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강왕

 


'''시호'''
'''헌강대왕(憲康大王)'''
'''성씨'''
김(金)
''''''
정(晸)
'''부왕'''
경문왕
'''모후'''
문의왕후
'''형제'''
정강왕
'''자매'''
진성여왕
'''왕후'''
의명부인(懿明夫人)
'''왕자'''
김요(金嶢)
'''왕녀'''
의성왕후(義成王后)[1], 계아태후(桂娥太后)[2]
'''생몰년도'''
음력
(860년 9월[3] ~ 865년 4월[4]) ~ 886년 7월 5일 (21세 ~ 26세)
'''재위기간'''
음력
875년 7월 9일 ~ 886년 7월 5일 (11년)
1. 개요
2. 생애
3. 가계
4. 기타
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49대 국왕. 휘는 정(晸). 경문왕의 장자, 정강왕의 형, 진성여왕의 큰오빠로 3남매 왕위 계승의 1번째 인물이기도 하다. 신라 하대에서 드문 적장자 왕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독서를 좋아하여 한 번 눈으로 보면 모두 외웠다고 한다. 국학불교를 통해 후삼국시대에 접어들기 직전 불꽃을 태운 군주로써 신라의 안정을 이룩하려 했다.
자녀로는 서자인 아들이 1명 있어 훗날 효공왕이 되고 딸은 둘이 있는데 신덕왕의 왕비 의성왕후(義成王后)와 경순왕의 어머니 계아태후(桂娥太后).

2. 생애


헌안왕의 딸이자 경문왕의 왕비문의왕후 소생이다. 당나라에서 경문왕을 책봉할 때 원자의 존재를 알고 원자에게 비단 40필, 옷 1벌, 은그릇 1개를 내린 것이 865년 4월인데 태자 책봉은 약 1~2살의 나이에 시행되므로 헌강왕은 864년경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헌강왕 대에 따르면,

어느날 왕은 월상루에 올라가 민가를 바라보면서 시중 민공에게 묻기를, '''"내가 듣건대 지금 민간에서는 짚이 아닌 기와로 지붕을 덮고, 나무가 아닌 (연기가 나지 않는) 으로 밥을 짓는다 하니 과연 그러한가?"'''

민공은 "저도 일찍이 그렇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라고 대답하고, "왕께서 즉위하신 이후로 음양이 조화를 이루고, 바람과 비가 순조로워서 해마다 풍년이 들고, 백성들은 먹을 것이 넉넉하며, 변경이 안정되고, 시정이 즐거워하니, 이는 임금의 어진 덕으로 이루어 진 것입니다."

왕은 이에 즐거워하며 "이는 여러 신하들의 도움 때문이지, 짐에게 무슨 덕이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부분에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실제로 민간이 사치했다는 설도 있고[5] 보편적인 해석인 신라 귀족들의 사치를 설명하는 구절이라는 설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숯의 사용을 통한 공기 청정을 고려한 조상들의 지혜라거나 지나친 숯을 만들기 위한 벌목에 따른 산림 파괴가 신라 멸망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시기에 신라는 태평성대를 누린 것으로 보인다. 위의 숯이나 기와에 대한 비슷한 묘사 기록이 삼국유사에도 나오는데 서라벌의 영화로움을 표현할 때 자주 인용되는 구절이다.

제49대 헌강대왕(憲康大王) 때에는 성 안에 초가집은 하나도 없고, 집의 처마와 담이 이웃집과 서로 연해 있었다. 또 노랫소리와 피리 부는 소리가 길거리에 가득 차서 밤낮으로 끊이지 않았다.

