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고속

 

1. 개요
2. 왜 면허가 바뀌었나
3. 특징
4. 보유사
5. 전환고속 노선 목록[1]
5.1. 처음부터 고속버스였던 노선
5.1.1. 노선 신설에 처음부터 참여[2]
5.1.2. 타 사 노선 인수[3]
6. 관련 문서


1. 개요


원래 시외버스로 신설했지만 나중에 고속버스 면허로 전환된 노선을 부르는 말.

2. 왜 면허가 바뀌었나


고속버스국토교통부에서 인허가를 담당하는 노선이고, 한동안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회원사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을 의미했다.
그런데 1990년대 이후 시외버스 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 중 고속버스와 유사한 무정차 노선들이 건설교통부의 인가를 받아 고속버스로 운행을 하기 시작했다.[4] 이에 버스 동호인들은 이런 노선을 기존 고속버스와 구분하기 위해 '''전환'''고속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본래는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된''' 노선만을 전환고속이라고 칭했으나 이후에는 고속버스조합 비회원사가 운행하는 고속노선을 모두 통칭하는 뜻으로 의미가 넓어져서 처음부터 고속버스로 개통되어도 고속버스조합 비회원사가 운행하면 전환고속 노선이라 칭하는 편이다. 정부에서 직접 규정한 공식용어는 아니지만 국토교통부 민원답변이나 버스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이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으며, 국토부 홈페이지에 매년 게시하는 "고속버스 운행계통표"에서 회원사 외의 업체는 "전환업체" 라고 칭하고 있는 것이 그 예시 중 하나다.

3. 특징


정부에서 노선 인가를 고속버스로 받았기 때문에, 우등할증 및 심야 10% 할증이 가능하다. 그래서 전환고속버스는 일반형이면 운임인하 효과가, 우등형이면 운임인상 효과가 있다.
반대로 고속버스 노선이 시외버스 노선으로 전환되는 경우를 가리켜 전환시외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노선이 동부고속이 운행하는 서울경부-양양/속초 노선이다.[5]기존에 고속버스로 신설된 노선이었던 8115번은 고속버스 노선 규정이 100km 이상으로 바뀌면서 시외버스로 전환되었다.[6]
몇몇 노선은 100km 이상이 넘었는데도 중간 경유지가 없다던지, 같은 도시 내에 중간정류소가 없거나 1개 이하의 중간정류소가 있는 등 전환고속으로의 요건을 갖추었는데도 시외 직행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부천부산사상, 동서울밀양 노선 등이 대표적이며, 2015년 7월 15일에 신설된 북부정류장동부정류장해운대 노선도 전환고속 여건에 맞긴 하나 전환고속이 아닌 시외버스로 신설되었으며, 용계역 경유로 인해 전환이 불가능해졌다가 동부정류장으로 단축되고 다시 고속버스 요건에 다시 맞아졌지만 결국 우등형 시외버스로 운행하는 데 그쳤다. 금호고속 광주대구서부 노선 역시 고속버스의 조건을 만족하지만 대구 서부정류장이 시외버스 정류장으로 운영되고 있는 탓에 시외버스로 신설한 경우.
시외버스 업체에서 운영하는 노선이지만 법적 인가를 고속버스로 받았기 때문에 일반고속형 버스는 중고생 할인이 가능하지만, 우등고속형 버스의 중고생 할인이 불가능하다. 또한 서울남부-고현 노선처럼 일부 노선의 경우 일반고속형인데도 중고생 할인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승차권 예매 전산은 주로 코버스 전산을 이용한다. 그러나 코버스 전산을 이용하더라도 E-Pass 사용이 불가능한 노선도 있다.
시외버스 회사가 가지고 있는 고속버스 노선이라고 해서 전부 전환고속인 건 아니고, 몇몇 노선은 최초 개통 시부터 고속버스로 개통했다. 아래 항목 참조.

4. 보유사


  • 경기고속
  • 대원고속[7]
  • 경전여객
  • 경원고속
  • 금호고속[8]
  • 대한여객
  • 삼흥고속
  • (새)서울고속
  • 전북고속
  • 천일여객
  • 고려여객
  • 한양고속
  • 호남고속
  • 충남고속
  • 코리아와이드 경북
  • 금남고속
  • 중부고속

5. 전환고속 노선 목록[9]


