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와 다이치/덱

 



1. 개요
2. 프로토 타입
3. 물속성
3.1. OCG화 된 카드
3.2.1. 아모르퍼스 베리어
4. 땅속성
5. 7번째 덱
6. 쥬다이 전 이후 덱
6.1. OCG화 된 카드
6.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6.2.1.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
7.1. OCG화 된 카드
7.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1. 개요


[image]

"내 진짜 덱은 여기에 있다! 봐라! 내 지혜와 혼을 담은 여섯 가지 덱을! '''바람''', 빠르기를 바람과 같이. '''물''', 고요히 흐르기를 물과 같이. '''불''', 침략하기를 불과 같이. '''땅''', 움직이지 않기를 땅과 같이. '''어둠''', 악의 어둠에 '''빛'''이 비춘다!"[1]

유희왕 GX 12화 中

유희왕 GX의 등장 캐릭터인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한 카드를 모아놓은 문서.
초기에는 6속성 덱을 전부 갖고있다고 공언하며 덱 케이스를 당당히 보여주었지만, 정작 본편 중에 제대로 나온 건 물속성과 땅속성뿐이다. 그리고 나중에 해파리와 싸우기 위해 7번째 덱을 제작.
오프닝에는 워터 드래곤과 같이 나오던 붉은 용이 있었는데 결국 맥거핀으로 남았다. [2]

2. 프로토 타입


듀얼 아카데미아 입학 테스트에서 사용된 덱.
이후 만죠메 쥰이 그와 듀얼로 승부하기로 날 전에 몰래 바다에 던져버리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지만[3], 본인 말로는 시험용으로 급하게 짠 덱이라고 한다.

3. 물속성



3.1. OCG화 된 카드


작중 제일 먼저 나온 덱. 희생자는 노스교에서 갱생받기 전의 만죠메 쥰. 덱 컨셉은 워터 드래곤을 뽑아서 상대의 화염속성이나 화염족 몬스터들을 개발살내는 타입이다. 물론, 워터드래곤 소환을 위해서 바람속성 몬스터인 옥시게돈이 들어가 있다.

3.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함정 카드
    • 아모르퍼스 베리어

3.2.1. 아모르퍼스 베리어


[image]
한글판 명칭
'''무정형의 방어막'''
일어판 명칭
''' アモルファス・バリア'''
영어판 명칭
'''Amorphous Barrier'''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하고, 상대가 공격선언을 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배틀 페이즈를 종료시킨다.
공격 무력화의 하위호환이라 OCG화는 요원해보인다.

4. 땅속성


마그넷 워리어시리즈. 무토우 유우기가 썼던 그 3마리와는 다르다. 하지만, 아래의 놈들이 OCG화 되지 않아서 실제 게임에서는 그 알파, 베타, 감마를 다시 쓴다. 마그넷 워리어 참조.

5. 7번째 덱


유우키 쥬다이에 대적하기 위해 제작된 특수 덱. 이 덱을 만드는 데 왜 미적이나 복잡한 산수공식을 쓰는지는 불명.

5.1. OCG화 된 카드


  • 마법 카드
    • 이중마법[4]
    • 본딩-H20
    • 욕망의 항아리
    • 리빙 파슬
    • 리트머스 죽음의 의식
    • 거룡의 도약
  • 함정 카드
    • 봉인 마법의 저주 x2[5]
    • 파괴륜[6]
    • 스피릿 베리어

5.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함정 카드
    • 라스트 마그넷[7]

6. 쥬다이 전 이후 덱


직접적으로 어떤 덱인지 언급은 없었다만, 이전의 카드들을 섞은 짬뽕으로 보인다. 아마 화이트 썬더와 듀얼을 할 때 및 사이오의 쫄병시절에도 이 덱을 쓴 것으로 추정.

6.1. OCG화 된 카드




6.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6.2.1.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


[image]
[image]
카드 일러스트
유희왕 듀얼링크스
한글판 명칭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
일어판 명칭
'''プラズマ戦士(せんしエイトム'''
영어판 명칭
'''Plasma Warrior Eitom'''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번개족
3000
2500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필드 위에 존재하는 레벨 7 이상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한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상대 플레이어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이 때 상대 라이프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82화의 만죠메전에서 선보인 카드. 이후 84화에서 한 번 더 사용되었다. 사족으로 태그 포스 3에선 히어로 버전에도 이 카드가 꼭 들어가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2019년 7월 17일 업데이트로 추가.

7. 유희왕 GX/코믹스


코믹스에서는 요괴족이라고 나왔지만, 실제 OCG화 된 카드들은 언데드족 등으로 개조되었다. 종족을 늘리고 싶지 않은 코나미의 계획인 듯 하다. 뭐, 실제로 종족이 많아도 지원받는 종족은 극히 드물기도 하고. 게다가 언데드족이 되어서 다른 언데드족 카드와 연계, 지원이 되니 윈윈이라고 볼 수 있겠다.

7.1. OCG화 된 카드



7.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몬스터 카드
    • 효과 몬스터
      • 까마귀 탱구 [8]
      • 긴 꼬리 흑마
      • 누리카베
      • 다이다라봇치
      • 음마나귀
      • 잇탄모멘
  • 마법 카드
    • 기기괴괴
    • 원령의 안식
    • 원한의 소태도
    • 원념집결
  • 함정 카드
    • 요괴 너구리의 나뭇잎
    • 천둥의 회오리 항아리
    • 백귀야행
    • 생자의 말로
    • 시라누이의 흔들림[9]
    • 원령의 집념
    • 요마원군
[1] 풍림화산의 문구에서 따온 표현.[2] 일단 워터 드래곤과 함께 나오고 초기 미사와 다이치의 컨셉이 과학이었던 걸 생각하면, 뭔가 불과 관련된 화학적인 반응을 상징하는 카드들로 소환되는 몬스터였을 가능성이 높다.[3] 쥬다이가 이를 따지자 자신의 카드를 버린 것 뿐이라며 뻔뻔하게 둘러댔지만, 버려진 카드에는 미사와가 수식들을 낙서해놓았기에 안 통하는 변명이었다.[4] 봉인 마법의 저주의 코스트로 사용되었다.[5] 쥬다이와 듀얼할 때 융합에 체인을 걸어 융합을 봉쇄했다.[6] 카보네돈의 효과 발동시 묘지에 있는 카드로 확인되었다.[7] 자신의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 상대 몬스터의 장착 카드가 되어 공격력을 800 포인트 내린다.[8] 실제 OCG에 있는 동명의 일반 몬스터와는 다르다.[9] 어쩌다보니 모티브가 같아서 포함된 경우. 일단, 한자 표기도 가나도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