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용문
1. 고사성어
1.1. 겉 뜻
'용문'에 오른다', 또는 '용으로 올라가는 문'의 의미[1]
1.2. 속 뜻
주로 입신양명의 관문으로, 성공하기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되는 관문을 일컫는다.
1.3. 유래
어원은 후한서에서 등장. 환관이 득세하여 어지러운 와중에도 고결함을 유지하던 관료 이응이란 자가 있었는데, 그의 추천을 받은 젊은이들이 이를 영광으로 여겨 "이응의 추천을 받는것은 '''용문'''을 오르는 것과 마찬가지다"로 비유한 데서 이른다고 한다.
'''용문'''이란 황하 상류 협곡의 문인데[2] , 물고기가 이를 통과하면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기 때문에 이에 비유한 것.[3]
다시말해 이응의 추천을 받는것은 물고기가 '''용문'''을 오른 것이고, 이로 인해 출세하는 것을 물고기(젊은 관료)가 용(출세)이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이른 것이다.
허나 아이러니하게도 실제 역사에서 이 등용문에 오른 자들 대부분은 당고의 금 사건 때 환관들 때문에 피를 보았다.
1.4. 대한민국에 실존하는 등용문
'''볼드체는 출세를 넘어 사회 최고위층 진입이 확정되는 길이다.'''
- 경찰대학, 사관학교[4]
- 다국적 기업의 간부후보생, 대형 투자은행[5] ,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사모 펀드[6] , 헤지펀드[7]
- 독립적으로 사무실 개업이 가능한 전문자격증[8]
-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각종 선거에 출마해서 당선(지방선거 포함)[9]
- 창업 후 코스닥, 코스피 상장[10][11]
- 법학전문대학원[12]
-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13]
1.5. 기타
1.6. 같이보기
2. 재수학원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대입기숙학원으로 비 브랜드 학원들 중에서는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는 편. 약칭 DYM(Dream Your Miracle)이라고도 한다. 사관학교, 경찰대학, 그리고 SKY(대학교) 등 명문대학 입시에서 매년 합격자들을 배출하는 성과를 보인다.
생활관리의 경우 융통성 없다고 느껴질 만큼 대체로 엄격한 편. 사실 생활담임 선생과 그들의 그날 기분 나름이지만.
국영수 강사들의 채용에 있어서 SKY를 고집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수학과의 경우 전 강사가 서울대 출신이다.''' 어차피 학원에서 강의하고자 하는 SKY 출신도 널렸고 SKY 출신조차도 들어가지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지만 꽤나 고집스러운 선택이다. 탐구영역의 경우 주로 인강 강사들이 출강하는 편이며, 그 때문인지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이종길 선생님께서 버티고 계시니 10년은 걱정이 없다 기뻐라. 참고로 수학 강사 중 한 명이 정치인 이인제의 친척이다. 얼굴이 똑같이 생겼고 목소리만 다르기 때문에 금방 알아본다.
반 편성은 학원 자체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우수반과 일반반으로 크게 나뉜다. 그런데 사실상 우수반과 일반반 학생들의 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봐도 될 정도.
원내 식당을 직영 체제로 운영하기 때문에 학생들뿐만 아니라 강사들도 급식에 대해 만족하는 편이다.
2020년부터 고시학원으로 변경하여 더 이상 수능 대비 수험생을 받지 않는다.
3. 이윤열의 별명
프로게이머 이윤열의 별명.
[1] 유래를 보면 전자의 의미에서 나온 것이지만, 후자의 방식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한문문장 특성상 품사의 구분이나 해석 순서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뉘앙스 차이가 보인다. 사실 이정도라면 의미는 비슷해서 그나마 양반이고, 각종 한문문장을 보면 품사 하나나 순서를 잘못 해석하면 뜻이 아예 달라지는 경우도 수두룩하다.[2] 낙양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이궐이라고도 불린다. 그 유명한 룽먼 석굴이 위치한 곳[3] 이 전설이 잉어킹→갸라도스 진화의 모티브가 된다. (더 넓게 보면 빈티나→밀로틱도 여기 해당될지도.)[4] 다만 군대, 경찰이라는 특성상 적성을 많이 탄다.[5] 프론트오피스/퀀트 한정[6] 상위권 업체 한정[7] 상위권 업체 한정.[8] 이 쪽은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다. 대형로펌 변호사와 하위권 자격증과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개인의 영업능력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9] 난이도는 5급 공무원 시험보다 더 극악하지만 한번 당선되면 국회의원은 말할 것도 없고, 기초의원이라도 꽤 준수한 위치에 오르게 된다.(정치인 문서의 '권력' 문단으로.) 참고로 기초의원이 공무원 급수론 5~4급이고, 광역의원은 3~2급이다. 여기서부턴 어지간한 금수저들도 함부로 못한다. 참고로 잘 찾아보면 젊은 나이(20대 중후반~30대 초반)에 광역자치단체의원을 맡은 사람이 꽤 된다.[10] 헤지펀드가 아무리 많이 번다해도 이 경우에 비하면 그냥 평범한 수준이다.[11] 코넥스와 K-OTC 같은 경우엔, 경우에 따라 다르다.[12] 다만 최근 들어서는 위상이 좀 떨어졌다. 대한민국 문과계열 진학자 희망 진로 1순위가 판사라는 타이틀도 깨진지 오래다.[13] 아직까지도 대한민국 이과계열 진학자 희망 진로 1순위가 의사다.[14] 이 역시 등용문에서 유래된 일본의 풍습이다.[15] 등용문 고사에서 유래한 포켓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