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남구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3.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


대구광역시의 역사를 함께한 원도심 지역에 해당하는 선거구로 중구남구를 관할한다.
개표 방송에서 대구 지역 선거구 중 가장 먼저 등장하는 곳으로, 1990년대까지는 서울의 종로구처럼 대경권 정치 1번지로 불렸으나[1] 2010년대 들어 대구의 부촌이기도 한 수성구 갑 선거구에서 민주당 소속 김부겸의 당선으로 과거보다는 대구 정치 1번지로서의 위상은 꽤 떨어졌다.[2] 그렇다고 해도 중구가 대구의 중심지이기도 하고 박준규, 이만섭 전 국회의장의 선거구였기도 한 역사가 있어서 아직까지는 대경권 정치 중심지로 간주되기는 한다.
이 지역구 출신 거물로는 유승민 전 의원의 아버지인 유수호 전 의원[3]박준규국회의장, 이만섭국회의장이 있다. 즉 이 지역구에서만 2명의 국회의장을 배출해 낸 셈이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곽상도 의원이다.
이 선거구는 대구의 번화가이자 원도심 지역인 중구, 그리고 구시가지 내 주거지와 주한미군 부대(캠프 워커, 캠프 헨리, 캠프 조지) 등 군사지역[4]이 있는 남구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원도심 지역이 그렇듯 이 지역은 고령자의 비중이 높고, 그렇기 때문에 부산 서구·동구부산 중구·영도구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중구의 도심공동화에 따른 인구미달로 17대 총선부터는 남구와 합구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수성구 갑, 북구 갑, 북구 을, 달서구 을보다는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원도심인데도 불구하고, 이 곳은 대구경북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성이 약한 선거구로 손꼽힌다. 보수성이 약한 이유가 수성구 갑, 북구 갑, 북구 을, 달서구 을처럼 젊은 인구가 많이 거주해서, 외지인 유입이 많아서가 아니라, 이 지역구에서 17대 총선 이래로 계속 활동하고 있는 이재용 덕분이다. 이재용은 과거 구미 페놀 사태 당시 시민 대표로써 활약하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대구 남구청장에 당선되어 재선을 했으며 이후 노무현을 지지하며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에서 활동하며 노무현 정부에서 환경부장관을 지냈다. 즉, 이재용 개인에 대한 지지율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율보다 더 높다는 것이다.
만일 이재용이 아니더라면 여타 대도시권 원도심, 특히 '''대구·경북 원도심'''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그 정도도 득표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현재 중구와 남구 모두 곳곳의 오래된 주택가를 철거하고 신축아파트로 재개발 중이라 장기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
[image]
중구·남구 관할 구역
중구 일원[대구중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총선
당선자
당적
임기
선거구
13대
유수호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중구
이정무
남구
14대
유수호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중구
김해석

남구
15대
박준규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중구
이정무
남구
16대
백승홍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중구
현승일
남구
17대
곽성문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중구·남구
18대
배영식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김희국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곽상도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2020년 5월 30일 ~

3. 역대 선거 결과



3.1. 17대 총선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곽성문'''
'''한나라당'''
'''78,226'''
'''63.06%'''
'''1'''
'''당선'''
3
이재용
열린우리당
41,621
33.55%
2
낙선
4
이수만
자유민주연합
696
0.56%
4
낙선
5
신영섭
민주노동당
3,498
2.82%
3
낙선
선거인수
212,536명
투표수
125,425
무효표수
1,384
투표율
59.01%

3.2. 18대 총선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박형룡
통합민주당
3,041
3.27%
5
낙선
'''2'''
'''배영식'''
'''한나라당'''
'''44,716'''
'''48.13%'''
'''1'''
'''당선'''
3
곽성문
자유선진당
11,430
12.3%
3
낙선
4
이인선
민주노동당
1,505
1.62%
6
낙선
6
유정화
평화통일가정당
1,471
1.58%
7
낙선
7
박헌경
무소속
10,590
11.4%
4
낙선
8
이재용
무소속
20,151
21.69%
2
낙선
선거인수
211,644명
투표수
93,822
무효표수
918
투표율
44.33%

3.3. 19대 총선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희국'''
'''새누리당'''
'''58,425'''
'''56.87%'''
'''1'''
'''당선'''
2
김동열
민주통합당
8,829
8.59%
3
낙선
3
조병기
자유선진당
927
0.90%
5
낙선
5
김태훈
창조한국당
781
0.76%
6
낙선
6
이재용
무소속
27,448
27.61%
2
낙선
7
박영준
무소속
5,809
5.65%
4
낙선
8
김상인
무소속
508
0.49%
7
낙선






사퇴
선거인수
207,975
투표수
104,232
무효표수
1,505
투표율
50.12%

3.4. 20대 총선


'''중구-남구'''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곽상도(郭尙道)'''
'''새누리당'''
'''62,483'''
'''60.67%'''
'''1'''
<color=#373a3c> '''당선'''
2
김동열(金潼烈)
더불어민주당
23,188
22.51%
2

5
최창진(崔暢陳)
노동당
4,306
4.18%
4

6
김구(金九)
무소속
1,747
1.69%
5

7
박창달(朴昌達)
무소속
11,256
10.93%
3

선거인수
209,601
투표수
105,135
무효표수
2,155
투표율
50.15%
현역 김희국 의원이 컷오프당하고, 친박 곽상도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

3.5. 21대 총선


'''중구·남구'''
중구 일원[5], 남구 일원[6]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재용(李在庸)
39,732
2위
더불어민주당
31.01%
낙선
'''2'''
'''곽상도(郭尙道)'''
'''86,470'''
'''1위'''
'''미래통합당'''
'''67.49'''%
'''당선'''
'''7'''
정재홍(鄭載洪)
1,920
3위
국가혁명배당금당
1.49%
낙선
'''계'''
'''선거인 수'''
201,074
'''투표율'''
64.62%
'''투표 수'''
129,936
'''무효표 수'''
1,814
중구와 남구 지역에서 지역구 관리를 하던 이재용 후보와 재선을 도전한 곽상도 후보의 대결이다. 결과는 더블스코어 이상 차이로 승리, 이로써 20대 총선보다 득표율이 더 높아졌다.
그래도 이재용 후보가 이름값이 있었기에 이재용 후보 개인은 17대 총선 다음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얻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대구광역시 전체를 통틀어서 더불어민주당이 30% 이상의 득표율을 얻은 곳이 여기와 동구 을, 수성구 갑, 대구 북구 을 외에는 없다. 다른 지역구들은 민주당 의원이 현역이거나 외지인 유입이 많은 곳들이다.

[1] 중구 선거구 한정.[2] 이 선거구에 유수호가 있었다면, 수성구 갑에는 박철언이 있었다.[3] 정치인 가문은 맞지만 세습선거구의 사례는 아닌데, 유승민은 유수호가 불출마 한 이후 한참 뒤에 대구 동구 을 선거구에서 출마했다. 이전에도 한국개발연구원 등 정치하고는 먼 직장에서 근무했다.[4] 이 때문에 선거 때마다 후보들이 미군기지 이전과 관련한 공약들을 내세우기도 한다. # #[대구중구] 중구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대구남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5]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6]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