도와 색이 제각각 벽관통이 잘 된다.
    • 유탄(로켓): 폭발하는 탄환, 맞은 대상은 쓰러진 후에 1초 경직되고 다시 일어난다. 벽관통은 안 된다.
    • 바이러스: 접촉 또는 근처에만 가도 데미지를 입히는 총알로 초록색이다. 에너지 무기인 CS-BNG마저도 바이러스다.
    • 독: 총알에 맞으면 중독상태가 된다. 다양한 총알에 효과가 부여되어 있다.
    • 힐: 아군에게는 치유를, 적군에게는 데미지를 주는 무기다. 대부분은 죽은 아군을 살리고 출혈을 중단시키는 정도로만 쓰인다. DPS가 매우 낮은 편이고 종류도 적다. 적의 HP가 200 이하일 시 출혈시킨다.
    • 수류탄: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튕기기도 한다.

3.2.13.1. 글록

'''Glock'''
[image]
<colbgcolor=#5b5b5b><colcolor=white> 피해량
30~82.5
발사 속도
초당 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무기 슬롯
1
탄환이 보이지 않으나 즉발형까지는 아니다.
권총주제에 점사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탄속이 매우 빠르며 데미지도 매우 강하다.
그래서 승인된 지도에서는 사용할수 없다.

3.2.13.2. 팔코니안 피스톨

'''Falkonian Pistol'''
[image]
<colbgcolor=#8b0000><colcolor=white> 피해량
38~104.5
발사 속도
초당 2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1
데미지 파워가 권총 치고는 매우 강하나 연사속도가 다른 권총에 비해 조금 딸린다.
굳이 어느정도인지 보자면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1방으로 적을 사살하는 권총 정도라 보면 된다.
둘 다 스나이퍼 라이플을 쏴서 재장전 시간이 모자랄 때 일어나는 권총전에서는 좋을 듯 하다.

3.2.13.3. M4A1

'''M4A1'''
[image]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피해량
24~66
발사 속도
초당 1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무기 슬롯
2
이 무기를 X키를 누른 상태에서 지면에다 대고 발사하면 상당한 수준의 도약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글록과 마찬가지로 총알이 보이지 않으며, 승인된 지도에서 사용할수 없다.

3.2.13.4. Combat Rifle CS-OICW

'''Combat Rifle CS-OICW'''
[image]
<colbgcolor=#303030><colcolor=white> 피해량
23~63.25
발사 속도
초당 3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2
강한 파워를 가진 라이플이다.
샷건 c-01s를 점사시킨 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3.2.13.5. 레이 라이플

'''Ray Rifle TCoRR'''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18~49.5
발사 속도
초당 10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2
전작의 아머드 그럽, 엘리트 그럽이 팔 대포로 쓰던 무기다.
미니건과 동일하게 라이플 시리즈 중 데미지가 가장 좋다.

3.2.13.6. 팔코니안 샷건

'''Falkonian Shotgun'''
[image]
<colbgcolor=#8b0000><colcolor=white> 피해량
16~44
발사 속도
초당 6발
정확도
60%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3
파란 일반 탄환 2개가 3점사로 발사되어 6탄환을 쏜다.[50]
적에게 안정적 손상을 많이 일으킨다.
단순히 설명하자면 에일리언 샷건을 몰아서 쐈다고 보면 된다.

3.2.13.7. Alien Sniper Rifle

'''Alien Sniper Rifle'''
[image]
<colbgcolor=#c68a12><colcolor=white> 피해량
120~330
발사 속도
초당 0.5발
정확도
93%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무기 슬롯
4
레일 탄환이 발사되는 스나이퍼 라이플인데 모든 면에서 상위호환이다.[51]
적이 있는 쪽으로 조준하면 3개의 하얀 LED가 깜빡인다.
심지어 캠페인의 저격소총과 달리 펌프 액션마저 아니라 스위칭 해도 장전된다.
정확도마저 높아서 실질적으로 너프가 시급하다.

3.2.13.8. 팔코니안 저격 소총

'''Falkonian Marksman Rifle'''
[image]
<colbgcolor=#8b0000><colcolor=white> 피해량
58~159.5
발사 속도
초당 1.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4
저격 LED는 없으나 사격소총답게 탄환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 데미지도 일반 사격소총의 1.5배 정도 더 높다.

3.2.13.9. 팔코니안 수류탄 발사기

'''Falkonian Grenade Launcher'''
[image]
<colbgcolor=#8b0000><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154.18~424
발사 속도
초당 0.9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때에 따라 다름
무기 슬롯
5
기본 수류탄 발사기보다 약하나 3발이나 발사된다. 땅이나 벽에 닿으면 무려 약 1분동안이나 박혀있다! 그래서 지뢰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첩시켜 설치한 후 키네틱 모듈로 적을 지뢰밭에 박으면 대부분 넉백 때문에 다 맞지 않는다.
그대신 반동으로 인한 데미지가 매우 크므로 지뢰보다 넉백으로 인한 낙사를 기대해 보는것도 좋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 캐릭터와 비슷한데 더 오래 박아놓는 정도.

3.2.13.10. 팔코니안 반중력 로켓런쳐

'''Falkonian Anti-Gravity Rocket Launcher'''
[image]
<colbgcolor=#8b0000><colcolor=white> 피해량
붉은색 버전 : 41.563~114.3
노란색 버전 : 51.381~141.3
발사 속도
초당 1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25
무기 슬롯
5
데미지가 다른 로켓런처에 비해 약하고 연사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이무기는 진정한 가치는 유도탄이라는 점으로 탄환이 적을 추적해 180도 회전 비행이 가능하다. [52]
노란색 버젼도 있다. 피닉스 팔코크의 무기로 추정되며, 데미지도 더 세다.
PVP 에서 2발 정도만 맞아도 상대가 죽어서 어느정도 우겨쓸수 있겠다.
유도비행 중 적이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고민이라도 하듯 탄속이 느려지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허공에서 폭발한다.
여담으로 제작자가 작정하고 떡밥을 뿌려놨다. 무기 이름인 중력, 영문으로 Anti-Gravity. 이것은 PB2의 배경음악 제목이다.

3.2.13.11. 로켓 런쳐가 아님

'''Not A Rocket Launcher'''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50~137.5
발사 속도
초당 1.4발
정확도
100%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5
이름이 이상한데 맞는 말이다. 외형상으로는 로켓런쳐의 탄환이 나가지만 터지지 않는다.
데미지도 더 약한데 데미지가 거의 에일리언 피스톨인지 아닌지 싶을 심각하게 낮은 데미지를 가졌다.
트리거로 벽관통거리를 최대로 끌어올리면 벽관통이 된다. 로켓런쳐는 아무리 벽관통거리를 끌어올려도 벽에 닿으면 그냥 터진다.
맵 제작터에서 로켓런쳐 코드를 바꾸면 만들어지는 이스터에그로 '''정확도가 100&다!'''[53]
외형만 로켓이다보니 도탄도 된다(...)

3.2.13.12. 플라스마 샷건

'''Plasma Shotgun'''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94.9~261
발사 속도
초당 1.11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30
무기 슬롯
3
캠페인의 8번 무기와 비슷하게 직사각형이다. 3발이 발사되며 탄환은 플라스마다.[54]
샷건 3대장의 중거리 폭발을 맡고있다. [종류]
여담으로 플라즈마(Plazma)가 아니라 플라스마(Plasma)다. 단순히 외래어 표기법이 아닌 다른 물질이다.

