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

 



1. 개요
2. 목록
2.1. 카드군
2.2. 몬스터 카드
2.3. 마법 카드
2.4. 함정 카드
2.5. 기타


1. 개요


유희왕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에선 등장했으나 실제 OCG화되지 않은 카드들의 목록을 모아 놓은 문서. 이 목록은 수많은 카드들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예정이다. 다만, 10기로 들어서면서 코나미가 미 OCG화 카드의 실제 발매에 좀 더 적극적으로 바뀌었고 11기부터 애니메이션이 러시 듀얼로 넘어갔기 때문에 미OCG화 카드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에 들어갔다.
애니에서는 OCG 밸런스니 뭐니 하는 게 없는 데다, 대다수의 카드들이 희소성을 지니고 있기에[1] '''그대로 OCG화되면 밸런스를 붕괴시킬 수 있는 카드들이 상당히 많다.''' 물론 정반대로 OCG화하면 도저히 써먹을 수 없는 카드들도 많고. 그래서 아예 OCG화하지 않거나 OCG화할 때 여러 조정을 거쳐 출시한다.
라이딩 듀얼이나 액션 듀얼에서 등장한 카드처럼 애니 고유 요소 때문에 현실에서는 아예 출시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아니면 그냥 발매해도 상관 없는데 코나미가 까먹은 경우나 카드 발매 일정 문제까지, OCG화 되지 못하는 이유는 실로 다양하다.
애니메이션을 보지 않는 순수 OCG 유저들에게는 무의미한 것 같고, 애니메이션을 보더라도 발매되지 않을 것 같아 넘기는 사람들이 많지만, 오리컬코스 슈노로스어드밴스드 다크 등 갑자기 OCG화되어 뒷통수를 치는 카드들도 있다. 특히 컬렉터즈 팩에선 애니에서 주력을 맡은 카드들뿐만 아니라 온갖 카드들이 수록된다.
또한 유희왕 태그 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이 카드들 중 많은 수가 게임판으로나마 OCG화 되어 등장하므로, 게임 유저들은 그쪽 위주로 참고할 수도 있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의 미 OCG화 카드에 대해서는 이 문서를,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의 미 OCG화 카드에 대해서는 이 문서를 참조. 카드이미지의 경우 제작진이 올려서 공개하는 경우도 있지만 북미 코나미가 작중에서 나오지 않는 미공개 카드 일러스트를 풀어버리는 경우도 존재한다.
자세한 목록은 여기에

2. 목록



2.1. 카드군


특정 카드군 전체가 OCG화되지 않은 경우, 또는 1~2종의 카드만 OCG화된 경우.
  • ∞ (인피니티)
  • C (카오스)
  • CC
  • DT(다크 튜너)
  • D 스케일
  • G 골렘
  • NO (뉴오더즈)
  • V[2]
  • 펜듈럼 스태츄
  • 거츠 마스터
  • 고블린(유희왕)
    • 고블린 무답대
    • 하프 고블린
    • 고블린의 교섭인
  • 군문(아미 모스키토)
    • 아미 모스키토 블러드 포스
    • 아미 모스키토 블러드 코만도
  • 낙서수
  • 너구리
  • 네크로
  • 누메론[3]
  • 다크니스[4]
  • 다크 머미
  • 다트 슈터
  • 돌 파츠
  • 드론
  • 마스크드 나이트
  • 모터 웜
  • 바리안즈
    • 바리안즈 게이트 웨이
    • 바리안즈 배틀 버스터
  • 버터플라이
  • 보찰[5]
  • 비트론
  • 비스트보그
  • 타키온
    • 타키온 드라이브
    • 타키온 리프레시
    • 타키온 다운 풀 캐논
    • 오버 타키온 유닛
  • 손 프리즈너
  • 솔리드 로이드
    • 솔리드 로이드 α
    • 솔리드 로이드 β
    • 솔리드 로이드 λ
  • 생아발론[6]
  • 섀도우
  • 스피릿 테크 포스
  • 스트레인
  • 스톰라이더
  • 아머
  • 안티
  • 아르마투스 레기오
  • 어드밴스드 보옥수
  • 오리컬코스[7]
  • 연금수
  • 온보로보
  • 지박
  • 천륜[8]
  • 카레
  • 쿡메이트
  • 크로스 오버
  • 클리어[9]
  • 토이
    • 토이 엠페러
    • 토이 솔저
    • 황제의 대관식
    • 지옥징수관 토이치[10]
  • 토폴로지나
  • 하이드라이브
  • 하트 몬스터[11]
  • 핵 바이러스
  • 화이트 워리어즈
  • 화이트 나이츠[12]
  • 헬리크스
  • 히든 나이트
    • 히든 나이트 후크
    • 히든 나이트 다크
  • 호프[13]
    • 호프 하트비트
    • 라이징 호프

2.2. 몬스터 카드


카드군에 소속되지 않은 몬스터, 또는 카드군 중 일부 카드가 미 OCG화된 경우.

