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해
1. 소개
발해의 제14대[1] 가독부이자 국왕. 전임자 대현석과 후임자 대인선과의 관계는 알 수 없다.
19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역사서에 기록되지 못한 인물이었으나 1940년 중국의 역사학자 진위푸(金毓黻, 김육불)가 당회요(唐會要)에서 그의 이름을 발견함으로써 발해의 역대 국왕 중 하나로 밝혀졌다.
2. 생애
사실 즉위년도가 몇 년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는데 발해 말기의 기록은 그만큼 심각하게 부족하다. 고구려는 신라는 물론 중국과 수백 년간 대립했으며 자체 기록도 후대에 전수된 정황이 있기 때문에 기록이 많이 남아 있는 편이지만 발해에 이르러서는 신라와 데면데면하고 당나라와는 조공 외교를 했을 뿐이고 발해를 무너뜨린 내분 및 요나라의 초토화 작전이 어우러지는 바람에 고조선이나 부여처럼 되고 말았다. 894년 일본에 배정(裵頲)을 파견한 것이 첫 등장이어서 이것으로 즉위년도를 추정하는게 다수이다. 이 배정이라는 인물이 882년 105인으로 된 대사절단을 일본에 보낼 때 사절단 대표로도 등장하여 실제 즉위는 882년경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882년 즉위설을 따를 경우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하면 886년 신라 헌강왕 재위 기간에 신라 북부 북진(北鎭)에서 보고하기를 “적국인(狄國人)이 진에 들어와 나무 조각을 나무에 걸어 놓고 돌아갔다.”고 말하면서 그 나무 조각을 가져다 바쳤다. 거기에는 “보로국(寶露國)과 흑수국(黑水國) 사람들이 모두 신라국과 화친하고자 한다.”는 열다섯 글자가 쓰여 있었다고 한다. 보로국과 흑수국은 지금의 북한 안변군 이북 지역에 살던 여진 계통 부락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들이 독립국인 것처럼 신라에 외교를 시도하는 것은 발해가 멸망하기 40여 년 전인 9세기 후반 대위해 재위 기간쯤 되면 발해가 신라와 인접했던 한반도 북부 지방에 대한 통치력을 잃어버린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2] 대위해 즉위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독립 상태인 것이 확인되는만큼 기존 왕실에 비해 왕위의 정통성이 떨어지는 인사가 아니었는가 추정된다. 이곳뿐만 아니라 다른 곳도 이미 대위해 시대에 발해 역시 신라의 후삼국시대처럼 지방 세력들이 독립해서 찢어지고 있었을 수도 있다.
897년 7월 발해의 왕자 대봉예(大封裔)가 하정사(賀正使)로 당나라에 들어간 사실이 최치원이 쓴 사불허북국거상표(謝不許北國居上表)에 기록되어 있다. 대봉예는 당나라와 외국 사신이 만나는 자리에서 신라 사신보다 발해 사신이 높은 자리에 서게 해달라고 요청했는데 당나라는 발해보다 신라와 교류가 많았기 때문에 거절했다. 사불허북국거상표는 이 사건이 신라에도 알려지고 신라 효공왕이 당나라 측에 고맙다는 메시지를 전한 것이다. 대봉예는 시기와 정황상 대위해의 아들로 생각되나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며 신당서에는 '장자는 부왕(副王)이라 하고 모든 아들은 왕자(王子)라 일컫는다.[3] '라는 구절이 있어 대봉예가 장자는 아닐 가능성이 높은데 장자였다면 왕자로 기록하지 않고 부왕이라 기록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사불허북국거상표는 신라 및 당나라의 입장에서 쓰였으므로 일부러 부왕 칭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고 반박할 수 있다.
905년 당나라에 오소도(烏炤度)를 파견하였으며 그 외에 내치에 관한 기록은 전무하다. 기록이 없기로는 손에 꼽히는 왕이기 때문에 시호도 전해지지 않는다.[4] 재위 기간도 10년이 넘었건만 휘인 위해(瑋瑎)조차도 예전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위계'로 잘못 표기된 경우가 많다.
언제 사망하였는지도 알 수 없고 대위해와 대인선 사이에 왕이 더 있었는지도 알 수 없지만 그는 후대에 즉위하는 대인선과 함께 배(裵)씨 세력을 중심으로 국정을 이끌었을 가능성이 높다. 문적원 자체는 송나라의 비서성이 발해에 맞게 개정된 것이고 6부의 상급 기관이자 귀족 회의 역할을 한 정당성이 882년을 기점으로 자취를 감추었다는 점은 신권이 소멸에 이를 정도로 몰락하여 전제 왕권이 확립되었고 이에 정상적인 국정 운영이 불가능해졌다는 것을 암시한다.[5] 886년 시점에 발해가 신라와의 접경 지역에 대한 통치 능력을 상실한 것과 신당서에서 대현석 이후의 국왕이 누락된 것도 이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 송막기문에서 언급된 발해판 대성팔족인 고(高)·장(張)·양(楊)·두(竇)·오(烏)·이(李)가 이 시점에서 사라지고 뜬금없는 배(裵)씨가 외교 사절단의 전면에 등장하며 부자가 50여 년 동안 하정사 지위를 독점하는 등의 정황을 보면 유추가 가능하다.
3. 《당회요》의 기록
乾寧二年十月. 賜'''渤海王大瑋瑎'''敕書. 翰林稱加官合是中書撰書意. 諮報中書.
건녕 2년(895년) 10월, 발해 왕 대위해에게 칙서를 내렸다. 한림은 가관합이 이 책서의 찬자라고 말했다. 책서를 참고할 것.
4. 연표
882년 겨울 문적원소감 배정 등 105명을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다 (대현석 시기?)
886년 말갈의 보로국과 흑수국이 신라에 화친을 요청하였다 (대현석 시기?)
894년 5월 문적원감 배정 등 105명을 일본에 사신으로 보냈다
895년 10월 당에서 대위해에게 칙서를 내렸다
897년 7월 아들 하정사 대봉예가 당 조정에 신라의 사신보다 높은 자리를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906년 국상 오소도를 당에 사신으로 보냈다. 오소도의 아들 오광찬이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906년 대위해가 죽고 대인선이 즉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