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조

 





/ Dynasty


1. 개요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 직위(왕위, 제위)를 세습하는 가문 또는 그 가문이 다스리는 국가를 말한다.
원칙적으로 왕국일 경우는 왕조, 제국일 경우는 황조(皇朝)라고 해야 할 것 같지만, 한국어에서 왕(王)은 작위로서의 왕 뿐만 아니라 황제를 포함한 군주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왕조라고 통칭한다. 한국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일본에서 황조라 하면 중국 음식점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유럽의 영국, 프랑스 등과 같이 국가 자체는 변하지 않으면서 가문만 바뀌는 경우에는 가문의 성씨나 이름을 따서 윈저 왕조, 부르봉 왕조 등으로 부르지만[1], 동아시아의 중국, 한국 등과 같이 가문의 교체가 곧 기존 국가의 해체와 새로운 국가의 수립인 경우에는 원(元) 왕조, 조선 왕조 등 국호를 그대로 왕조의 이름으로 부른다. 동아시아의 경우 '왕조=국가'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예외적으로 한국사의 신라는 국가 내부에서 왕가만 김씨 왕조, 박씨 왕조, 석씨 왕조가 여러 번 교체되기도 하였으며, 베트남도 동아시아 문화권임에도 x씨 왕조로 통용되는 편이다.[2]
보통 군주제 국가는 군주 직위를 혈통 중심으로 세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군주의 혈통에는 일종의 정통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웬만큼 큰 일이 없는 한은 군주 가문이 아닌 자가 군주 직위에 오르지 못한다. 따라서 군주의 혈통이 바뀌었을 때는 그 나라에 커다란 정치적 변동(역성혁명, 이민족 정복자의 도래, 민중 봉기 등)이 있었다거나 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어 왕위계승권자가 완전히 없어지는 등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어 군주의 혈통이 바뀌었더라도 새 가문의 정치적 정당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뭔가 정치적 변동이 생길 가능성이 많다. 그 때문에 어떤 군주국의 역사를 왕조의 변경을 기점으로 분류하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국명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왕조만 바뀌는 경우. 단 군주제가 아니었거나, 군주는 존재했지만 군주는 명목상 권력자고 실질적 권력자가 따로 있었다거나 하는 경우(일본 등)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방법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왕조란 같은 성(姓)에 의해 세습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역성혁명이 극히 드문데다, 비록 혈연 관계가 있다 하더라도 방계나 여계(女系)에 의한 계승도 왕조 교체로 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조선 철종과 족보상 7촌간이었던 고종의 즉위도 서양의 일반적 시각에서는 왕조 교체로 간주되고, 프랑스의 카페 왕조-발루아 왕조-부르봉 왕조-오를레앙 왕조도 전통 동아시아적 시각으로는 같은 왕조로 볼 수 있다.
보통 국가 자체의 역사가 오래 가더라도 왕조의 역사가 1000년을 넘는 일은 드물다. 신라만 해도 박-석-김으로 국성이 바뀌었고 고대 이집트는 워낙 왕조가 많아서 숫자를 붙였을 정도다. 로마 제국의 경우 양자가 황위를 계승한 경우도 많았고... 그나마 왕조 교체설을 따르더라도 1500년 이상 간 일본 왕조는 덴노가 오랜 시간 동안 실권 없는 허수아비 상태였고 실권자인 쇼군은 몇 번이고 혈통이 바뀌었다.

2. 역사 속의 왕조



2.1. 동아시아



2.1.1. 한국



2.1.2. 중국



2.1.3. 일본


  • 일본 황실 : 역사를 통틀어 단일 왕조. 그야말로 가늘고 길게의 전형이다. [3]
  • 역대 막부[5]
    • 가마쿠라 막부 (미나모토후지와라친왕)[4]
    • 무로마치 막부 (아시카가)
    • 에도 막부 (도쿠가와)

2.1.4. 류큐



2.2. 동남아시아



2.2.1. 베트남



2.2.2. 인도네시아



2.2.3. 태국


  • 수코타이 왕조
  • 란나 왕조
  • 아유타야 왕조
  • 톤부리 왕조[6]
  • 짜끄리 왕조[7]

