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현버스터미널''' '''Gohyeon Bus Terminal'''
|
|
'''고현버스터미널'''
|
'''정식 명칭'''
| 고현버스터미널
|
'''영문 명칭'''
| Gohyeon Bus Terminal
|
'''개점'''
| 1995년
|
'''운영기관'''
| (주)고현정류장
|
'''터미널 코드'''
| 732
|
'''행선지 표기'''
| 고현(거제)
|
'''소재지'''
|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천로 10 (고현동)
|
'''관련 전화번호'''
|
고현버스터미널 대표전화: '''1688-5003'''
|
1. 개요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동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겸
시내버스 정류장.
[1] 현재 있는 곳은 매립지이며 이전에는 지금의 거제수협 고현지점 인근에 있었다고 한다. 옆으로 300m가량 이동한 셈.
해당 버스 터미널을 경유하여 장승포동에 종착하는 노선이 많다.
시설 노후화로 인해 연초에 터미널 이전 논의가 있지만, 아직은 계획은 없다고 한다.
참고 기사10년 만에 용도변경이 통과되어 사업자를 공모한다.
기사인터넷 예매는 터미널협회 홈페이지에서
광주,
구미,
동대구,
서울남부,
대전,
신평역,
부산,
동래역,
서부산,
평택,
김해국제공항행에 한하여 예매할 수 있으며
시외버스모바일 앱이나
버스타고 앱을 이용하면 전 노선 예매가 가능하다.
이 곳을 경유하거나 종착지로 사용하는 시내버스들도 상당히 많은 관계로 터미널의 한쪽 면은 시외버스, 한쪽 면은 시내버스 탑승구로 쓰인다. 정식 이름이 '고현시외버스터미널'이 아니라 '고현버스터미널'인 이유. 시내버스 쪽도 시외버스 탑승구와 생김새가 거의 같기 때문에 가끔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문을 나서서 바로 보이는 상단에 버스 도착 예정시간 안내 TV가 달려 있으면 시내버스 쪽이다. 더 쉽게 말하자면, 정문에서 보았을 때 왼쪽이 시내버스 승차장, 오른쪽이 시외버스 승차장이다.
생각보다 이름이 특이한 편이다. 보통은 도시의 관문 역할을 하는 터미널은 시 또는 군의 이름으로 터미널 이름을 짓는 편인데, 여기는 동 이름인 고현을 사용하였다.
[2] 거제시의 도시 정체성이 완성되기 전에 1989년에 승격하여 1995년에 통합되기까지 존재하였던 장승포시로 인하여 거제도의 중심지가 나눠져버린 탓이 크다. 고현버스터미널이 위치해있는 구.신현읍과 구.장승포시가 각각 독자적으로 도시를 형성하다보니 같은 거제도 내부이지만 어느 곳을 거제시의 중심지로 정해줘야 할 지 애매하게되어 구.신현읍 지역이 주로 고현으로 불리며 그 이름의 인지도가 높아져서 시외버스터미널 이름도 그렇게 굳혀진 것으로 사료된다.
2. 노선
고현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는 모두 전환고속이거나 시외버스 업체에서 고속버스 노선에 참여하는 케이스로
[3] 서울남부행은 처음 개통 때부터 고속버스로 인가를 받았으므로 전환고속이 아닌 시외버스 업체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이다.
,
티머니 E-Pass 사용이 불가능하다. 한마디로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고속버스는 들어오지 않는다.
[4] 사실상 고현터미널을 본거지로 사용하는 경원여객이 치열한 경합 속에 3대 차이로 대원고속에 밀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가입에 선발되지 못했다. 만약 대원고속이 전환고속 노선 수가 조금만 적었거나 경원여객이 보유노선이 조금만 많았더라면 대원고속 대신 경원여객이 고속버스 회사가 될 수도 있었다. 참고로 가입이 될 경우에는 서울남부터미널 최초의 E-pass를 사용하는 노선이 될 수 있었거나 노선 착발을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이전 후 사용할 수 있었다.
[5] 그대신 회원사 금호고속 2팀(직행부),코리아와이드경북이 시외노선으로 들어오긴 한다.