  • 금호고속[F]
    • 구미 - 광주
    • 창원 - 광주[10]
    • 서부산(사상) - 여수[11]
    • 서부산(사상) - 광주[12]
    • 서울(호남) - 광양읍 - 동광양(중마동)
    • 서울(호남) - 완도[G]
    • 서울(호남) - 해남[G]
    • 서울(호남) - 진도[G]
    • 서울(호남) - 녹동[G]
    • 서울(호남) - 보성[G]
    • 전주(고속/시외) - 호남제일문 - 광주
    • 서울남부 - 세종
  • 코리아와이드 경북[13]
  • 경전여객
    • 대전 - 진주(고속/시외)
    • 대구(서부) - 진주(시외)
    • 대구(서부) - 삼천포
    • 천안(시외) - 마산(시외) - 창원[14]
    • 천안(시외) - 진주(시외)
  • 경기고속[16]
    • 동서울 - 구미
    • 동서울 - 충주
    • 서울(경부) - 영월[15]
    • 서울(호남) - 충주
  • 대원고속[17]
    • 동서울 - 충주
    • 서울(호남) - 충주
    • 서울(호남) - (기지시) - 당진
  • 대한여객
    • 서부산(사상) - 남원(시외)[18]
  • 삼흥고속
    • 천안(시외) - 진주(시외)
    • 서울남부 - 세종
  • 전북고속[A]

  • 천일여객[A]
    • 서울(경부) - 장유 - 김해[19]
    • 서울(경부) - 통영[20]
  • 충남고속[F]
    • 대전복합 - 서산[B]
    • 대전복합 - 당진[21][B]
    • 대전복합 - 태안[B]
    • 서울(호남) - (기지시) - 당진
    • 서울(호남) - 서산
    • 서울(호남) - 태안
    • 서울(호남) - 창기리 - 안면도
    • 서울(호남) - 정산 - 청양
    • 서울(호남) - 리솜스파캐슬 덕산 - 예산
    • 서울(호남) - 내포신도시 - 홍성
    • 서울(호남) - 보령[C]
    • 부천 - 서산[D]
    • 인천 - 서산[D]
    • 인천 - 태안[E]
    • 서울남부 - 세종
  • 한양고속[F]
    • 대전복합 - 서산[B]
    • 대전복합 - 당진[22][B]
    • 대전복합 - 태안[B]
    • 서울(호남) - (기지시) - 당진
    • 서울(호남) - 서산
    • 서울(호남) - 태안
    • 서울(호남) - 창기리 - 안면도
    • 서울(호남) - 보령[C]
    • 부천 - 서산[D]
    • 인천 - 서산[D]
    • 인천 - 태안[E]
    • 서울남부-세종
  • 금남고속
    • 서울남부-세종
    • 성남-대전복합
    • 성남-대전청사-유성
  • 중부고속
    • 서울남부-세종
    • 성남-대전복합
    • 성남-대전청사-유성

5.1. 처음부터 고속버스였던 노선



5.1.1. 노선 신설에 처음부터 참여[23]


  • 경기고속
  • 경남여객
    • 용인 - 부산
    • 용인 - 서부산(사상)
  • 경원고속
    • 서울(남부) - 거제(고현동)[24]
  • 금호고속
    • 서부산(사상) - 순천[25]
  • 대원고속
    • 부천 - 통영
    • 세종 - 부산
  • 서울고속[26]
    • 고양(백석동) - 화정동 - 충주
  • 고려여객
    • 성남 - 통영
  • 코리아와이드 경북

5.1.2. 타 사 노선 인수[27]


  • 경전여객
    • 대전 - 진주(고속/시외)(동양고속, 중앙고속으로부터 인수.[28])
  • 대원고속
    • 강릉(고속) - 대전(동부고속, 금호속리산고속으로부터 인수.[29])
    • 원주(고속) - 강릉(고속)
    • 춘천(고속) - 동대구
    • 춘천(고속) - 광주(유스퀘어)[30]
    • 용인 - 광주(유스퀘어)
    • 용인 - 부산
    • 용인 - 서부산(사상)
    • 용인 - 진주(고속)(이상 동부고속으로부터 인수.)
    • 대전 - 울산(고속)(삼화고속으로부터 인수.)