3.2.13.13. 안드로이드 샷건

'''Android Shotgun'''
[image]
<colbgcolor=#D3D4D5> 피해량
72~198
발사 속도
초당 1.4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3
붉은 바늘같은 탄환 3개를 쏜다.
플라스마 샷건과 유사한 형식으로 안드로이드를 위한 총이나 캠페인에는 없다.
위의 플라스마 샷건과 동일하게 3번 무기 중 데미지가 가장 세다.
샷건 3대장의 눈속임을 담당하는 무기.[종류]

3.2.13.14. 크로스파이어 CR-54 바이퍼

'''Crossfire CR-54 Viper'''
[image]
<colbgcolor=#646464><colcolor=white> 피해량
기본 14~38.5
독 효과 적용시 52.5~77
발사 속도
초당 1.88발
정확도
100%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4
플라즈마 버스트 최초의 독총이다. 맞으면 약 출혈 3배 속도로 체력이 깎인다.
시간이 지나면 풀리며 연사속도가 빠르다.
사진처럼 2개의 사본이 있다. 외형만 공유하고 데미지는 같다.
수집전에서 많이 죽인 적을 쏘고 그 적에게 죽은 후 그 적이 죽어서 더 많이 수집하는 전략적 플레이가 가능하다.

3.2.13.15. 에일리언 플라스마 피스톨

'''Alien Plasma Pistol'''
[image]
<colbgcolor=#D3D4D5> 피해량
회색 버전 : 23.72~65.25
노랑 버전 : 12~33
발사 속도
초당 7.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30
무기 슬롯
1
노란 버전도 있다. 플라스마 탄환을 쏜다.
탄환의 크기가 Plasma cs-블룸과 비교해도 현저히 작다.
그래도 효과는 민사 보안측의 권총에 광역딜이 추가된 무기여서 PvP 보다는 PvE의 물량으로 쏟아져나오는 적을 처치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3.2.13.16. 어썰트 라이플 AV-135

'''Assault Rifle AV-135'''
[image]
<colbgcolor=#765a5a><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21.5~59.125
발사 속도
초당 7.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2
AK-47을 닮았다. 모양만 아니라 이름마저 비슷한데 개머리판 종류가 다르다.
다른 게임과 비슷하게 적절히 빠른 연사력,적당한 돌격소총 정도의 강한 데미지를 가지고 있다.
어떻게보면 DPS가 권총만큼이나 밸런스가 잘 맞아서 딱히 너프시키거나 버프시킬 정도는 아니다.

3.2.13.17. RPG

'''RPG'''
[image]
<colbgcolor=#765a5a><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109.2~300.3
발사 속도
초당 0.63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25
무기 슬롯
5
로켓 런쳐의 외형을 구사한 진짜 RPG다.[펌]
또한 5번 무기 중 한방 데미지가 가장 높다.
발사 시 로켓이 사라지고 장전시 나타나는 디테일함을 보여준다.
여담으로 이 RPG는 게임 용어인 Role Playing Game의 약자가 아니라 소련에서 사용한 이RPG다.

3.2.13.18. 에일리언 산성 그레네이드 런처

'''Alien Acid Grenade Launcher'''
[image]
<colbgcolor=#c68a12><colcolor=white> 피해량
알려지지 않음
발사 속도
초당 최대 0.7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때에 따라 다름
무기 슬롯
5
둥근 바이러스 수류탄을 쏘는데 바닥에 박힌다.
근처에 가도 폭딜을 받는데 본인이나 아군도 마찬가지다.
이 총이 상대의 것인지 자신의 것인지를 모를 정도라서 위험하다.
심지어 적군에게 적중해도 바닥에 박힌다. 시간이 지나면 터진다.

3.2.13.19. PHANX-92 팔코넷

'''PHANX-92 Falconet'''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22~60.5
발사 속도
초당 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2
에일리언 라이플과 피해량이 비슷하다.
그러나 이건 연사마저 빠른 편이라 나쁘지 않다.
총알의 크기가 크다.

3.2.13.20. 크로스파이어 CR-34 약탈자

'''Crossfire CR-34 Marauder'''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30~82.5
발사 속도
초당 2.3발
정확도
100%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무기 슬롯
4
레일 발사체를 가지고 있으나 에일리언 라이플과 비슷하다.
에일리언 피스톨의 단점인 데미지를 보완하고 적절한 연사속도를 취한듯 하다.

3.2.13.21. OEDA EA-109H 런처

'''OEDA EA-109H Launcher'''
[image]
<colbgcolor=#D3D4D5> 피해량
57.81~159
발사 속도
초당 2.5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때에 따라 다름
무기 슬롯
5
데미지가 강한 수류탄을 던지는 총이다.
바닥이나 벽에 박으면 즉시 터진다.

3.2.13.22. 팔코니안 PSI 커터

'''Falkonian PSI Cutter'''
[image]
<colbgcolor=#c68a12><colcolor=white> 피해량
104~286
발사 속도
초당 0.57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120
무기 슬롯
4
총알이 무려 8번이나 튕기는 저격총인데 데미지가 쓰레기다.
피닉스 팔코크가 쓰는 무기며 잘 보면 조준경이 푸른색으로 빛난다.
하지만 정확도는 정확히 알수없으므로 적당히 쓰라고 만든것으로 추정된다.

3.2.13.23. 샷건 NXS-25

'''Shotgun NXS-25'''
[image]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피해량
88~242
발사 속도
초당 1.4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3
4발으로 산탄되며 데미지가 3대장의 자리를 차지할 정도로 세다.
샷건 3대장의 탄막 생성을 담당하는 무기.[종류]

3.2.13.24. 재생 피스톨[55]

'''Medic Pistol'''
[image]
<colbgcolor=#ebecf0> 피해량
알려지지 않음
발사 속도
알려지지 않음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알려지지 않음
무기 슬롯
6
제세동기의 상위 호환으로 자힐은 할수없지만 아군을 원거리에서 회복시킬수 있다.[힐조건]
또한 본인이 출혈중이라면 아무곳이나 쏴도 출혈이 멈춘다.
그러나 이 총의 단점은 맞은 아군이 순간적으로 안정적 손상 상태가 되어[56] 아군이 일어냐려던 도중 적의 칼을 맞고 죽을수 있으며 주 무기로 쓰기에는 연사가 너무 느리다. 적의 체력이 200 이하가 되면 제세동기와 마찬가지로 출혈을 일으킨다.[출혈][57] 체력이 체워지지 않는 모드에서는 제세동기와는 다르게 10체력 정도 힐을 한다. 여담으로 아군이 이 총을 맞았을 때 혈액이 빠져나간다. 실제 체력은 채워지나 총알은 총알이므로 아군은 힐하고 적군은 공격하는 부분에서 오류가 난 거 같다. 심지어 이 총을 아군이 맞을 시에는 아군이 피격시 나오는 대사가 나온다.
맵 에디터에서 연사속도를 늘리면 체력이 많은 아군에게도 빠른 속도로 힐이 된다!
여기서 의문이 드는점은 모든 개체가 이 무기에 의해 체력이 변동되는데 죽은적은 왜 아무리 쏴대도 절단되지 않는냐는 것이다.

3.2.13.25. Android Railgun

'''Android Railgun'''
[image]
<colbgcolor=#D3D4D5>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80~220
발사 속도
초당 최대 0.8발
정확도
83%
탄환의 속력
매우 빠름
무기 슬롯
4
라이트 레일건과 공격력, 정확도 능력치가 동일하다.
단 연사속도는 이쪽이 0.2초 더 느린 편.