'''수도권'''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서울'''
| 일 27회
| 경원여객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고현발 서울(남부)행'''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서울(남부)'''
| 4:20
| ₩ 24,800 ₩ 36,900(우등) ₩ 44,800(프리미엄(월~목)) ₩ 48,0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40,600(심야우등)
| '''운행시각표'''
| 05:40, 06:20, 07:00, 07:40, 08:20, 09:00, 09:40, 10:20, 11:00, 11:40, 12:20, 13:00, 13:30, 14:00, 14:30, 15:00, 15:30, 16:00, 16:30, 17:00, 17:30, 18:00, 18:40, 19:20, 20:00, (심야)22:40, 24:00
| 원래는 인삼랜드 휴게소 환승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인삼랜드 휴게소 환승이 불가능하다. 2019년 3월 5일부터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운행한다. 전환고속 면허로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동으로 검표했으나, 2019년 4월 기준으로, C-Pass 도입이 확인되었다. 수동 검표도 병행 중이다. 동일 노선에 통영, 고성 경유 시외버스가 운행 중이다. 고속버스 서울남부-고현 참고
|
|
'''충청권'''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대전'''
| 일 13회
| 경원여객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장승포·고현발 대전행'''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통영'''
| 발권불가
| '''대전'''
| 3:30
| ₩ 19,200 ₩ 24,000(우등) ₩ 28,800(프리미엄(월~목)) ₩ 31,2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운행시각표'''
| 07:00, 08:05, 09:05, 10:00, 11:10, 12:20, 13:30, 14:40, 15:50, 16:40, 17:20, 18:20, 19:30
| 원래는 인삼랜드 휴게소 환승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인삼랜드 휴게소 환승이 불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되며, 일반고속 시간대에 우등차량이 들어온다. 원래 전환고속 면허였으나 2019년 7월 6일부터 장승포·고현발 차량이 통영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이에 따라 고속버스 조건을 상실하여 전환시외가 되었으며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는 시외버스이므로 수동으로 검표한다. 2020년 2월 1일부터 일 3회 프리미엄 버스를 운행한다.
|
|
'''수도권(시외)'''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서울남부'''
| 일 9회
| 경원여객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장승포발 서울남부행'''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통영'''
| 발권불가
| '''고성'''
| '''사천'''
| '''서울남부'''
| 4:55
| ₩ 33,000 ₩ 36,900(우등)
| '''운행시각표'''
| 06:40, 11:15, 12:55, 13:35, 15:25, 17:55, 18:20, 18:45, 21:35
| 일반고속 시간대에 우등차량이 들어온다. 위에 있는 고속버스와는 다르게 이쪽은 통영, 고성을 경유하여 시간이 조금 더 걸리므로 조금 더 빠르게 가고 싶거나 심야시간대에 서울로 가고 싶다면 위에 있는 고속버스를 이용해야 하며 청소년할인대상자이면 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21:35 시간대에는 사천을 추가로 경유한다.
|
|
'''동서울'''
| 일 6회
| 경원여객 천일여객 코리아와이드 경북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고현발 동서울행'''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통영'''
| 발권불가
| '''동서울'''
| 4:45
| ₩ 39,500(우등)
| '''운행시각표'''
| 07:45, 10:10, 11:30, 14:20, 16:15, 17:35
| 2018년 5월부로 통영 착발 노선을 거제로 연장하였다.
|
|
'''인천국제공항'''
| 일 10회
| 경원여객 코리아와이드 대성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고현발 인천공항행'''
| '''행선지'''
| '''소요시간'''
| '''운임'''
| '''통영'''
| 발권불가
| '''개양'''
| '''인천국제공항'''
| 6:20(T1) 6:40(T2)
| ₩ 50,000(우등) ₩ 55,000(심야우등)
| '''운행시각표'''
| 04:30, 06:00, 08:25, 10:00, 11:30, 12:55, (심야)23:00, 00:01, 01:00, 02:00
| 주의해야 할 것은 심야 노선은[11] 단, 23:00, 00:01 출발 차는 서울남부행 심야 막차 바로 옆에서 탈 수 있다. 01:30, 03:00, 04:30 출발하는 차량 한정으로 구두방 앞에서 타야 한다.
