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부 소드 걸
'''バンブーソード・ガール'''
[image]
BEMANI 시리즈의 라이센스 수록곡. GUMI 5th Anniversary party Presented by BEMANI 이벤트를 위해 제작된 cosMo@폭주P의 신곡이다. 폭주P의 곡들이 그랬듯이 일러스트와 BGA 제작도 폭주P 본인이 담당.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재미있는 패턴, 귀여운 BGA로 수록 직후부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코믹마켓 86에서 발매된 cosMo@폭주P의 앨범 BPM200以上はおやつに含まれますか?(BPM200이상은 간식에 포함되나요?) 에 Extended version이 수록되었으며, 이후 정규 3집 For UltraPlayers에도 Ryu☆의 리믹스와 함께 수록되었다.
풀버전 기준. 게임 수록 버전의 가사는 볼드 처리하였다.
공식 BGA
SPA 영상
싱글 어나더는 난잡한 폭타보다는 빠른 속도의 계단으로 밀어붙이는 채보이다. 특히 최후반의 고속 대계단에서 말리지 않게 주의. 스크래치 견제 또한 상당히 잦아 게이지를 유지하는데 애로사항으로 작용한다. 전체적으로는 11레벨 중위권 정도로 평가받는 편.
비기너 난이도는 beatmania IIDX 22 PENDUAL에 추가되었다.
관련 칭호
EXT 패턴 영상
EXT EXC 영상
곡 난이도는 레벨 10 중에서도 중하위권에 속하는 편이지만, 초반부의 기습트릴과 긁기패턴에 콤보가 끊기거나 중후반부의 동시치기[4] 와 고속의 폭타 에서 콤보가 끊기기 쉽다. 그러나 이 부분을 제외하면 채보 자체는 단순한 편이라 스코어링은 쉬운 축에 든다.[5] 그러나 저 고속의 폭타가 매우 난해해서 엑설런트 난이도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dola와의 난이도를 비교하자면 개인차가 좀 갈린다.
'これは Pen ですか? Tom ですか? それとも SHINOBI ですか?' 라는 가사에서 P, T, S 모양의 패턴이 나온다.
어드밴스 패턴은 익스트림의 패턴을 약화시킨 패턴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일단 곡의 BPM이 208이나 되는 관계로 패턴 처리시 손을 빠르게 움직여 주어야 한다.
하지만 어드밴스 패턴의 묘미는 최후반, 익스트림 후반의 고속 폭타구간인데, 어드밴스에서는 무지막지한 가로 슬라이드가 펼쳐진다. IX어드밴스 패턴처럼 가로 슬라이드에 취약한 유저는 이부분에서 줄그렛이 날 위험이 있다.참고로 어드밴스레벨은 Idola의 어드밴스레벨보다 1높다.
풀콤보 영상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삭제되었다.
처음 수록되었을 때 BGA가 한 마디 일찍 재생되는 버그가 있었지만 7월 3일 업데이트로 수정되었다.(아래 동영상 참고)
ESP+EDP 영상
EXPERT 난이도의 경우 상당한 체력을 요구하는 구성이며, 특히 더블의 경우 16을 줘도 무방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려운 편.
CSP 영상
싱글 챌린지는 DDR A20 PLUS에서 추가되어 라이센스곡 사상 최초로 18레벨을 부여받았다.
CDP 영상
드럼 MASTER 채보 영상
전 기종 중 유일하게 Idola보다 죽도소녀의 난이도가 높은 기종이었으나, 이후 사운드 볼텍스에 두 곡의 HVN 패턴이 추가되며 유일하지는 않게 되었다.
드럼 마스터 채보의 난이도가 9.50으로 Holding On과 함께 판권곡 최고 난이도인데, 노트수는 1639개로 Holding On보다 적지만 그래도 무지막지한 물량에 고속연타, 재빠른 손이동을 요구하는 필인 등의 난해한 요소로 이 곡이 더 어렵다는 평이 많다. 덕분에 수록 당시엔 BEMANIWiki에서는 9.60~9.70정도의 사기 난이도라고 칭해졌고, 사실상 LEMON & SALT 드럼 마스터와 함께 OVERDRIVE의 양대 드럼 보스곡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
이후 GITADORA Tri-Boost에서 드럼 마스터가 9.50에서 9.65로, 기타 마스터가 8.60에서 8.80으로, 베이스 마스터는 8.40에서 [6] 8.70으로 승격하면서 사기 난이도 평가를 받던 '''모든 마스터 채보'''가 난이도가 승격했다. 이것으로 명실상부하게 '''모든 비마니 시리즈의 모든 판권곡 중 가장 난이도 MAX에 근접한 최고난이도곡'''의 지위를 확보.[7]
GITADORA Matixx에서 드럼 마스터 난이도가 9.70로 추가 재조정되었고, 그 결과 당시 현역 가동 중인 모든 BEMANI 판권곡 중 가장 높은 난이도를 달성했다.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채보 제작자는 PHQUASE로, 명의가 ver.1.5라서 그런지(...) For UltraPlayers의 열화판 채보가 중간중간 등장한다. 초반부와 후반부는 롱놋 섞인 고속의 폭타, 중반부는 노브와의 복합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어 종합적인 처리력을 요구하는 곡이다. 클리어 난이도는 중위권 정도 되지만, 스코어링 난이도는 좀 더 내려가는 편. 이 점은 Idola하고 비슷하다. 그리고 UC 방지 구간이 적어,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UC도 비교적 쉬운편.
