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국왕
[clearfix]
1. 개요
덴마크 국왕은 덴마크 왕국의 국가원수로 입헌군주제이기 때문에 상징적 국가원수의 역할을 한다.
936년 즉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적으로 실재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전 덴마크 국왕인 고름 가믈리 왕부터 현재 재위 중인 마르그레테 2세 여왕까지 1000년 넘게 왕위를 계승해 온 덴마크 왕가는 21세기 현대까지 남아있는 군주국의 왕가들 중에서는 일본 황실에 이어 2번째로 역사가 긴 계보를 가지고 있다.[1] 물론 밑의 명단에서 보듯이 덴마크에서도 왕조가 바뀐 적은 많으나 덴마크의 왕조 교체는 왕가의 혈통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방계 계승이나 모계 계승으로 인해 성씨만 바뀐 것일 뿐이기 때문에 왕가의 혈통 자체는 1000년 넘게 계승되어 오고 있다. '''덴마크 왕실 계보도'''
2. 역대 덴마크 국왕
2.1. 크누트 왕조
2.2. 올라프 왕조
2.3. 에스트리드 왕조
2.4. 칼마르 연합
2.5. 올덴부르크 왕조
2.6. 글뤽스부르크 왕조#s-3
3. 관련 문서
- 마르그레테 2세
- 글뤽스부르크 왕조
- 칼마르 동맹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전설상 덴마크와 스웨덴의 국왕이었다고 하는 바이킹 왕. 역사적으로 실재가 확인되는 덴마크의 첫번째 왕인 고름 가믈리는 이 사람의 아들들 중 한명인 시구르드 오름 이 아우가(Sigurðr ormr í auga)의 손자라고 한다.
- 햄릿 - 전설상의 덴마크 왕자 암레트(Amleth)의 이야기를 소재로 함
[1] 사실 21세기 현대까지 남아 재위하고 있는 왕실들 상당수는 근현대 들어서야 왕위에 오른 신흥 왕가들이 많고 덴마크나 일본처럼 매우 오래된 왕가가 지금 현대까지 국가의 군주로서 재위하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대의 군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드 왕조나 요르단의 하심 왕조 등도 가문 자체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들이 '왕'이 된 것은 20세기 이후이다. 즉 '왕실로서의 역사'는 상당히 짧은 것. 예를 들어 하심 가문은 아랍의 유서깊은 명문가이긴 했으나 이들이 아랍 반란으로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을 선포하고 헤자즈 왕국을 수립하여 왕위에 오른것은 1916년이고 그 이전의 하심 가문은 독립국의 군주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오스만 황제에게 메카의 태수로 임명받은 지방관일 뿐이었다. 역사가 오래된 유서깊은 왕가들(합스부르크 왕조, 오스만 황실, 솔로몬 왕조 등)은 혁명 등 격동의 역사 속에서 대부분 폐위되어 왕위를 상실했다.[2] 그는 고름의 아버지였다고는 하나 그 실체가 확실하지는 않다. 덴마크에서 실존이 확실한 최초의 왕은 그 아들인 고름이다.[3] 또는 크누드 3세.[4] 스벤 3세, 크누드 3세 공동 즉위, 1146년 ~ 115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