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버스 목록/폐선
1. 개요
2. 시내일반버스
3. 일반좌석버스
3.1. 고양 버스 873
4. 직행좌석버스
4.1. 고양 버스 3200 (★)
5. 마을버스
5.2. 고양 마을버스 012
5.3. 고양 마을버스 022 (1기노선)
5.4. 고양 마을버스 034 (1기 노선)
5.5. 고양 마을버스 059 (1기노선)
5.7. 고양 마을버스 075B (1기노선)
5.9. 고양 마을버스 092 (1기노선)
5.10. 고양 마을버스 093 (1기노선)
1. 개요
고양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버스 노선, 그리고 계획이 취소된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운행경로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폐선 직전 노선이며 형간전환되었던 노선의 경우 폐선 직전의 노선 형태 기준으로 작성한다.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에는 뒤에 (★)을 표기한다.
2. 시내일반버스
2.1. 고양 버스 15 (1기노선)
고양 버스 071 문서 참조.
2.2. 고양 버스 15 (2기노선)
2.2.1. 노선 정보
2.2.2. 개요
일산대교를 최초로 건너는 노선 중 하나였지만, 흑역사가 된 노선
명성운수가 운행했던 일반시내버스 노선이다.
2.2.3. 역사
- 2009년에 일산대교가 개통됨에 따라 김포 - 일산 수요를 잡기위해 신설되었다.
- 그러나 11번과 주엽역에서 롯데마트 고양점 구간이 완전히 겹치는건 물론이요, 거기에다가 배차간격까지 길었던데다[1] 김포시내도 한강신도시도 아닌 애매한 곳인 나진교에서 대화역으로 오는 수요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니 경쟁노선이었던 550번도 버티지 못하고 단축되었고. 결국 대체 노선인 11번, 97번으로 역할을 넘기고 2010년 11월에 폐선되었다.[2] 이 때 우후죽순 신설된 김포 - 일산 노선 중에서 97번을 제외하면 모두 운행이 중단되었다.[3]
2.2.4. 특징
- 이 노선은 고양 버스 11과는 주엽역 이후로는 완전히 겹쳤다. 단, 이 노선은 행신역까지 가지 않고 행신역 연장 이전의 11번 노선의 롯데마트 고양점 회차 경로를 따랐다. 또한, 이 노선은 고양 버스 11의 파생노선이다.
2.2.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4] , 마두역, 화정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백마역
2.3. 고양 버스 37
해당 문서 참조.
2.4. 고양 버스 73
해당 문서 참조.
2.5. 고양 버스 76
해당 문서 참조.
2.6. 고양 버스 95 (1기노선)
2014년 1월까지 운행된 노선이다. 고양 버스 95 문서 참조.
2.7. 고양 버스 99
해당 문서 참조. 단, 현재 고양 버스 99 문서는 파주 신성여객에서 서현운수로 노선이 넘어가서 문서명이 기존 '파주 버스 99' 에서 변경된 것이다.
2.8. 고양 버스 730
- 명성운수에서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운행했던 노선으로, 서울 버스 7731(現 고양 790)번을 견제하기 위해서, 명성운수에서 신설했다. 운행구간도 기점부분을 빼면 동일했다. 차등요금을 징수했기에, 7731번보다 저렴한 요금이 장점이었다.
- 그렇게, 녹색으로 재도색한 BM090으로 잘 다녔지만, 수요 자체가 7731번의 애매한 수요에 빨대 꽂는 정도였던지라, 수요도 애매모호했고, 7731번보다 배차간격도 더 나빴다.
- 결국 명성운수가 경영난에 빠지면서, 신성교통에 여러 노선들을 매각하는 동안, 이 노선 역시 2006년 11월 30일을 끝으로, 소리 없이 운행을 중단했다.
- 운행차량은 12월 1일부로 신설된 04번[5] 으로 이동했다.
- 현재 운행중인 730번과는 전혀 무관한 노선이다.
3. 일반좌석버스
3.1. 고양 버스 873
- 舊 87-3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
- 2011년 12월 1일 폐선되고 870번으로 통합되었다.
- 노선 인가분은 1100번 개통을 위해 사용되었다.
4. 직행좌석버스
4.1. 고양 버스 3200 (★)
[image]
해당 문서 참조. 처음엔 명성운수에서 운행했다 비수익 노선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신성여객으로 넘어갔다. 신성여객이 경영난에 시달린 이후 대원고속으로 넘어갔다.
5. 마을버스
5.1. 고양 버스 N006(1기)
해당 문서 참조.
5.2. 고양 마을버스 012
5.2.1. 노선 정보
5.2.2. 개요
자안운수에서 운행하였던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6km였다. 폐선 전, 전체 정류장 목록.
5.2.3. 역사
- 구 15-2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 때 012번으로 번호만 바뀌었다.