다만 이러한 태평성대는 신라 수도인 서라벌 일대에 집중되었던 것 아닌가 추측하는 학자도 있다. 왜냐하면 헌강왕이 사망하고 불과 5년 후인 진성여왕 시기 지방의 세금이 오지 않기 시작해서 조정이 곤궁해졌다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 간단히 한 줄로 진압했다고 넘어가지만 재위 11년 기간 중 일길찬 신홍[6] 등의 반란도 있었다. 때문에 헌강왕 시기의 저 기록은 역사적 기록에 대한 비판적 독해가 필요하다는 예시로도 종종 인용된다. 태평성대 직후 난세라는 점에서 보자면 당나라의 개원지치와도 비교가 된다.
처용가가 만들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는 동쪽에서 모르는 4명이 만나서 을 췄는데 산과 호수의 정령이라고 사람들이 말했다고 전한다. 처용 전설의 원형으로 보여지지만 동쪽이라는 말을 통해 울산 지역에서 무역을 하던 아라비아 상인으로 판단해 처용 서역인 설도 존재한다. 이를 보면 확실히 신라 시대 국제 교역은 활발했던 것 같다.[7]
877년 바로 신라 말의 난세에 종지부를 찍는 인물인 태조 왕건송악에서 출생했다.
885년 당나라에서 유학 중이던 최치원이 헌강왕 치세에 귀국해서 자신이 당나라에서 썼던 계원필경을 비롯한 여러 을 헌강왕에게 바쳤다.
886년 봄에는 지금의 강원도 지역인 북진(北鎭)에서 보고하기를 “적국 사람이 진에 들어와 나무 조각을 나무에 걸어 놓고 돌아갔다.”고 말하면서 나무 조각을 가져다 바쳤다. 거기에는 “보로국(寶露國)과 흑수국(黑水國) 사람들이 모두 신라국과 화친하고자 한다.”는 열다섯 글자가 쓰여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북한 안변군 지역에 살던 여진족 계통 부락으로 추정한다고 한다. 신라뿐 아니라 북방의 발해 역시 이쯤 되면 통치력이 쇠퇴해 한반도 북부 함경도 지방은 발해의 영향력을 벗어나 사실상 말갈-여진 계통의 독립 상태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886년 음력 6월부터 병이 들어 몸이 건강하지 못하자 전국죄수들을 석방하고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열어 불경을 강론하기도 했으나 병이 심했던지 886년 음력 7월 5일 승하했다. 아버지 경문왕과 영화부인 김씨가 860년에 혼인했고 영화부인 김씨가 870년에 사망한 점 등으로 보아 많아야 20대에 요절했다. 아들로 훗날 효공왕에 오르는 김요가 있었지만 서자라 일단 이 때는 왕위 계승에서 배제됐으며 동생 김황이 즉위했으니 정강왕이다.
삼국사기에서는 보리사(菩提寺) 동남쪽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 산55에 있는 능을 헌강왕릉으로 비정하고 있다. 경주시 시내버스가 많이 다니고 남산(경주)등산할 때도 기점으로 많이 가는 통일전에서 300m~400m 정도 거리에 있어서 찾아가려고 하면 가기는 쉬운데 가는 길에 주차장을 거쳐 울창한 소나무 숲길을 거쳐야 한다. 300m 거리에 동생이자 다음 왕인 정강왕릉도 있으며 양식이나 크기는 거의 똑같은데 정강왕릉이 비교적 초라한 편이다. 1993년 왕릉 내부가 조사됐다.

3. 가계


  • 증조부: 희강왕
  • 증조모: 문목부인
    • 조부: 김계명
  • 진외증조부: 신무왕
  • 진외증조모: 정계부인
    • 조모: 광의왕태후
      • 부: 경문왕
      • 숙부: 김위홍
      • 고모: 김단의[8]
  • 외증조부: 김균정
  • 외증조모: 조명부인
    • 외조부: 헌안왕
    • 외조모: 헌안왕비
      • 이모: 차비 김씨
      • 친모: 문의왕후[9]
  • 측실: 의명왕태후
    • 아들: 효공왕
    • 며느리: 왕비 박씨[10]
    • 딸: 의성왕후
    • 사위: 신덕왕
    • 딸: 계아태후
    • 사위: 김효종