2.2.4. 라오스



2.2.5. 캄보디아


  • 크메르 왕조
  • 노로돔 왕조[8]

2.2.6. 미얀마



2.3. 남아시아



2.3.1. 네팔



2.3.2. 부탄



2.3.3. 인도



2.4. 중동



2.4.1. 페르시아


  • 아케메네스 왕조
  • 아르사케스 왕조[10]
  • 사산 왕조
  • 부와이 왕조
  • 호라즘 왕조
  • 백양 왕조
  • 흑양 왕조[11]
  • 사파비 왕조
  • 아프샤르 왕조
  • 잔드 왕조
  • 카자르 왕조
  • 팔레비 왕조

2.4.2. 아랍



2.4.3. 이집트



2.4.4. 마그레브



2.4.5. 튀르크



2.4.6. 이스라엘



2.4.7. 시리아




2.4.8. 현대



2.5. 유럽



2.5.1. 로마 제국



2.5.2. 프랑크 왕국


  • 메로빙거 왕조
  • 카롤링거 왕조
    • 로베르 왕조 (Robertiens) : 본래 파리 백작가(Comte de Paris)로 서프랑크 왕국 후반기에 카롤링거 가문과 왕위를 두고 경쟁하였다. 이후 서프랑크계 카롤링거 왕조가 단절되면서 서프랑크의 왕위를 독점하게 된다. 하단의 카페 왕조 문서 참조

2.5.3. 프랑스


  • 프랑스 왕국
    • 카페 왕조[12][13]

2.5.4. 독일



2.5.5. 영국



2.5.6. 네덜란드


  • 오라녜나사우 왕조[14]

2.5.7. 벨기에


  • 벨기에 왕조[15]

2.5.8. 룩셈부르크


  •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16]

2.5.9. 모나코


  • 그리말디 왕조[17]

2.5.10. 이탈리아



2.5.11. 러시아



2.5.12. 폴란드



2.5.13. 보헤미아



2.5.14. 헝가리



2.5.15. 루마니아



2.5.16. 불가리아



2.5.17. 세르비아



2.5.18. 알바니아



2.5.19. 그리스



2.5.20. 에스파냐


  • 트라스타마라 왕조
  • 아라곤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보르본 왕조[18]

2.5.21. 포르투갈


포르투갈계 카페-부르고뉴 가문인 보르고냐 왕가부터 그 뒤를 이은 아비스 왕가, 아비스 왕가의 사생아가 시조인 브라간사 왕가까지 모두 카페 왕조의 시조, 위그 카페의 자손들이기 때문에 이들 역시 Capetian dynasty (카페 계열의 왕조/카페 왕조)의 구성원으로 본다.

2.5.22. 덴마크


  • 고름 왕조
  • 올덴부르크 왕조
  • 글뤽스부르크 왕조[19]

2.5.23. 스웨덴


  • 문쇠 왕조
  • 스텐실 왕조
  • 스베르케르 왕조
  • 에리크 왕조
  • 바사 왕조[20]
  •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 헤센-카셀 왕조
  • 홀스타인-고토르프 왕조
  • 베르나도테 왕조[21]

2.5.24. 조지아



2.5.25. 아르메니아


  • 예르반드 왕조
  • 아르탁세스 왕조
  • 아르샤쿠니 왕조
  • 마미코니안 왕조
  • 바그라투니 왕조[22]

2.5.26. 오스만 제국



2.6.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솔로몬 왕조 (에티오피아)
  • 메리나 왕조 (마다가스카르)
  • 들라미니 왕조 (스와질란드)
  • [23]

2.7. 아메리카


  • 브라간사 왕조 (브라질)[24]
  • 이투르비데 왕조 (멕시코)
  • (미국)

3. 전설 속의 왕조



4. 묘호 왕조(王祖)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전안(田安)[25]
왕조(新王祖)[26]
제북민왕
(濟北愍王)
-
왕망 추존