|
|
'''세종 평택'''
| 일 2회
| 경원여객 삼흥고속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고현발 평택행'''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세종'''
| 3:10
| ₩ 26,400(우등)
| '''정부세종청사'''
| 3:25
| ₩ 27,300(우등)
| '''평택'''
| 4:10
| ₩ 36,400(우등)
| '''운행시각표'''
| 10:40, 17:30
| 2013년 5월 7일 개통되었으나, 적자로 인해 세종 경유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
'''오산 인천'''
| 일 3회
| 코리아와이드 진안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고현발 인천행'''
| '''행선지'''
| '''소요시간'''
| '''운임'''
| '''통영'''
| 발권불가
| '''오산'''
| 4:20
| ₩ 34,100(우등)
| '''인천'''
| 5:30
| ₩ 40,400(우등)
| '''운행시각표'''
| 09:40, 14:30, 18:40
| 2020년 7월 13일에 통영 착발 노선을 거제로 연장하였다.
|
|
'''호남권'''
|
'''행선지'''
| '''운행횟수'''
| '''운수회사'''
|
'''광주'''
| 일 2회
| 경남고속 금호고속
|
-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장승포발 광주행'''
| '''경유지'''
| '''소요시간'''
| '''운임'''
| '''통영'''
| 발권불가
| '''광주(유스퀘어)'''
| 3:00
| ₩ 18,500
| '''운행시각표'''
| 12:40, 20:00
| 금호고속의 경우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이므로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동으로 검표한다.
|
|
김해,
김해국제공항,
부산(노포동)(
동래 경유),
부산(사상)[6] 일부 신평역, 장목(신흥여객 단독 배차)을 경유한다. 고현터미널의 최대 수요처, 거제시의 유일한 빗자루질 시외버스 노선이다.
, 옥포,
장승포,
고성,
통영,
진주[7] 고속도로 방면 직행과 국도 방면 완행으로 나뉜다. 주의하자
,
사천,
사천공항,
마산(남부)[8] 마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려면 다른 곳에서 환승하거나 시내버스로 가야 한다. 되도록 이면 부산(사상)에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왜냐하면 서부산터미널에 가면 10분 간격으로 출발하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이 노선을 이용할 경우 통영(일부 시간 무전동 경유), 고성, 배둔, 진동을 경유하는 완행 노선으로 약 2시간 반~3시간 정도 소요된다.
,
창원[9] 거가대교 직행과 국도 완행으로 나뉜다. 주의하자. 거가대교 직행은 장유 경유.
,
진해,
울산,
함양,
산청,
구미,
동대구,
포항[10] 거가대교, 경주(시외) 경유, 2017년 3월 15일 신설
3. 주변 지리
거제의 시청소재지인 고현, 그 중에서도 한복판이다보니 거제시에서는 나름 있을 것 다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지만 막상 내려 보면 바로 옆의 전자랜드와 고현항 말고는 거의 눈에 띄는 건물이 없다. 멀지 않은 곳에 나름
애슐리와
맥도날드,
홈플러스,
CGV까지 갖춘
디큐브백화점이 있지만 터미널에서 바로 보이는 거리는 아니다. 그렇다고 터미널 근처에 뭐가 아무것도 없냐 하면 그런 건 아니고, 그냥 흔한 근린상가건물들이 많아 특기할 만한 것이 없을 뿐. 터미널에 내려서 끼니를 때우고 싶으면 터미널을 오른쪽으로 끼고 뒤쪽으로 돌면 그런 대로 끼니 때울 곳이나 카페들이 있는 편이다.
4. 노후화
현 터미널 건물 자체가
1995년에 지어졌고, 단 한번이라도 이 터미널을 방문해본 자들은 터미널이 노후화 됐음을 알 수 있다. 그나마 탑승장 같은 경우엔 보수공사 등 상태가 나으나, 내부는 바닥부터 90년 중후반에 쓰이던 콘크리트 소재가 사용되었다. 시설 노후화 및 안전 장치 부재등으로 인해 '''2018년 9월경 낮은 버스 방지턱 (10cm 내외)으로 인해 버스가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그대로 의자에 앉아있던 시민들을 덮쳐서 결국 중학생 1명이 사망하고 시민 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로 인해 터미널 이전 추진이 가속화되었고,
거제시에서도 민간사업자 공모만 2번 공고하였으나, 사업 의향자는 없었다. 이로 인해 2020년 현재까지 미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20년 11월1일 3차 민간사업자 공모를 공고하였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