3.2.13.26. 헤비 저격소총 RQ-10

'''Heavy Sniper Rifle RQ-10'''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110~302.5
발사 속도
초당 0.48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120
무기 슬롯
4
캠페인의 저격소총보다 최소 피해량이 10데미지 더 높다.
또한 최대 피해량은 25.5 데미지나 더 높다.
대신 초당 0.02발 정도 연사속도가 느리다.
마찬가지로 펌프액션 방식이다.

3.2.13.27. 아키타입 27XX

'''Archetype 27XX'''
[image]
<colbgcolor=#8b0000><colcolor=white> 피해량
15~41.25
발사 속도
초당 1.07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4
팔코니안 저격소총인데 4발로 산탄된다.
산탄총의 특징은 많은 적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집탄률이 낮아서 폭딜을 먹일수 없었고 이건 그 단점을 보완한듯 하다.
또한 산탄총 특성상 4발 중 1발은 무조건 맞으므로 1발 적중률만큼은 거의 100%다.
4발이 다 치명타가 터지면 164라는 폭딜을 먹일수 있다.
의외로 벽관통률도 좋다. 이로써 모든 3번무기의 장점을 능가한다.

3.2.13.28. 로켓 런쳐 CS-Barrage

'''Rocket Launcher CS-Barrage'''
[image]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피해량
48.36~133
발사 속도
초당 최대 4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25
무기 슬롯
5
4발의 로켓을 쏜다. 포트나이트의 삭제된 무기인 4연장 발사기와 비슷하다.
차량 로켓 런쳐와 비슷하지만 데미지가 더 세다.

3.2.13.29. CS-가우스 라이플

'''CS-GaussRifle'''
[image]
<colbgcolor=#765a5a><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200~550
발사 속도
초당 0.4발
정확도
47%
탄환의 속력
120
무기 슬롯
4
헤비레일건과 모든 능력치가 같다. 단지 레일 무기에서 레이 무기로 변한것이 차이다.
벽관통도 되고 도탄도 된다. 그러나 레이는 psi 블레이드에 튕려날수 있어 레일보다 취약하다.
탄속도 빠른편은 아니다. 그래도 각각의 성능이 다르므로 헤비 레일건과 이 무기를 결정할 때가 생기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장전시 배럴에 빛나는 게이지가 차오른다.
역시나 반동이 심해서 점프해서 쏘면 뒤로 넘어진다.

3.2.13.30. 상어

'''Shark'''
[image]
<colbgcolor=#ccffff> 피해량
알려지지 않음
발사 속도
알려지지 않음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알려지지 않음
무기 슬롯
9

연사속도를 보면 에일리언 라이플과 비슷비슷하다.
그러나 이 무기의 진가는 발사에서 나타난다.
발사시 총알이 나가지 않는다. 또한 그 어떤 피해도 주지 않는다.
맵 에디터에서 샷당 스프레드 갋을 1로 설정하면 130 정도의 체력을 가진 적이 헤드샷 2번으로 사살되는 준수한 피해를 가진다.

3.2.13.31. 보이지 않는 총

[58]
[59]
<colbgcolor=#FFFFFF> 피해량
18~49.5
발사 속도
알려지지 않음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무기 슬롯
2
레이 라이플보다 속도가 두배 가량 느리지만 나머지 성능은 같다.
맵 에디터에서 장식 도구를 총의 위치로 회전, 뒤집기 트리거로 왠만한 무기는 다 만들수 있다.
보이지 않는 특성으로 엘리트 그럽의 암 캐논 제작에 사용해도 손색이 없다.[A]
샷건 제작은 샷당 스프레드 수 조정, 저격총은 총알 파워 조정과 정확도 조정, 라이플은 속도 배율 조정만 하면 되고
로켓 런쳐와 cs-bng, 레일건은 총알 유형을 로켓, 에너지로 변경 트리거,레이로 변경, 레일로 변경 등이 있으며
총알 외형도 바꿀수 있다. 외형은 숫자 1~40까지 1개씩 넣어보면서 원하는 탄환을 고를수 있다.
이외의 무기는 여기에서 나무위키:문서 작성 요청
복사해서 쓰시면 됩니다.
'''이름'''
파일명
<colbgcolor=헥스 코드> 피해량
-
발사 속도
-
정확도
-
탄환의 속력
-
무기 슬롯
-

3.3. 차량용 총


다른 무기도 트리거로 차량 무기로 지정하면 이 무기들처럼 차량에 달리는 무기가 된다
반대로 이 무기들을 캐릭터 무기로 지정하면 들고 쏠수있다.

3.3.1. 차량 대포

'''Vehicle Cannon'''
[image]
<colbgcolor=#765a5a><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128.47~353.3
발사 속도
초당 최대 4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30
하운드 워커-CS가 사용하는 폭발성 무기다.
연사속도도 괜찮다. 에일리언 라이플 정도의 속도다.
확인결과 가장 좋은 DPS를 가지고 있다![60]

3.3.2. 차량 미니건

'''Vehicle Minigun'''
[image]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피해량
20~55
발사 속도
초당 4.29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60
미니건이라기에는 다른 라이플 종류에 비해 너무 연사가 느리다.
데미지는 차량무기의 수치라 불릴 정도로 약하다. 차량 대포의 하위호환.
외형마저 실망시킨다. 드론과 지프가 사용한다.
맵 에디터에 전작 차량 대포와 외형을 공유하는 무기가 남아있다. 성능은 같다.

3.3.3. CS-오토캐논

'''CS-Autocannon'''
[image]
<colbgcolor=#765a5a><colcolor=white> 피해량
풀업 기준으로 128.47~353.3
발사 속도
초당 1.7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30
풀업 기준으로 차량 대포와 데미지는 같은데 연사가 2배나 더 빨라서 쓰이지 않는 무기다.
노강 기준으로 2레벨 로켓 런쳐보다 조금 낮거나 높은 피해를 가졌다.
적이 들고있다면 상당히 성가신 무기가 된다. 차량 대포는 사기적인 DPS를 가졌고 그 절반이라도 무시할수 없기 때문.

3.3.4. 차량 로켓런쳐

'''Vehicle Rocket Launcher'''
[image]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피해량
30~82.5
발사 속도
초당 최대 4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25
코르벳이 쓰는 점사 로켓런쳐 4점사다.
하지만 대미지는 로켓런쳐 1발의 20%다. 경직이 많이 일어나도 대미지가 20% 모자라다.

3.3.5. 차량 그레네이드 런쳐

'''Vehicle Grenade Launcher'''
[image]
<colbgcolor=#765a5a><colcolor=white> 피해량
51.39~141.3
발사 속도
초당 2.31발
정확도
알려지지 않음
탄환의 속력
때에 따라 다름
드론이 사용하는 다소 위협적인 무기다.
이지 모드에서는 별거 없지만 노말 모드부터 그레네이드(수류탄)를 끊임 없이 난사한다.
그레네이드는 칼로 튕겨낼 수 없기 때문에 운이 나쁘면 진짜 목숨 걸고
Z키로 슬로우를 걸고 뛰쳐 나가서 강한 무기로 드론을 즉사 시켜야 한다.