5. 가공의 왕조



6. 관련 항목



[1] 이 경우는 왕조 대신 '왕가'라는 표현도 많이 쓰인다. 영어로는 카페 왕가 본가와 카페 왕조와 부계로 이어진 방계 가문인 발루아 왕가와 부르봉 왕가는 통칭 프랑스 왕가 (House of France), 위그 카페의 모든 후손들은 통칭 카페 왕조 (Capetian Dynasty)라고 한다. 카페 왕조에는 포르투갈 국왕이나 나폴리 국왕, 양 시칠리아 국왕, 라틴 황제 등 위그 카페의 후손이 가졌던 모든 작위가 포함된다.[2] 베트남은 10세기 리 왕조이래 19세기 초반 응우옌 왕조 초창기까지 대월(大越. Đại Việt)이라는 국호를 사용하였다.[3] 이는 일부 기간을 제외한 일본 역사상 대부분의 기간 동안 천황에게 실질적 권력이 없었기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당대의 권력자 입장에서는 천황 자리를 빼앗아봤자 괜한 반발만 불러올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4] 실권을 쥔 싯켄(執權)직은 미나모토가의 외척인 호조씨가 독점·세습했다.[5] 막부를 왕조로 보고 천황교황 같은 상징적 존재로 보는 견해도 있다. 물론 에도 막부 멸망 이후에 천황에게로 다시 권력이 돌아가긴 하지만...[6] 1대에 그쳤으며, 창건자의 이름을 따서 탁신 왕조라고도 한다.[7] 태국의 현 왕실이다. 수도를 방콕에 두어 방콕 왕조라고도 한다.[8] 현재 캄보디아의 왕가.[9] 노예 왕조에서 로디 왕조까지를 델리 술탄 왕조라고 칭한다.[10] 유목민족인 파르니족이 세운 왕조.[11]호라즘 왕조, 백양 왕조, 흑양 왕조는 튀르크 계통이다.[12] 이들은 모두 부계로 위그 카페의 직계 자손이었으며, 본성(本姓)은 카페(Capét)였다. 위그 카페의 즉위 전 작위인 프랑크 공작 (Dux Franciae)에서 유래한 명칭인 프랑스 왕조(House of France)라고도 하였다.[13] 샤를 4세를 마지막으로 단절되는 카페 왕조 직계는 House of Capét로, 위그 카페의 모든 자손들은 Capetian dynasty로 구분하며 Capetian dynasty에는 포르투갈계 부르고뉴 가문, 아비스 가문, 브라간사 가문, 스페인 보르본 왕가 등도 포함된다.[14] 네덜란드의 현 왕실. 룩셈부르크 대공을 겸하기도 하였다.[15] 벨기에의 현 왕실.[16] 룩셈부르크의 현 대공가. 더 정확히는 현재 룩셈부르크의 대공가는 부르봉-파르마 가문이나 부르봉-파르마 가문 출신의 첫 대공인 장 대공이 자신의 아들들의 결혼을 본가의 수장이 귀천상혼이라 지적하자 이에 반발하여 모계 성씨로 자신들의 성을 갈아버렸다. 이후 룩셈부르크 대공가와 부르봉-파르마 가문은 화해하긴 했으나 가문명은 계속 나사우-바일부르크으로 사용하고 있다.[17] 모나코의 현 대공가[18] 에스파냐의 현 왕실.[19] 덴마크의 현 왕실. 노르웨이의 현 왕실이기도 하며 그리스아이슬란드 국왕을 배출하기도 하였다.[20] 폴란드 왕을 배출하기도 하였다.[21] 스웨덴의 현 왕실. 1814년부터 1905년까지 노르웨이의 국왕도 겸하였다.[22] 조지아의 바그라티온 왕조와 같은 가문이다.[23]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흑역사. 해당 항목 참조.[24] 1921년, 전 황태녀 이사벨 사후(死後) 오를레앙브라간사 왕조로 바뀜[25] 제왕건의 손자다.[26] 출처.[27] 동물의 형태와 동작을 응용한 권법을 사용하는 남자들만의 집단. 동물의 특성을 강하게 하기 위해 대대로 여러 짐승들을 주천향낭익천에 빠트려서 여자로 만들고 결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