- 이전에는 011번이 '맨돌 → 행주산성 → 행주 나루터 → 능곡' 순으로, 012번이 '능곡 → 행주나루터 → 행주산성 → 맨돌' 순으로 순환하였지만, 불편하다는 민원이 있었는지 '맨돌 - 행주산성 - 행주나루터' 왕복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2월 24일에 운행을 중단되었다.
- 2016년 3월 3일에 확인된 바에 의하면 012번 다시 운행이 재개되었다.
- 2016년 3월 18일부터 운행이 다시 중단되었다.
- 2016년 4월 17일에 확인된 바에 의하면 012번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정확한 운행재개 일자는 미상.
- 2016년 5월에 운행회사가 행주교통에서 자안운수로 바뀌었다.
- 2016년 9월 9일에 011번으로 통합되면서 폐선되었다.
5.2.4.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에 있었던 철도역만 기재하였다.
5.3. 고양 마을버스 022 (1기노선)
5.4. 고양 마을버스 034 (1기 노선)
해당 문서 참조.
5.5. 고양 마을버스 059 (1기노선)
5.6. 고양 마을버스 063
5.7. 고양 마을버스 075B (1기노선)
삼송여객(現, 홍성)에서 운행했던 노선, 075번(호반)행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2013년 2월 28일에 폐선되 노선으로 040번의 전신이 되었다.
회차 구간을 제외하면 현 075(A)번과 동일한 노선이었으며 호반22단지 정/후문에서는 075A번과 달리 건너편에서 타야 했다.
5.8. 고양 마을버스 085
해당 문서 참조.
5.9. 고양 마을버스 092 (1기노선)
[image]
5.9.1. 노선 정보
5.9.2. 역사
2007년 9월 2일: 구 9번이 성저마을 경유에서 농수산물유통센터로 직통 대화역 경유로 바뀌었다. 이 때 9-2번이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성저마을 - 예비군훈련장, 성저3~4단지 - 대화역 - 문촌마을 - 주엽역 - 강선마을'이었다.
2009년 3월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 때 번호만 092번으로 바뀌었다.
2010년 중에 회차 경로를 강선마을 유턴에서 강선마을 → 뉴서울쇼핑 → 두진아파트 → 주엽역으로 변경하였다.
2011년 7월 23일에 탄현지구 북쪽에 있는 탄현임광진흥아파트와 탄현큰마을로 연장되면서, 구, 093번이 이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그와 동시에 다시 강선마을(중) 유턴 회차로 환원되었다.
2016년 5월 15일에 091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관련 게시물
5.9.3. 특징
- 탄현으로 갈 때는 송산동을 크게 돌아서 회차했다. 잠시나마 파주시(구름다리길)에 들어갔고, 이후 탄현임광진흥아파트로 갔다.
- 090번이 성저마을을 외곽으로 통과한다면, 이 노선은 성저마을 1~2단지를 빼고 전부 경유했다. 비슷한 경우로, 고양 버스 023이 서정마을을 5단지를 빼고 전부 경유한다[6] . 재밌는 사실은, 사실 090번의 전신이라 볼 수 있는 9번 마을버스는 2000년대 초, 중반에는 성저마을 경유 노선이었다. 이후 성저마을 지선이 9-2번으로 분리, 기존 9번은 직선화하면서 현재 노선이 된 것이다.
- 탄현동문아파트~탄현2단지(삼익아파트) 구간에서 대화역까지 빨리 가려면 090번을 타는 게 더 나았다.
- 성저마을로 우회하다 보니 탄현지구에서는 수요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었으며, 4대로 운행했다 보니 배차간격은 영 좋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휴일에는 3대, 심지어 명절 기간에 2대로 굴리기도 했다.
- 대화역 ~ 주엽역 구간에서 시내버스 92번과 노선이 겹쳤다. 덕분에 잘못 타면 미래로 직통으로 덕이지구와 운정신도시로 가며, 자칫 졸기라도 한다면... 운정과 금촌을 넘어 문산과 적성으로 갈 수도 있었다. 지금은 다 옛날 일이 됐지만.
5.10. 고양 마을버스 093 (1기노선)
[1] 심지어 주말,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았다.[2] 지금이야 11번을 타고 33번으로 갈아타면 그만이다. 일산동구청에서 반대편으로 건너가자.[3] 이후 신도시 개발이 거의 이뤄지고 한참 지나서 생긴 김포 33번은 경쟁상대가 97번밖에 없었기 때문에 제법 흥했다.[4]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5] 선진운수 7729번을 대체하는 노선. 곧 75번으로 번호를 바꾸었고, 2010년부터, 마을버스 075번으로 다니고 있다.[6] 단, 2017년 경 노선개편으로 인해 옛말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