3.4. 등장 캐릭터


종족이 있고 주인공과 외계인과 민사 보안국을 제외한 나머지 종족도 있다.
특히 이부분에는 직접적으로 스포일러를 전하므로 조심할 것
''' '' '' '''

3.5. 종족


  • 히어로
  • 유저페이션 포시스(은히 외계인이라 불린다. 에일리언 라이플을 써서 그런 별칭이 붙었다.)
  • Civil Security(CS, 시민 안보/민사 보안)
  • 팔코니안
  • 휴먼쉴더
  • Android(안드로이드)
  • 그럽
  • 스타 디펜서와 정말로 나쁜 사람
  • 다크스타[61]
  • Ditzy[62]
  • mrnet
  • 크로스파이어
  • Conifer chair[63]

3.5.1. 플레이어 캐릭터 및 동료


  • 플레이어 캐릭터
이 게임의 주인공, 보통 마린이라고 불린다. 캠패인 모드에서 플레이어가 임의로 이름을 지을 수 있다. 캠패인에서 첫 등장은 웬 캡슐이 떨어지면서 그 속에서 갑툭튀하는데 이때 스태이지 1 Hard 모드에서 Z키를 누르고 추락을 음미하면 바로 사망할 수도 있다.
외형과 신체 일부의 색을 바꿀 수 있으며 크게 Light와 Heavy가 있다. 사실 종류는 Light가 훨씬 다양하며 Heavy는 한 종류 밖에 없다.
Light는 말 그대로 가볍다라는 뜻에 가까운 것으로 Heavy에 비해 이동속도와 도약력(점프력)이 좋지만 피통이 작다. Heavy는 이동속도, 도약력(점프력)이 Light에 비해 약하지만 피통이 매우 크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추천할 만하다. 미래에서 일어난 어느 사건을 막기 위해 과거로 보내졌다.
  • Proxy
여성 캐릭터다. 플레이어가 캠패인 모드에서 자신의 캐릭터(마린)를 조종하며 게임을 즐기다가 갑자기 이 캐릭터가 나온다.[64]
이 캐릭터는 어두운 곳에서 무기도 없이 덩그러니 있는데 이동하면서 처음 얻는 총기가 샷건CS-DAZ다.
그 뒤로 적들을 살해하며 무기를 수집한다.
이때 이 캐릭터는 플레이어 캐릭터랑 달리 4번 레일건으로 헤비 레일건을 얻는다.
플레이어의 헤비 배틀슈트와 라이트 배틀슈트의 영향을 받는데 마린의 HP와 프록시의 HP가 왜 연결되어있는 건지 모르겠다.
  • Noir Lime
싱글 켐페인 후반부에(스테이지 40) 프록시에 이어 또 만나는 동료다. 첫 만남에서 이 자가 탄 팔코크 선박이 추락하여 빈사 상태에 빠진 것을 프록시와 플레이어가 발견한다. 이에 플레이어가 6번 무기로 소생시키면 동료가 된다. 단, 캠페인 홈에 뜨지 않는다. 그리고 들고있는 무기는 저장되지 않는다.

3.5.1.1. 인간형

  • Civil Security(민사 보안)
Usurpation Forces 세력과 주인공 세력과 함께 이 게임 세계관의 3대 세력을 이룬다. 지구인으로 구성된 병력으로 된 세력으로 보인다. 1~3번 무기 중 2번째 것들을 취한다. 칼 색은 주황색이다. 싱글 플레이 스태이지 1에서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적이다. 싱글 플레이에 레벨 6에서 2명을 동료로 써먹을 수 있으며 이때 6번 무기인 힐을 통해 살려줄 수 있다. 단, 신체 일부가 절단되면 힐이 통하지 않는다. Usurpation Forces의 기지 습격으로 시작부터 양 세력간에 거하게 싸우는 스테이지가 있는데 대화 내용같은 걸 들어보면 이리저리 불쌍한 진영
  • Civil Security Lite
Civil Security중에서는 가장 말단 계급이다. 주된 무장으로 권총과 어썰트 라이플, 라이트 레일건을 사용한다. 어떨 때는 칼만 들고 달려나올 때도 있는데 후술할 유령수준으로 빠르기때문에 화력으로 밀어붙히지 안으면 한두번 혹은 그 이상을 맞을 각오를 해야한다. 무장과 체력이 빈약한 편이기 때문에 헤비 레일건 또는 레이건같은 데미지가 높은 무기로 일격에 처치해 주자.
  • Civil Security Heavy
헬멧의 유리부분도 붉그스름한 색이 아니라 노란색에 가깝고 체형도 위의 Civil Security Lite보다는 뚱뚱한 체형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속도는 꽤 느린 편이다. 다만 체력과 무장이 더 강한 편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Civil Security Ghost(민사 안보 유령)
가장 성가신 적(1)이다. 자기가 총을 쏠때나 최초 조우를 제외하면 항상 투명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공격해 올지 알 수 없다. 특히, 이미 한 번 탄환 세례로 확인한 구역을 플레이어가 지나가자 언제 왔는지 그 구역에 다시 사격을 하면 생각보단 가까운 거리서 적이 피격되는 상황은 유사 공포게임으로 느껴질 수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인 이 캐릭터들은 대부분 누가 무기를 버린다면 모를까 근접무기인 칼만 사용한다는 점이다. 다만 속도가 빠른편이기에 방심하다간 칼맞는다. 이 캐릭터로만 가득 채워진 싱글 플레이 스테이지가 있는데(스테이지 25) 공략 방법은 탄환을 낭비한다 싶을 정도로 쏘면서 적이 근처에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다. 연사력과 대미지 밸런스가 좋은 플라즈마건(8번 무기)이나 라이플(2번 무기)을 주로 사용하며 때때로 레일건 계열로 일부를 즉사시킨다. 로켓 런처나 미사일 런처 등으로 한 번에 여러 적들을 날려버리는 방법도 쓰고 싶지만, 얼마나 뭉처있는지 보이지도 않거니와 런처 무기들은 장전시간이 라이플이나 플라즈마건에 비해 길기 때문에 인내심 여부에 따라 추천이 갈린다. 또, 최악의 상황은 유령이 코앞에 있는데 그런 무기를 사용하면 너무 가까이서 생긴 폭발로 동반사망하기도 한다. 이 캐릭터들은 죽으면 투명화가 풀리며 과다 출혈로 빈사 상태에 빠지면 투명화에 이상이 생겼는지 깜빡인다. 신체 개조를 통한 능력에 기반한 투명화로 추정된다. 캠페인(싱글 플레이) 가장 마지막인 스테이지 42에서도 등장하는데 이 스테이지는 나머지 스테이지를 클리어한 플레이어에게 덤으로 클리어 해보라는 스테이지 치고는 매우 어렵다.[65]
  • Civil Security Boss(민사 안보 보스)
가장 성가신 적(2)이다. Civil Security 세력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계급이다. 붉은 외형에 무기도 막강한 게 라이트 레일건이 아니라 헤비 레일건(4번 무기)에 로켓 런처(5번 무기), CS-BNG(7번 무기)도 사용한다. 게다가 피통이 괴랄하게 큰 건지 방어력이 무식하게 좋은 건지 라이트 레일건 헤드샷이 안 통하는 것은 물론, 로켓 런처와 미사일 런처의 콤보로도 쉽게 터져 죽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두 개체씩 발견되지만 레벨18에서 상당히 많이 출몰한다.
레벨 41에서는 위쪽의 팔 코크 3개체를 제외하면 모든 적이 이놈이며 드론 건 CS-바이러스를 들고있다.[66]
* 플레이어의 클론
플레이 도중 갑자기 아군으로 나타나는데 이름부터 무기까지 싹 다 플레이어와 똑같다. 하지만 이 녀석을 온전히 아군이라고 믿으면 안된다.
다음 스테이지에서 갑자기 적이 되어 공격한다.[67] 심지어 포탈에서 여러 개체가 나오는데 그때는 죽은 클론의 무기를 집지 않는이상 레이 건만 들고 미친듯이 쏴댄다.

