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달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동구 을)'''
''선거구 통합''
강신성일[9]

'''제17대
박창달'''[10]

제17~20대
유승민

'''한국자유총연맹 역대 총재'''
제10대
권정달

'''제11~13대
박창달'''

제14대
김명환

<colbgcolor=#e61e2b><colcolor=#fff> '''성명'''
박창달 (朴昌達)
'''출생'''
1946년 3월 17일 (78세)
경상북도 영일군[1]
'''거주지'''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본관'''
구산 박씨#
'''학력'''
대구 계성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 / 학사)
영남대학교 (행정학 / 석사)
'''소속 정당'''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5, 16, 17
'''SNS'''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1. 소개
2. 경력
3. 정치 활동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정치인이다.

2. 경력


  • 제11,12,13대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 새누리당 국책자문위 정세분석위원장
  • 미래실버청년연구원 이사장
  • 계성학교총동창회 회장
  • 늘푸른한국당 대구시당위원장

3. 정치 활동


박근혜 대통령을 1998년 대구 달성군 지역구로 이끌어 정계 진출을 성공시킨 주역이다.
29세에 민주공화당 입당 이후, 탈당 및 이적이 단 한번도 없었던 유일한 정치인이'''었'''다.
15대 총선에서 전국구 26번으로 출마하였지만 너무 순번이 뒤쪽에 있어서 당연히 낙선...했는데 임기 다 끝나가는 2000년 3월에 현역 윤원중 전국구 의원이 탈당하면서 의원직을 승계, 3달짜리 국회의원직을 수행했다. 물론 15대 국회 막바지여서 아무런 의미도 없었다.[2] 대신 16대 총선에서 안정권인 15번을 받고 당선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탄핵역풍 속에서도 자신이 영입한 박근혜가 당 대표가 되면서 텃밭 대구 동 을 지역구 공천을 받아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1년 반여만에 의원직 상실되었다. 그리고 그의 지역구는 바로 유승민이 차지하게 된다. 이후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의 8.15 특사로 사면복권되었지만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는 이미 지났다. 사면복권되기 전에는 당원이 될 수 없기에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당원이 아니어도 할 수 있는 후보 및 유세단 경호 등에 참여했다.
사실 박근혜 영입을 주도했다곤 하지만 정작 박근혜가 거물 정치인으로 성장한 이후에는 친박계보에 속하지 않고 친이계에 속했다. 이명박의 중학교 4년 후배기도 하고 이재오와 친밀하게 지냈다. 19대 총선에서는 자신의 지역구였던 대구 동 을에 유승민이 버티고 있었기에 대신 대구 중/남 지역구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친이계라고 김희국에 밀라 탈락, 이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으나 느닷없이 불출마를 선언하고 자유총연맹 회장직을 맡게 된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당시 위(청와대, 즉 이명박 대통령)에서 자유총연맹 회장직을 제안해 어쩔 수 없었다고.''' 실제로 이념적 성향은 극우가 아니라고 한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공천 신청을 했으나 탈락, 불복하고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였으나 새누리당 곽상도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동열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3선 의원이지만 실제 수행임기는 6년이 채 안된다. 온전히 4년 임기를 수행한건 16대뿐이고, 15대는 3개월, 17대는 1년 3개월이다. 그나마 17대는 공직선거법으로 당선 자체가 무효된 것이어서 엄밀히 말하자면 선수로 쳐줄수도 없다.[3]
늘푸른한국당 대구시당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나 늘푸른한국당이 해산되면서 자유한국당에 복당하였다.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
'''승계 (26번)'''
[4]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
'''당선 (15번)'''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동 을)



[5]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중·남)

11,256 (10.93%)
낙선 (3위)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75 - 1980
정계 입문

1980 - 1981
정당 해산

1981 - 1990
창당

1990 - 1995
합당[6]

1995 - 1997
당명 변경

1997 - 2012
합당[7]

2012 - 2016
당명 변경

2016 - 2017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2017 - 2018
창당

2018
자진 정당 해산

2018 - 2020
복당

2020
합당[8]

2020 -
당명 변경

6. 둘러보기





[1]경상북도 포항시[2] 이 문제는 16대 국회에서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의원이 '''2004년 5월'''에 사퇴하여 '''임기가 1달도 안되는 의원'''이 탄생하여 다시 문제제기되었고, 이후 잔여임기가 얼마 안남은 비례대표 의원이 자격을 상실 혹은 사퇴할 경우에는 승계하지 않도록 법이 바뀐다.[3] 물론 언론 등에선 정치인들이 당선무효가 된 선수도 그냥 포함시켜 카운팅해주기는 한다.[4] 2000.3.8 승계(윤원중 의원 탈당으로 승계)[5] 2005.9.15 의원직 상실 (공직선거법 위반)[6]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7]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8] 자유한국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