6. 관련 문서



[1] 오렌지색은 프리미엄 고속버스 차량이 운행하는 노선이다.[2] 서울남부-거제고현을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3] 대전-진주를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4] 그러니까 운행 회사는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회사가 아니지만 법적으로는 해당 회사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전혀 다른 점이 없다. 인가 주체 역시 동일.[5] 원래 경부 - 영동 경유였으나 소요시간에서 금강고속의 '동서울~속초시외' 노선과 경쟁이 되지 않자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홍천IC까지 고속도로로 운행하고 그 이후로는 44번 국도미시령터널 경유로 인가를 바꾸었다. 이에 고속버스 조건을 채우지 못하게 되면서 시외버스로 전환하였다. 동부고속에서는 이후 동서울-양양/속초 노선도 시외버스로 전환하였다.[6] 하지만 여전히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탑승할 수 있으며, E-Pass를 사용할 수 있다.[7] 경기고속보다 전환고속 노선, 차량 수가 더 많아서 KD 운송그룹 계열사 중 유일하게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에 가입하였다.[8] 고속버스 회사이지만 2팀(시외부)에서 전환고속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사상 ~ 광주, 부산사상 ~ 여천 ~ 여수, 전주 ~ 광주 노선 등이 해당되며, 이들은 1팀(고속부) 소속이 아닌 2팀 소속이다.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는 부산~광주 노선은 1팀 소속이며 위에 기재된 노선 전부 E-Pass사용이 가능하다.[9] 오렌지색은 프리미엄 고속버스 차량이 운행하는 노선이다.[10] 마산고속버스터미널 경유. 우등형 한정. 일반형은 김해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로 금호고속 2팀에서 운행, E-Pass를 사용할 수 없다.[11] 2010년에 고속버스로 전환하였다.[12] 2008년에 고속버스로 전환하였다. 이 노선은 2팀에서 운행, 프리미엄 마일리지 적립이 불가능하다.[G] A B C D E 1995년에 고속버스로 전환하였다. # 또한 현재 금호고속 1팀에서 운행하고 있다.[F] A B C 서울남부-세종을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13] 동대구-김해국제공항을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14] 2006년 개설 초기부터 시외 면허로 운행했으나, 2018년 11월 19일부터 중부고속 철수 및 전환고속으로 변경되었다.관련 게시글.[15] 서울(경부)발 한정으로 E-Pass 사용 가능[16] 동서울-충주/구미를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17] 동서울-충주를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18] 문화터미널남원에서 승, 하차.[A] A B E-Pass 사용 가능[19] 1998년에 고속버스로 전환하였다.[20] 1997년에 고속버스로 전환하였다.[B] A B C D E F 2017년 7월에 대전복합 ↔ 서산(2007년), 태안(2007년), 당진(2009년) 무정차 노선이 고속버스로 전환된 사실을 터미널에 통보하였다. 괄호 안의 년도는 실제 면허가 전환된 년도이다.[21] 일부 차량은 기지시 경유. 자세한 건 대전복합터미널 고속버스 시간표 문서 참조.[C] A B 서울호남발 한정으로 E-Pass 사용 가능[D] A B C D 서산발 한정으로 E-Pass 사용 가능[E] A B 태안발 한정으로 E-Pass 사용 가능[22] 일부 차량은 기지시 경유. 자세한건 대전복합터미널 고속버스 시간표 문서 참조.[23] 서울남부-거제고현을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24] 장승포 ~ 서울남부 노선은 고현노선과는 달리 시외직행 노선으로 통영, 고성을 경유하며, 고현을 경유하지 않는다.[25] 정확히 말하자면 부산사상-순천 시외노선중 무정차 시간대를 고속버스로 분리해 놓은 것이다. 지금도 광양을 경유하는 노선, 순천을 경유한 뒤 전라남도 다른 지역으로 가는 노선이 절찬리에 운행되고 있다.[26] 고양발 한정으로 E-Pass 사용 가능. 공동배차하는 중앙고속은 양방향 E-Pass 사용 가능.[27] 대전-진주를 제외한 노선 E-Pass 사용 가능[28] 정확히 말하면 동양고속과 중앙고속이 공동배차로 운행을 했으며 동양고속이 먼저 철수하게 된다. 이후 중앙고속이 운행을 중단한 이후 다시 노선을 재개해 운행하다가 나중에 중앙고속마저 경전여객에 운행분을 넘기면서 경전여객에 모든 권한이 돌아갔다. 그런데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경전여객도 90년대 말에 시외버스를 고속버스로 전환하였으나 시외 요금으로 저렴하게 운행하여 고속버스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을 뿐이다.[29] 정확히 말하면 동부고속 운행분을 인수하여 한동안 금호속리산고속과 공동배차 하다가 나중에 금호속리산고속마저 대원고속에 운행분을 넘기면서 대원고속에 모든 권한이 돌아갔다.[30] 덕택에 춘천고속버스터미널에서 분명 고속버스터미널인데 승차 홈에 가보니 시외버스 회사의 차량으로 도배된 모습도 종종 볼 수가 있다. 다만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당초 노선 자체가 대구 행과 광주 행 뿐이라서 이런 일이 가능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