3.5.1.2. 외계인형

  • Usurpation Forces
플라즈마 버스트 2 시리즈의 주된 적 외계인이다. 인류측 Civil Security 세력과 주인공 세력을 포함하여 이 게임 세계관의 주요한 3대 세력 중 하나다. 아무래도 모종의 이유로 지구를 침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인류 세력에게 적대적인 스탠스를 취한다. 크게 4종류의 계급으로 나뉘며 각 계급마다 고유의 특징이 있다.
  • Usurpation Soldier Minor
싱글 초반에 흔히 볼 수 있는 외계인으로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며 헬멧의 유리 부분이 밝은 파랑색인 게 특징이다. 4계급 중에서 체력과 무장은 제일 약하다.
  • Usurpation Soldier Major
전체적인 몸 색깔은 위의 Usurpation Soldier Minor와 비슷하지만 헬멧의 유리 부분이 짙은 파랑색을 띠고 있는게 차이점이다. 체력이 150HP 이상인 시점부터 이 계급으로 바뀐다. Usurpation Soldier Minor보다는 전반적으로 체력과 무장이 강력한 편.
  • Advanced Usurpation Soldier
Usurpation Forces 세력의 지휘관으로 보인다. 하얀 슈트를 착용하고 있으며 무기도 에일리언 샷건을 주로 사용한다. 슈트의 색만 보면 의무병처럼 보이지만 그냥 전투병이다. 칼 색은 하얗다.
  • Usurpation Destroyer
4계급 중에서 가장 체력과 무장이 강력하다. 체력이 350HP를 넘으면 자동으로 이 계급이 된다. 주로 CS-BNG와 같은 데미지가 막강한 무기를 주로 들고 나오므로 꽤 위협적이다. 설정상 본인들 무기는 지구의 환경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민사 상사 기지에서 약탈한것으로 보인다.
  • Falkok(팔코크 또는 팔코니안)
싱글에서는 40 스테이지에서 밖에 등장하지 않으며 Noir Lime이 최초로 등장한 선박에서 위로 올라간 다음 왼쪽으로 가보면 팔 코크들의 선박도 박살나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아마 Noir Lime을 추격하다가 같이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 낮은 난이도에서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살리든 죽이든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높은 난이도에서는 레이건으로 공격해오며 주위의 죽은 동료를 살리기도 하므로 굳이 상대하지 않는 편이 좋다. 사실 플레이어가 위로 가서 어그로를 끌지만 않는다면 공격해오지도 않는다. 다만, 풀업 레이건을 얻으려면 Easy 난이도에서 시도하는 편이 낫다.

3.5.1.3. 로봇형

  • Android SLC-56(안드로이드 대쉬)
머리의 모양이 '에일리언'에 나오는 제노모프를 닮았다. 몸 전체가 눈이나 관절부를 제외하면 하얗고 피격 부위나 절단 부위에서 피가 나오지 않는다. 그 대신에 피격 부위나 절단 부위에서 하얀 스파크가 튀는 연출이 나온다. 눈 색은 빨갛고, 관절부위나 일부 신체 부위는 회색의 기계부품을 연상시키는 비주얼이다.
사실 인간형 캐릭터 중에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르고 점프력도 가장 높다. 싱글 플레이 스태이지 중에 로봇을 동료로 써먹을 수 있는 스태이지가 있는데 이때 TAB 키를 눌러서 플레이 캐릭터를 변경했을 때 조작하면 너무 빨라서 낙사하거나 벽에 충돌하여 사망하기도 한다.
당연히 AI는 알아서 속도 조절과 점프 조절을 하기 때문에 낙사나 충돌로 자폭하진 않는다.
칼 색깔은 빨간 색이다. 무게가 가벼운 탓인지 로켓 런쳐같은 걸 한방 맞으면 벽에 박고 파괴된다.
덤으로 나온 듯한 스테이지 42에서 동료가 아닌 온전히 플레이할 수 있는 캐릭터로 나오는데 문제는 해당 스태이지가 덤치고는 Easy 모드임에도 매우 어렵다는 것에 있다. 아까도 설명했지만, 이 캐릭터의 특징은 인간형 캐릭터 중 가장 이동속도와 높은 도약력(점프력)을 갖고 있으며 이 때문에 낙사 및 충돌만으로 대미지를 입는다고 했다. 그런 상황에서 투명화 적을 헤비 레일건과 칼만으로 상대하며 스테이지 곳곳에 있는 장치를 작동시켜 문을 열고 탈출하는 것이다. 장치의 위치 중에는 로봇 특유의 높은 점프력과 이동 속도를 계산해서 도달해야 하는 곳이 있는데 여기서 플레이어가 키를 타이밍에 맞춰 누르지 못하면 언제 어디에 있을지 모를 민사 안보 고스트 틈에서 장전 속도가 아주 느린 헤비 레일건으로 견제를 하며 다시 기회를 노려야 한다.
아래 소개할 양산형으로 Android T-01187(안드로이드 디팬서)도 있는데 그냥 속도가 느릴 뿐 체력이 같으니 쉽게 쓰러뜨리자.
  • Android T-01187(안드로이드 디팬서)
라이트 슈트를 장비하는 플레이어의 외향을 닮았다. 온통 하얀 몸체에 헬멧의 고글 부분만 붉은 색이다.
그래서 에일리언이나 민사안보처럼 인간 캐릭터로 착각할 수 있지만 소리를 듣고 알수있다.
레벨 8에서 처음 등장한다.

3.6. 차량


플레이어나 적군의 아머역할을 하며 자힐은 할 수 없다.
모두 탈 수 있다. 단 드론, 코르벳, 상자는 직접 타거나 내릴수 없고 로프는 근접하면 자동으로 탑승된다.
멀티 플레이에서는 로프나 상자를 제외한 모든 차량이 직접 타거나 내릴수 없으며
'''절대 파괴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또한 멀티에서는 차량 밖으로 플레이어가 돌출된다.[68]
개발자는 PB2.5에서 일부 차량이 삭제되며 새로 조정된다고 설명했다.

3.6.1. Drone

두개골이 둥둥 떠다니는 듯한 비주얼이다. 무기로 기관총이나 그레네이드 런처를 사용한다. 사실 싱글 플레이 스태이지 1부터 등장하는데 Easy 모드에서는 적들끼리 치고 박고 싸우면서 자멸했기 때문인지 등장하지 않고, Normal 이상 난이도부터 싸울 수 있다 차량들은 이 드론이 너무 조준하기 어려워 차량을 카운터칠 수 있다.

3.6.2. Hound Walker-CS

적이 하운드워커에 탄 채로 떨어져 죽을 시에는 E키로 플레이어가 타고 다닐 수 있다.[N][Q]박치기로 적을 공격하는 모바일 지프의 카운터다.
체력은 조금 적은 편.

3.6.3. Mobile rO81-CS

적이 지프에 탄 채로 떨어져 죽을 시에는 E키로 플레이어가 타고 다닐 수 있다.[N][Q]
차량 미니건을 들고 난사한다.
이동 속도가 정말 빠르며 시리즈 1에 공개된 차에서 무기가 바뀌었다.
차량들 중 체력이 준수하다.

3.6.4. Corvette

최종보스로 탈 수 없다. 여러 개체가 있으며 전부 점사 로켓 런쳐를 쓴다. 차량중 체력이 가장 많으나 모바일 지프와 다른 방식의 공격을 받으면 의외로 지프가 체력이 더 많을 수 있다.