HVN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2018년 9월 13일 BLASTER GATE로 HVN 패턴이 추가되었다. 18레벨로 나올 것이라는 많은 유저들의 예상을 깨고 '''19레벨'''로 공개되었으며, VOCALOID 곡 최초의 19레벨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게 되었다.
패턴의 경향성은 전체적으로 BT와 FX가 복잡하게 섞인 폭타와 동시치기, 기습적인 축연타 등으로 몰아치는 형태이다. ウバワレ GRV와 유사한 형태의 롱노트를 동반한 나선 계단, BT A+D 동시치기에 FX칩을 여기저기 끼워넣은 특이한 동시치기 등 처리하기에도 분석해 뵈기도 난해한 패턴이 군데군데 들어가 있어 잔실수를 많이 유발한다. 또한 빠른 계단 원핸드와 복잡한 폭타가 섞인 후살이 굉장히 강력하므로 마지막에 다 잡은 클리어를 놓칠 수도 있다. 후살부분에 16비트 간격으로 양손을 움직여 양노브를 돌려야 하는 준무리수준 고속 손이동 패턴이 나오므로 유의할 것. 중반에 나오는 죽순 형태의 노브는 직각 노브만 처리해도 전부 이어지니 참고.
난이도와는 별개로 패턴에 대한 평가가 전례가 없을 정도로 나쁘다. 애초에 보컬곡 고레벨이란 타이틀 자체가 이런 곡이 아니면 대부분 억지스러운 패턴이 되고 장르 자체의 느낌과도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기피되는 편이며 심지어는 앞에서 언급한 곡마저도 18레벨로 그쳤지만 이 곡이 19레벨이 되었다는 것 자체로도 반감을 갖는 요소가 된다. 패턴 자체로도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거의 없다시피한 잔박자에까지도 필요 이상으로 폭타를 쑤셔넣어 채보가 지나치게 난잡해 보이며 , 특히 계단 원핸드 후살이 너무 억지스럽게 어렵다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이전에도 퀄리티 낮은 채보를 주로 제작해온 해당 이펙터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더욱 악평을 하고 있다. 이후 비비드 웨이브 시점까지 보컬로이드 19레벨은 두 곡(ラクガキスト, θコトノハθカプセルθ) 더 추가되었는데, 이들은 곡 자체도 고난이도에 걸맞고, 이펙팅과 패턴도 연주감을 크게 해치지 않은 선에서 나와 무난하게 괜찮은 평을 받았다.
EX 영상
EX보면은 투덱 SPA 채보와 비슷하게 계단이 메인인 채보로 곡 전반에 걸쳐서 여러 형태의 계단이 매우 자주 등장한다. 후살 속성도 가지고 있는데 이 또한 계단으로 208이라는 높은 BPM에 24비트로 떨어지는 초고속 계단이다. 또한 이런 빠른 템포의 곡임에도 쉴틈을 전혀 주지 않는 체력곡이기도 하다.
클리어 난이도는 꽤나 개인차가 있어서 입문을 이 곡으로 하는 사람도 있고 47 클리어메달이 90%가 넘도록 못 깨는 사람도 있다. 대략 47 중하급~중상급 정도라는 게 정설. 라피스토리아 가동 당시에는 (주로 일본에서) 48 수준의 불렙곡이라는 평가[9] 도 있었으나 헬위키 난이도 투표결과 중상급 (팝픈 에클라르 가동시점 기준 난이도지수 +0.185) 정도로 나와서 그런 평가는 많이 사그라들었다.
왜 중급 수준인 곡이 48급이라는 평가를 받았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유력한 이유로 추정되는 건 '''47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수준의 풀콤보/퍼펙트 난이도'''.[10] 클리어/풀콤보/퍼펙트 레이팅 사이트 통계 기준 풀콤보/퍼펙트 비율 모두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등장한 47짜리들 중 가장 낮다. 47에서 풀콤보/퍼펙트 하기 힘들다는 螺子之人, Mynarco, BEYOND THE EARTH 등과 같이 있는 수준.