4. 기타


  • 삼국유사에 따르면 경주시 포석정에 행차했을 때 남산의 신령이 나타나 그에게 어무산신춤(무상심춤)을 가르쳐주었고 금강령의 북악 귀신도 옥도금을 가르쳐주었다고 한다. 보면 개운포에 나가서 처용을 만나기도 했다는 등 춤을 여럿 배운 듯하다. 이런 여러 면모 때문에 사실은 사치와 향략을 즐긴 암군이 아니었을까 하는 시각도 있다. 어쨌든 헌강왕 이후에는 신라가 통제력 약화로 지방에서 세금을 제대로 걷지 못해 서라벌의 재정이 궁핍해지고 대규모 반란이 일어나 후삼국시대로 접어들어 마지막 경순왕 때까지 시달렸으므로 헌강왕은 사실상 신라 역사상 마지막으로 그래도 제대로 한반도 전체에서 돌아가던 후기 신라를 다스린 왕이라고 볼 수 있다.

5.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신라본기 헌강왕'''
一年秋七月 헌강왕이 즉위하다
一年秋七月 위홍을 상대등에, 예겸을 시중으로 삼고 죄수들을 사면하다
二年春二月 황룡사에 백고좌를 설치하다
二年秋七月 당에 방물을 바치다
三年春一月 태조가 송악군에서 태어나다
四年夏四月 당 희종이 헌강왕을 책봉하다
四年秋七月 황소의 난으로 견당사 파견을 중지하다
四年秋八月 일본국 사신이 오다
五年春二月 국학에 행차하다
五年春三月 왕이 순행하다
五年夏六月 일길찬 신홍이 반역하다 목이 베이다
五年冬十月 왕이 준례문에서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五年冬十一月 왕이 혈성의 들에서 사냥하다
六年春二月 태백성이 달을 침범하다
六年 이찬 민공을 시중으로 삼다
六年秋八月 웅주에서 상서로운 벼이삭을 올리다
六年秋九月九日 월상루에서 왕과 시중 민공이 태평성세를 논하다
七年春三月 임해전에서 잔치를 베풀다
八年夏四月 일본국 사신이 방물을 진상하다
八年冬十二月 고미현의 여자가 남자 아이 셋을 낳다
九年春二月 삼랑사에 행차하다
十一年春二月 호랑이가 궁궐에 들어오다
十一年春三月 최치원이 당에서 돌아오다
十一年冬十月一日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十一年 당에 사신을 보내 황소의 난을 진압한 것을 축하하다
十二年 북진에서 적국인이 걸어 놓고 간 나무 조각을 바치다
十二年夏六月 왕이 병이 들자 죄수사면하다
十二年秋七月五日 헌강왕이 죽다
[1] 신덕왕의 아내.[2] 경순왕의 어머니.[3] 경문왕문의왕후의 혼인 시점.[4] 당나라에서 경문왕의 왕태자에게 하사품을 준 시점.[5] 이전 시점이지만 흥덕왕 시절에 골품에 따른 복식 구분을 시도한 기록을 보면 '평민 여성'은 '비단 치마 이하를 입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비단이 예나 지금이나 만만한 소재는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조치 이전에는 더 좋은 것을 입는 경우도 있었다는 것이다.[6] 신덕왕의 외할아버지 박순홍과 동일인이 아닌가 추정된다.[7] 임용한의 대중 역사서 <한국고대전쟁사>에서는 이런 설들을 종합시켜 헌강왕이 아라비아 상인 세력과 교역 협정을 맺으면서 이 들어와 경주시 일대의 경제 상황이 일시적으로 회복된 것이 헌강왕 대의 번영을 설명한다고 추정하기도 했다.[8] 역사서에는 나오지 않고 당대의 금석문에만 등장한다.[9] 헌안왕의 장녀이자 경문왕의 첫째 왕후로, 경문왕 들은 모두 그녀의 소생이다.[10] 박예겸의 딸이자 신덕왕의 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