3.6.5. 라이프 캡슐

플레이어와 적군의 착지용으로 1회용이다. 의도적으로 탈수 없으며 낙하 대미지를 줄여준다.
또한 낙하후 튕기지 않는다.[69]
체력 바가 있기 때문에 격추시킬수 있지만 시도하지는 말자. 어도비 플래시의 핑(Ping)과 정확도가 발목을 잡는다.
너무 낮게 설치하면 낙하시 깨지지 않고 내릴수도 없으니 주의하자.

3.6.6. 로프

살짝 건드리면 탑승되고 A,D 키로 가속도를 얻어 X나 E 키로 하차하면 멀리 점프할수 있다.
그러나 멀티 플레이에서는 상상도 못할만큼 길어져서 버그가 걸린다.
맵 에디터에서 어디서나 설치할수 있으나, 천장에 설치하는것이라 상당히 괴상하게 된다.

3.6.7. 상자

대각선으로 CoolBuddy 로고가 적혀있다.
무기를 상자 위치에 놔두면 무기가 탑승된다(...)
박스를 부수기 전에는 무기를 얻을 수 없다.
여담으로 맵 에디터에서 플레이어를 탑승시킨 뒤 상자가 파괴되면 무적&투명 상태가 되는데, 적은 탐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그 어떤 공격도 할수 없으며, 계속 바닥에 닿으면 위로 튕겨져 올라가는 심각한 버그가 있다.

3.7. 치트 명령어 목록


싱글 캠페인을 모두 클리어하면 치트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치트 명령어는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입력이 가능하다. 주의할 점은 일부 치트는 게임상에 심각한 버그를 유발할 수 있는 것들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하모두

3.7.1. PB1 명령어



3.7.2. PB2 명령어


맵 에디터에서 변수와 텍스트 음성 변환 트리거로도 만들수 있다.
1. bot 1 또는 bot - AI에게 플레이어의 통제권을 넘긴다. 이 치트를 활성화하면 AI가 플레이어를 대신 조작하며 본인은 총 쏘는 것, C키 조작 등을 포함하여 아무것도 할 수 없고 방향키 조작만 가능하다.
2. bot 0 - bot 1의 활성화를 해제한다. 다시 플레이어를 자기 마음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god 1 또는 god - 플레이어의 현재 체력에 100,000을 곱한 값을 추가한다. 즉 원래 플레이어의 체력이 500이었다면 이 치트를 활성화했을 경우 플레이어의 체력은 50,000,000이 된다. 이 치트는 중첩이 가능해서 몇 번이고 입력할 수 있으며 그때마다 플레이어의 체력은 갑절로 증가한다. 이 치트를 쓰면 낙사해도 사망하지 않지만 유일하게 사망하는 경우는 엘리베이터 같은 것에 압사당하면 죽는다.
4. god 0 - 플레이어의 현재 체력에 0.00001를 곱한다. 즉 원래 체력이 500이었다면 0.005가 되는 셈이다. 위의 god 1과 마찬가지로 중첩이 가능하다.
5. gm - 체력의 회복 속도를 거의 0에 가깝게 만든다. 치트를 해제하려면 명령어를 한번 더 입력하면 된다. 플레이어를 포함한 모든 개체에게 적용된다.
6. render 1 - 게임 렌더링을 활성화한다.
7. render 0 - 게임 렌더링을 비활성화한다.
8. very slow - 게임 진행 속도를 0.25배로 낮춘다. 사실상 Z키와 기능이 비슷하다.
9. slower - 게임 진행 속도를 0.5배로 낮춘다.
10. slow - 게임 진행 속도를 0.75배로 낮춘다.
11. normal - 게임 진행 속도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시간 관련 치트 기능을 해제할 때 사용한다.
12. fast - 게임 진행 속도를 1.25배로 빠르게 한다.
13. faster - 게임 진행 속도를 1.5배로 빠르게 한다.
14. very fast - 게임 진행 속도를 2배로 빠르게 한다.
15. extra fast - 게임 진행 속도를 3배로 빠르게 한다.
16. uber fast - 게임 진행 속도를 4배로 빠르게 한다.
17. over fast - 게임 진행 속도를 5배로 빠르게 한다.
18. friends - 맵 내에 있는 모든 적대적 개체들을 플레이어의 아군으로 바꾼다. 즉, 적들이 더 이상 플레이어를 공격하지 않는다.
19. dm - 일명 데스매치 치트. 개체들끼리 서로 적으로 돌변하게끔 한다. 물론 프록시나 느와르 라임도 예외는 아니다. 이 치트를 활성화하면 적들이 자기네들끼리 열심히 치고박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 kill - 일명 자살 치트. 플레이어의 머리통을 없앤다. 멀티에서는 앞에 -를 붙여 -kill로 입력해야 한다.
21. kill enemies - 맵 내에 있는 모든 적들을 죽인다.
22. give all - 플레이어(마린)의 상점 안에 있는 모든 무기들을 풀업그레이드된 상태로 준다. (Defibrillator 포함) '''단, 이 치트를 활성화했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게 된다. 왠만하면 쓰지 말자.'''
23. zoom 25 - 일명 줌 아웃 치트. 화면을 엄청나게 축소시키는 기능이다.
24. zoom 50 - 화면을 축소시키는 기능이다.
25. zoom 100 - 평소대로의 화면 비율이다. 줌 인 또는 줌 아웃 치트를 해제할 때 사용한다.
26. zoom 200 - 일명 줌 인 기능. 화면을 확대시키는 기능이다.
27. hyper jump - 일명 슈퍼점프 치트. 순간적으로 엄청난 도약력을 부여해주는 치트이다. 이 치트를 쓸 때는 god 1 치트를 같이 써줘야 떨어질 때 낙하 데미지로 인해 죽는 걸 방지할 수 있다.
28. headshot - 일명 헤드샷 치트. 플레이어의 머리통이 없어지지만 죽지는 않는다. 다만, 데미지를 입으면 머리가 재생된다.[70]
29. debug 1 또는 debug - 디버그 모드를 활성화한다. 히트박스를 볼 수 있다.
30. debug 0 - 디버그 모드를 비활성화한다.
31. quick start - 상점에 999,999$의 돈을 추가한다. '''위의 give all 치트와 마찬가지로 경고 메시지가 뜨게 된다. 왠만하면 쓰지말자.'''
32. no players -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개체를 맵상에서 지운다. 적 개체가 플레이어의 시야에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이 치트를 활성화하면 적 개체가 그대로 화면에 박혀버린다. 물론 게임상으로는 제거된 개체이므로 총으로 쏘고 칼로 썰고 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
33. no vehicles - 맵상에 있는 모든 차량을 제거한다. 차량에 타고 있다면 이 치트를 쓰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34. no guns - 맵상에 있는 모든 무기를 제거한다. 플레이어의 무기도 포함.
35. no barrels - 맵상에 있는 모든 폭발물을 제거한다.
36. no lights 또는 no lamps - 전등을 부시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불을 끌 수 없게 된다.
37. hero1skin - 마린의 스킨을 변경한다. 다만 이 치트는 버그 때문인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38. hero2skin - 프록시의 스킨을 변경한다. 위의 치트와 마찬가지로 잘 작동하지 않는다.