그런데 문제는 '''이 풀콤보/퍼펙트 레이팅이 실제보다 훨씬 높게 나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보통 풀콤보/퍼펙트 레이팅은 플레이 데이터 등록인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떨어지는 경향성을 보인다.[11] 그런데 뱀부 소드 걸과 비슷한 레이팅에 위치한 47 풀콤/퍼펙 극악곡들은 등록인 수가 1300~1400명인데 비해, 뱀부 소드 걸은 등록인 수가 450명도 안 된다. 그래서 정확한 평가는 불가능하지만 최소한 현재 시점보단 풀콤보/퍼펙트 난이도에 있어선 더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합당하다. 대충 저 레이팅 사이트 기준 풀콤 난이도 7,8위인 ポルターガイスト나 スーパーモグー와 풀콤 난이도 3위인 maritare!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해 있다는 것으로 보는 게 무방할 것이다.
풀콤/퍼펙이 어려운 이유는 다른 47 풀콤 난이도 최상위 곡들이 그렇듯 변태같은 배치 탓이다. 패턴의 상당수가 16비트 이상이라 손꼬임이 엄청난데 중간중간의 한손트릴, 고속계단 등이 굿과 배드를 유발시킨다. 전체적으로 버릇이 들기 쉬워서 많이 하면 저주의 위험성도 있기에 피곤한데, 후반부가 노골적으로 배드가 나오기 쉬운 배치로 짜여져 있다. 헬위키에 올라온 본 곡의 채보 기준 75소절 좌우왕복 대계단은 높은 BPM과 맞물려 한 두 개씩 흘리기 쉬운 배치로 꽤나 악명이 높다. 그리고 이 곡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89소절~91소절의 16비트 이 빠진 계단 → 24비트 고속 왕복계단[12] 은 그냥 누르기도 힘들지만 버릇이 들기가 쉬워서 여러모로 요주의 구간이다. 89소절까지 노배드로 가다가 그 이후부터 6배드 이상이 나서 동★조차 따지 못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발생할 정도.[13] 빠르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어도 손이 못 따라간다. [14] 풀콤보를 하려면 상당한 핸드스피드가 필요하다. 47 풀콤을 노리는 플레이어라면 십중팔구 49 올 클리어 이상의 50레벨 러너 혹은 졸업자일테니 낼 수 있는 최대한의 속도를 내면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배치들 + 곡 전반에 깔려있는 애매한 박자의 패턴 때문에 풀콤보 난이도도 매우 높지만, 퍼펙트 난이도는 설명이 필요 없다. 그나마 판권곡인데도 키음이 있기에 박자감을 유지할 수 있어서 다행이지만 BPM 208에 16비트 이상의 고속계단을 올 그레이트 이상으로 넘기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이 곡의 풀콤보에 필요한 엄청난 핸드스피드에 더해 정교함까지 갖춰야 하므로 단단히 각오를 해야 한다.
N보면은 분명한 사기 난이도로, 29에게 힘든 패턴이 고속으로 쏟아진다. 체감 난이도는 적어도 30에 31까지 넘볼 수 있는 채보이므로 주의하자. 2016년 3월 22일 난이도가 32로 승격되었다.
하이퍼 또한 41레벨이지만 체감은 42 이상으로 올라가는 사기 난이도라고 한다.
Expert FC 영상
[image]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라이센스 수록곡. GUMI 5th Anniversary party Presented by BEMANI 이벤트를 위해 제작된 cosMo@폭주P의 신곡이다. 폭주P의 곡들이 그랬듯이 일러스트와 BGA 제작도 폭주P 본인이 담당.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재미있는 패턴, 귀여운 BGA로 수록 직후부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코믹마켓 86에서 발매된 cosMo@폭주P의 앨범 BPM200以上はおやつに含まれますか?(BPM200이상은 간식에 포함되나요?) 에 Extended version이 수록되었으며, 이후 정규 3집 For UltraPlayers에도 Ryu☆의 리믹스와 함께 수록되었다.
1.1. 가사
풀버전 기준. 게임 수록 버전의 가사는 볼드 처리하였다.
1.2. BGA
공식 BGA
2. beatmania IIDX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21 SPADA ~
- 단위인정 수록
- SPH : 6단 (25 CANNON BALLERS)
SPA 영상
싱글 어나더는 난잡한 폭타보다는 빠른 속도의 계단으로 밀어붙이는 채보이다. 특히 최후반의 고속 대계단에서 말리지 않게 주의. 스크래치 견제 또한 상당히 잦아 게이지를 유지하는데 애로사항으로 작용한다. 전체적으로는 11레벨 중위권 정도로 평가받는 편.
비기너 난이도는 beatmania IIDX 22 PENDUAL에 추가되었다.
