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grethe II'''
|
|
'''이름'''
| 마르그레테 알렉산드리네 토릴두르 잉리드 (Margrethe Alexandrine Þórhildur Ingrid)
|
'''출생'''
| 1940년 4월 16일 (85세) 덴마크 코펜하겐 아말리엔보르 성
|
'''신장'''
| '''180cm'''
|
'''재위'''
| 덴마크의 여왕
|
1972년 1월 14일 ~ 현재
|
'''배우자'''
| 헨리크 드 몽페자트 (1967년 결혼 / 2018년 사망)
|
'''자녀'''
| 프레데리크, 요아킴
|
'''아버지'''
| 프레데리크 9세
|
'''어머니'''
| 스웨덴의 잉리드
|
'''형제'''
| 베네딕트, 아네마리에
|
'''서명'''
| [image]
|
1. 소개
본명: '''마르그레테 알렉산드리네 토릴두르 잉리드(Margrethe Alexandrine Þórhildur Ingrid)'''
생애
1940년 4월 16일 ~ (85세)
재위기간:
1972년 1월 14일 ~ (재위 53주년)
마르그레테 2세는 현임
덴마크 국왕이다.
2. 상세
1940년 4월 16일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9세와
스웨덴 공주
잉리드 사이에서 출생하였고,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와는
8촌 자매 관계이고,
하랄 5세 노르웨이 국왕과도 6촌 남매 지간
[1]이다.
장녀였던 그녀는 정식으로 후계자 수업을 받았고,
1972년 부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프랑스의 귀족 집안 출신인 헨리크와
1967년 결혼해
프레데리크 왕세자와 요아심을 낳았다.
부군 헨리크 공은 프랑스 출신의 몽페자(프랑스어) 또는 몬페자트(덴마크어) 가문 사람이다. 덴마크의 계승법에 따라 왕조의 이름을 유지할 수도 있고, 왕조의 이름이 몬페자트 왕조로 바뀌게 될 수도 있다.
개인적인 능력으로 그래픽, 일러스트, 번역 분야의 전문가이기도 하다.
톨키니스트로,
반지의 제왕 덴마크판은 마르그레테 2세가 직접 번역 및 일러스트 작업에 참여했다고 한다.
[image]스마우그 일러스트. 이게 마르그레테 2세의 그림솜씨다.
2007년에
노무현 대통령의 초청으로 한국을 국빈방문한 바 있다.
창덕궁을 관람하며 그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8년 2월 13일, 마르그레테 2세 국왕의 부군인 헨리크 공이 별세하였다.
#골초왕으로도 유명하다. 공개 석상에서나 언론과의 노출에서나 늘 담배를 물고 있어 언론에서 아이들 교육에 안 좋다는 식으로 압박이 들어오자 부군인 헨리크 공이 '정치적 올바름에 기반해 성인의 자기 결정권을 방해하지 말라' 고 옹호해준 일도 있다.
고령의 할머니임에도 불구하고 덩치가 매우 크다. 이 때문에
큰 할머니에 대한 개그 소재로 쓰이기도 한다.
3. 가족관계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마르그레테 2세 (Margrethe II)
| 프레데리크 9세 (Frederik IX)
| 크리스티안 10세 (Christian X)
|
프레데리크 8세 (Frederik VIII)
|
스웨덴의 루이세 공주 (Princess Louise of Sweden)[2]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알렉산드리네 (Alexandrine of Mecklenburg-Schwerin)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 (Frederick Francis III, 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
러시아 제국 여대공 아나스타샤 미하일로브나 (Grand Duchess Anastasia Mikhailovna of Russia)[3]
|
스웨덴의 잉리드 (Ingrid of Sweden)
|
구스타프 6세 아돌프 (Gustaf VI Adolf)
|
구스타프 5세 (Gustav V)
|
바덴의 빅토리아 (Victoria of Baden)[4]
|
코넛의 공녀 마거릿 (Princess Margaret of Connaught)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Prince Arthur, Duke of Connaught and Strathearn)[5]
|
프로이센의 루이제 마르가레타 공주 (Princess Louise Margaret of Pruss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