4. Plazma Burst 2:Void


플레이하기
별로 다른 게 없다. 배경과 캐릭터의 생김새가 조금 다르며 Impossible 모드가 없다.
멀티 지원 불가. 그저 그런 테스트 서버다.
2 출시 이후 에일리언 피스톨 패치 테스트 서버로 추정된다.
Map ID 받는것조차 안된다. 렉도 심하니까 2탄을 사용하자.
에일리언 피스톨 및 적의 외형과 하늘의 생김새가 바뀐다.


5. Star Defenders 3D


플라즈마 버스트 3D
스타 디펜서 3D[71]
Plazma Burst 3D라고 하는데 픽셀이다.
Eric Gurt가 3번째로 내놓은 프로젝트인데 특이하다.
미완성 프로젝트로 지금은 더 만들 계획이 없다고 한다.
Plazma Burst2보다 나중에 나왔지만 더 못 만들었다.
3D Plazma Burst이며, 맵 밖에 의도적으로 떨어지면 체력이 달고 다시 밀려 들어온다.
총으로 벽을 부술 수 있다.
1에서 8번까지의 무기가 준비되어 있다.
스타 디펜서는 플라즈마 버스트 2의 픽셀 스킨이다.

5.1. 라이플

외형은 시리즈 2의 픽셀 라이플과 유사하며 기본적으로 연사가 상당히 빠르다.
다른 플라즈마 버스트 시리즈와 달리 몇번 쏘면 점사된다.

5.2. 스파크 건

외형은 시리즈 2의 플라스마 건 CS-블룸과 유사하며 비슷한 속도로 쏜다.
라이플과 마찬가지로 점사된다.

5.3. 샷건

외형은 시리즈 2의 샷건 CS-DAZ와 유사하며 집탄률이 나쁘지 않다.
대부분의 AI가 원콤난다.

5.4. 스나이퍼 라이플

외형은 시리즈 2의 라이트 레일건과 유사하며
탄환은 시리즈 2의 레일만큼 빠르지는 않다.

5.5. 로켓 런쳐

외형은 시리즈 2의 로켓 런쳐 CS-LitBro와 유사하며 연사속도가 그럭저럭 하다.
벽 파괴가 가능한 만큼 중요한 역할이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5.6. 빌드 도구

스파크 건과 유사한 속도로 발사하며 발사시 둥근 벽을 생성한다. 역시 점사한다.
벽의 두께가 상당하여 보호 구역 제작 또는 높은 도약에 사용할수 있다.
단, 벽이 중첩되므로 넓은 간격으로 설치하자.

6. Plazma Burst 2.5


출시 이후 사용할 문단 입니다.
현재까지 65% 완성되었으며 음향시스템과 무기 낙하 데미지가 추가 중입니다.
PLAZMA BURST 1 밑 2의 무기는 모두 추가되었고
에일리언 피스톨 버젼 1.17이전 버전이 다시 추가되었다.[72]
PB:FTP 만렙 피스톨처럼 다른 권총 2개를 들수있다.[73]

7. Plazma Burst 3


어도비 플래시 런처가 필요하지 않다.