2.3. 마법 카드



2.4. 함정 카드



2.5. 기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듀얼리스트 킹덤의 우승자에게 주어진 카드. 이를 받은 무토우 유우기레베카 홉킨스와 듀얼 후 그녀에게 선물했다.
  • 일루전의 열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에 등장한 카드로, 도마단에 의해 신변에 위협을 감지한 페가수스 J. 크로포드무토우 유우기에게 비디오 편지와 함께 동봉한 카드. 그 실체는 인더스트리얼 일루전의 입장에 필요한 보안키였다.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사용한 카드 중 하나. 게임에서 패배한 상대의 혼을 가두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며, 봉인된 자의 혼이 카드 일러스트에 새로 나타난다. 원작에서는 실제 감옥처럼 철창이 달려있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배경만 묘사되어있다. 작중에서는 무토우 스고로쿠, 카이바 모쿠바, 카이바 세토의 혼이 봉인되었다. 유희왕 R에서는 텐마 야코도 사용해 마자키 안즈의 혼을 봉인했다.
  • 신디아
페가수스 J. 크로포드의 약혼자 신디아의 생전 모습이 그려진 카드.
[1] 예를 들어 푸른 눈의 백룡이 4장뿐이라든가, 이름없는 용들이 선택된 자들만 사용 가능하다든가.[2] V 샐러맨더 제외[3] 몬스터 제외.[4] 다크니스 디스트로이어다크니스 네오스피어 제외.[5] 정확히는 카드군은 아니고, 카드명에 보찰宝札(ほうさつ)이란 단어가 들어간 카드의 집합. 반드시 루비로 ほうさつ라고 달려 있어야 한다. 운마물 전용 카드인 행운 구름도 일본명은 宝札雲이라고 표기하지만, 루비로 럭키 클라우드라고 달려 있기에 정확히는 보찰 카드가 아니다.[6] 마법/함정 한정[7] 결계, 슈노로스 제외.[8] 일부 카드 제외.[9] 클리어 바이스 드래곤, 클리어 월드 제외.[10] 이름 부분이 トイ로 겹친다.[11] OCG에서는 이름 자체가 소멸한다.[12] OCG에서 정식으로 등장하진 않았지만 환상수의 카드들의 이들의 효과와 동일하다.[13] 하위 카드군인 희망황 호프 쪽이 먼저 정식 카드군화되었다. 호프 카드군의 경우 아무래도 웜 호프의 존재 때문인지 엑시즈 몬스터 한정으로 지정되고 있다.[14] 초 고대 1기 카드인 까마귀 탱구와는 이름만 같은 다른 카드다.[15] 레벨이 달린 시리즈가 아닌 코믹스에서 만죠메가 사용한 오리지널 몬스터[16] 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유우기한테 패배하고 잠깐 지나가는 카드.[17] GX 오프닝에 나온 워터 드래곤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는 몬스터로 생김새는 워터 드래곤의 불버전이다. 모습외에는 아무것도 나오지않아 이름조차 불명. 워터드래곤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기에 명칭이 파이어 드래곤인 화염속성의 드래곤족(or 화염족)이고 워터 드래곤과 비슷한 소환방식을 가지지 않았을까 추측만 되고있다. 후에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이 이와 비슷한 전철을 밟을 뻔 했지만 다행히 주인공기화되지않고 끝까지 활약하면서 완결이 얼마 남지않은 시점이긴 하지만 등장하는데 성공했다.[18] 일반 마법, 상대 묘지에서 몬스터를 소환 가능한 만큼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파괴될 때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600 내린다.[19] 패를 전부 버리고 발동. 덱에서 1장 드로우하고 그 카드가 마법 카드였을 경우 패에서 발동한다.[20] 신비의 모노리스와 동일한 효과. 사실상 이름만 바뀐 카드다.[21] 어둠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을 3배로 하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장착 마법. 원작의 어둠의 에너지와 같은 효과를 지녔지만 어둠의 에너지가 DM시즌이 애니화되기전에 이미 OCG에서 공수 300 올리는 악마족 전용 장착 마법으로 나와있던터라 오리지널 카드로 대체한듯 하다.[22] 속공 마법, 양쪽 플레이어는 배틀 페이즈 중에 파괴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여 배틀 페이즈를 실행한다. 일러스트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와 궁극의 티라노가 결전을 치루고 있다.[23]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상대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발동할 수 있다.[24] 빛의 피라미드에서 나온 일반 함정 카드, 상대 필드 위의 세트된 카드를 자신의 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다.[25] 지속함정으로 몬스터를 소환할 때 마다 소환한 몬스터 레벨 수 만큼 소환자의 덱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 쥬다이와 싸운 X의 덱 파괴 카드의 핵심.[26] 같은 이름의 필드 마법인 퓨처 비전과는 별개의 카드다. 효과는 융합을 코스트로 덱에 있는 모든 네오 스페이시언들을 묘지로 보내는 것.[27] 라펠이 사용. 양쪽 플레이어는 릴리스 횟수를 1턴에 1번으로 한다.[28] 카운터 함정, 상대가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발동했을 때, 그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무효로 한 데미지의 배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29] 다츠가 사용, 효과로 오리컬코스 슈노로스거울의 힘 드래곤을 강제로 전투를 실행하게 했다.[30] 빛의 피라미드에서 나온 지속 함정 카드. 공격력 500 이하의 몬스터를 상대가 파괴할 때 상대 덱에서 무작위로 10장을 묘지로 보낸다.[31]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그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32] 후지와라 유스케가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