7.1. 기타 사운드 목록


  • PB:FTP에서 휴먼 쉴더의 대사는 PB2에서 민사 보안의 대사로 교체된다.
  • PB:FTP에서 느와르 라임의 대사는 PB2에서 아에 리메이크 시켜버렸고, "He's in front!" 대사는 PB2의 마린에게 넘겨줬다.
마린 대사
- Fire!
- Enemy!
- He's in front![74]
- Uh
- Ah
- Eha
- Ugh
느와르 라임 대사
- Enemy![FTP]
- He's in front![FTP]
- Eha & Ugh[FTP]
- Argh!
- Ahughahhh!
  • PB2에서 모든 여성 캐릭터는 프록시의 사운드와 공유된다.
프록시 대사
- Got one!
- Fantastic!
- Nice!
- Take cover!
- Over here!
- Up there!
- Help!
- Aaaaah!
  • PB2에서 다른 민사 보안 캐릭터와 달리, 민사 보안 고스트(은신, 표면이 검으며 녹색 바이저)는 본인만의 사운드가 있다.
  • PB2에서 유저페이션 포시스의 파괴자(붉은 바이저)는 다른 유저페이션 포시스와 달리 다소 시끄러운 본인만의 사운드를 낸다.
[오류] 분명 전작에서는 달에 있는 외계 기지에서 싸웠고, 지금은 지구 침략을 막는건데, 오히려 지구가 달보다 중력이 약하다(...)[15] Lite Battlesuit을 입고 있을 때 130HP, Heavy Battlesuit을 입고 있을 땐 150HP이다.[16] 제작자에 따르면 승인 된 지도는 까다로운 절차를 걸치며 조금이라도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예: 벽이 지지물 없이 공중에 떠있다.) 탈락시킨다.[17] [18] 멀티플레이도 맵 ID로 본인이 만든 맵으로 플레이 할수있다. 승인된 지도는 SP를 올릴수 있다. 데스매치 외에도 SAW 맵이 있는데 이 맵은 팀 매치 및 협동조합(게임모드를 COOP으로 설정하면 아군 플레이어와 같이 플레이 할수있다.)을 사용해야 하며 움직이는 벽, 산, 푸싱 영역이 플레이어를 죽이려고 달려들며 점프를 해서 벽을 올라가는 파쿠르맵도 있다.[19] 하지만 드론과 같은 기계류는 칼을 쓸 수 없어서 그런지 난이도 상관없이 순삭할 수도 있지만 난이도가 높을수록 적들이 멀리 있어도 공격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20] 스테이지 39의 경우 가장 가운데의 벙커 같은 곳에 들어가기 위해 위쪽 구멍에 올라간 다음 X키를 누르면 아래로 빠지며 들어갈 수 있다.[21] 8번 무기의 경우에는 CS-플라스마 블룸일 텐데 CS-플라스마 블룸은 벽에 붙어서 쏘면 대미지를 입기 때문에 2번 무기를 추천한다.[22] 다만, 이것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맵 에디터에서 따로 트리거를 지정해 숫자키를 바꿀 수 있다.[23] 미니건은 가장 연사속도가 빠르고 DPS도 CS-BNG 저리가라 정도지만 멀티에서는 한방에 골로 갈수있기 때문에 스나이퍼 라이플, 로켓 런쳐, 유탄 발사기를 제외하면 주의할 점이 많다. 레이 건은 근접하면 무조건 1방컷 나지만 멀티에서는 샷당 스프레드 갋이 2로 조정되며, 집탄도가 워낙 떨어지다 보니 저격당해 죽기도 한다. [특] A B 레일건 종류는 각도에 상관없이 2번 튕기며 팔코니안 PSI 커터는 '''각도에 상관없이 8번 튕긴다!'''[24] 싱글 플레이에서 z키를 키고 사용하면 대부분 튕겨낼수 있다.[25] 수류탄인데 안튕길 리가...[펌] A B C D E F 무기를 바꿨을 시 자동장전이 안된다. 장전될때까지 들고 있어야 한다.[26] 원래 튕기자 마자 맞는 경우와 달리 이제는 잘 튕겨낸다. 운이좋으면 스나이퍼 라이플의 총알을 튕겨내 '''원거리에서 1방컷 낼수도 있다!'''[하지만] 패치로 인해 에일리언 피스톨은 연사 속도가 같아지며 데미지도 약해졌다.[27] 너무 겹쳐져서 한발로 보인다.[28] 맵 에디터에서도 찾을수 없게 삭제되었다. 플라즈마 버스트 2.5 디자인의 쌍권총 모델링 사진에 잠깐 모습이 보였다.[29] # 원래는 버그판 링크지만 업데이트가 일어나지 않아서 1.17 이전 에일리언 피스톨 체험이 가능하다.[30] 데미지가 진짜 쓰지 말라는 건가 싶을 정도. 50을 못넘긴다.[31] 진짜 매우 느리다. 발사속도가 0.7초에 한 번 발사한다. 일반 라이플들은 0.3에서 0.5초에 한 발 발사한다는 걸 고려하면 매우 슬픈 속도다.[32] 미니건을 득템하면 자신이 들고 있던 라이플을 느와르 라임이 가진다. 다만, 미니건을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드려면 스태이지 40을 깨는 것 밖에 방법이 없다. 클리어 후 다시 스테이지를 들어가면 느와르 라임이 그대로 미니건을 들고 다시 나온다. [33] 전작에서는 휴대를 위해서 소드 오프 샷건으로 만든 듯 했으나, 이것을 후속작까지 계속 개조시켜 오래 우겨 쓴다. 그래서인지 다른 샷건과 비교했을 때도 단일 발사체 데미지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34] 뭔지는 모르겠는데 전작을 따라 붉은색을 국룰로 만든 것 같다.[35] 이상하게도 임파서블 모드를 키고 41 스테이지를 플레이하면 코르벳이 1방에 죽는다 하지만 다른 모드에서는 2~3발으로 의문.[36] 노 업그레이드 기준으로는 다른 스나이퍼 라이플에게 딸린다. 멀티플레이에서는 업그레이드 된 총을 찾기 어려우므로 이론상으로만 사기무기라 보면 된다.[37] 모든 스테이지에서 임파서블 모드를 켜면 모든 적의 헤비 레일건이 이 총으로 변한다.[38] 레벨에 따라 점프량이 다르니 주의.[39] 그냥 한 번 로켓 런처로 점프를 해보고 안 되면 라이트(lite) 슈트로 해당 스태이지를 재시작하거나 수류탄을 써야 할 것이다.[출혈] A B 멀티에서 적들의 체력은 거의 200이하로 설정되므로 한방만 쏴도 출혈시킬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도 싱글에서는 적의 체력이 500이상이라 1방으로 출혈시킬수 없다는 것.[힐조건] A B 팔, 다리 절단 시 제외된다. 이 경우엔 힐 자체는 가능한데 다리나 팔이 재생이 안 돼서 다시 출혈 상태가 된다. 다리 손상시 이 무기를 들고 스스로 회복할수도 있다. 팔 손상시 무기를 들수없어 그냥 그 팀원은 버리는게 좋고 머리나 허리가 손상되면 힐 자체가 안된다.[40] 단, 사체에 절단된 부위가 없을 정도로 말짱할 경우에만 가능하다.[41] 'root[루트]' 또는 'eric gurt'라는 이름을 쓰거나 42스태이지까지 모두 깨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 root는 제거, eric gurt도 제거되었으므로 모든 스태이지를 다 깨는 방법 밖에 없다고 해야 한다.[42] TAB키를 눌러서 Proxy 역시 god치트를 써줘야 한다. 혹시 둘 중 한 명이 죽으면 인벤토리상에 문제가 발생한다.[43] 트릭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버그이므로 그리 추천하지 않는다. 17번 문단을 참조하라.[44] 사용시 팀이 정해져있는 복제본 하나를 떨군다. 이로써 적군은 무한정 사용가능하다.[45] 그러나, 이 게임의 특성상 한방 데미지가 강한 샷건이나 데미지가 약하고 연사속도가 빠른 저격총은 효율이 떨어진다. 반대로, 강한 저격총이나 연사속도가 빠른 샷건(최대 1초당 1번 발사)은 반대로 효율이 늘어난다. 덩치가 큰 보스전에는 라이플이 다 해서 한방 데미지가 강한 샷건은 그리 쓸모가 없다.[46] 다른 묘사로는 날아서 적에게 연속 박치기로 [47] 임파서블 모드 한정 그 이하는 그것도 안된다.[48] 물론 이러한 스테이지에서는 그레네이드를 공짜로 얻을 수 있게 눈에 띄는 곳에 그레네이드를 뿌려 놓는다.[49] 엘리트(elite)라고 하양 슈트에 파랑 고글, 빨강 바이져가 된 슈트를 입은 인물도 있음[50] 소리도 3번씩 발사하므로 상당히 찰진 타격감을 가졌다.[51] 벽관통이 안된다는건 아쉽긴 하다. 풀업 기준 피해가 헤비 레일건 업그레이드 1 기준과 같다.[52] 추적 도중 탄속이 극도로 느려지는데 이 총의 이름을 보면 이유를 알수있다. 이 총은 중력을 무시하고 공중에 떠서 날아다니고 부스터를 사용하지 않는다.[53] 스나이퍼 라이플 못지않게 탄속도 빠르다.[54] 그러니 매우 근접하면 본인이 피해를 입는다.[종류] A B C 안드로이드 샷건, 플라스마 샷건, 샷건 NXS-25[55] medic pistol에 관한 것은 나무위키가 가장 먼저 서술되었다. 그 빠르다는 FANDOM 위키도 나무위키보다 늦은 위키를 제출했다.[56] 특히 체력이(1%~10%정도)별로 없는 아군은 맞자 말자 넘어져서 낭떠러지에 있다면 팀킬(?)이 가능하다.[57] 그러니까 PvP 에서는 1방이면 출혈샷이니 개사기다.[58] 실제로는 총의 이름도 보이지 않는다. 총이 안보여서 마우스로 지목하면 업그레이드 레벨과 슬롯을 제외한 보이는 것을 빼면 그냥 허상이다.[59] 맵 에디터에는 전부 검은색으로 덮은 레이 라이플과 비슷한 아이콘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마저도 보이지 않는다.[A] [60] 단 이건 풀업 기준이고 노강 기준으로는 매우 준수한 피해만 준다.[61] 다크 스타 1 이라는 개발자가 기여한 캐릭터 종족이다 캐릭터가 매우 많다.[62] Ditzy 라는 개발자가 기여한 캐릭터 종족이다. 다크 스타만큼은 아니어도 민사 보안국 보다는 많다.[63] 이 종족중에는 까마귀라는 이름이 붙은 캐릭터도 있다.[64] 스테이지 30부터 등장한다.[65] 그걸 이지도 아닌 노말로 깨라는 퀘스트도 있으니 할말다했다.[66] 뒤쪽 적은 로켓 런쳐, 레이 건, 헤비 레일건을 쏜다. 임파서블 모드에서는 모든 헤비 레일건이 저격 소총으로 변한다.[67] 제작자의 말에 의하면 Civil Security측에서 플레이어를 꾀기 위해 위장한 거라고 한다.[68] 이로써 누가 탑승했는지 분별이 가능하지만 서술했듯이 버그가 심해서 멀티에서 쓰면 안된다.[N] A B 드론 건 CS-바이러스는 필수적이다.[Q] A B 18스테이지에서 스냥 준다.[69] 개발자가 작정하고 1000 블럭보다 위에서 떨어지게 설정하지만 않는다면.[70] 위의 3. 문단 참조[71] 맵 스타 디펜서 플레이를 마치면 나오는 사이트다.[72] [image]발사체가 공기를 가르는 모형을 강조했다.[73] [image]에일리언 피스톨 1.17 이전, 이후 버전을 쌍권총으로 쥔 사진이다.[74] PB:FTP에는 없었던 대사다. PB:FTP의 느와르 라임의 사운드와 똑같다.[FTP] A B C Plazma Burst: Forward to The Past 에서만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