3. 유비트 시리즈
관련 칭호
- 유비트 소서 풀필 ~
- これはPen[3] ですか?Tomですか? (이것은 Pen인가요? Tom인가요?) : 모든 보면 클리어
- 定時には必ず帰る 我らがバンブーソードガール (정시에는 반드시 돌아가는 우리들의 뱀부 소드 걸)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EXT 패턴 영상
EXT EXC 영상
곡 난이도는 레벨 10 중에서도 중하위권에 속하는 편이지만, 초반부의 기습트릴과 긁기패턴에 콤보가 끊기거나 중후반부의 동시치기[4] 와 고속의 폭타 에서 콤보가 끊기기 쉽다. 그러나 이 부분을 제외하면 채보 자체는 단순한 편이라 스코어링은 쉬운 축에 든다.[5] 그러나 저 고속의 폭타가 매우 난해해서 엑설런트 난이도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dola와의 난이도를 비교하자면 개인차가 좀 갈린다.
'これは Pen ですか? Tom ですか? それとも SHINOBI ですか?' 라는 가사에서 P, T, S 모양의 패턴이 나온다.
어드밴스 패턴은 익스트림의 패턴을 약화시킨 패턴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일단 곡의 BPM이 208이나 되는 관계로 패턴 처리시 손을 빠르게 움직여 주어야 한다.
하지만 어드밴스 패턴의 묘미는 최후반, 익스트림 후반의 고속 폭타구간인데, 어드밴스에서는 무지막지한 가로 슬라이드가 펼쳐진다. IX어드밴스 패턴처럼 가로 슬라이드에 취약한 유저는 이부분에서 줄그렛이 날 위험이 있다.참고로 어드밴스레벨은 Idola의 어드밴스레벨보다 1높다.
4. 리플렉 비트 시리즈
풀콤보 영상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삭제되었다.
5. 댄스 댄스 레볼루션
처음 수록되었을 때 BGA가 한 마디 일찍 재생되는 버그가 있었지만 7월 3일 업데이트로 수정되었다.(아래 동영상 참고)
ESP+EDP 영상
EXPERT 난이도의 경우 상당한 체력을 요구하는 구성이며, 특히 더블의 경우 16을 줘도 무방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려운 편.
CSP 영상
싱글 챌린지는 DDR A20 PLUS에서 추가되어 라이센스곡 사상 최초로 18레벨을 부여받았다.
CDP 영상
6. GITADORA 시리즈
드럼 MASTER 채보 영상
전 기종 중 유일하게 Idola보다 죽도소녀의 난이도가 높은 기종이었으나, 이후 사운드 볼텍스에 두 곡의 HVN 패턴이 추가되며 유일하지는 않게 되었다.
드럼 마스터 채보의 난이도가 9.50으로 Holding On과 함께 판권곡 최고 난이도인데, 노트수는 1639개로 Holding On보다 적지만 그래도 무지막지한 물량에 고속연타, 재빠른 손이동을 요구하는 필인 등의 난해한 요소로 이 곡이 더 어렵다는 평이 많다. 덕분에 수록 당시엔 BEMANIWiki에서는 9.60~9.70정도의 사기 난이도라고 칭해졌고, 사실상 LEMON & SALT 드럼 마스터와 함께 OVERDRIVE의 양대 드럼 보스곡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
이후 GITADORA Tri-Boost에서 드럼 마스터가 9.50에서 9.65로, 기타 마스터가 8.60에서 8.80으로, 베이스 마스터는 8.40에서 [6] 8.70으로 승격하면서 사기 난이도 평가를 받던 '''모든 마스터 채보'''가 난이도가 승격했다. 이것으로 명실상부하게 '''모든 비마니 시리즈의 모든 판권곡 중 가장 난이도 MAX에 근접한 최고난이도곡'''의 지위를 확보.[7]
GITADORA Matixx에서 드럼 마스터 난이도가 9.70로 추가 재조정되었고, 그 결과 당시 현역 가동 중인 모든 BEMANI 판권곡 중 가장 높은 난이도를 달성했다.
7. 사운드 볼텍스
- 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10 A코스(2015.5.29 ~ 2015.8.21)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채보 제작자는 PHQUASE로, 명의가 ver.1.5라서 그런지(...) For UltraPlayers의 열화판 채보가 중간중간 등장한다. 초반부와 후반부는 롱놋 섞인 고속의 폭타, 중반부는 노브와의 복합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어 종합적인 처리력을 요구하는 곡이다. 클리어 난이도는 중위권 정도 되지만, 스코어링 난이도는 좀 더 내려가는 편. 이 점은 Idola하고 비슷하다. 그리고 UC 방지 구간이 적어,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UC도 비교적 쉬운편.
HVN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2018년 9월 13일 BLASTER GATE로 HVN 패턴이 추가되었다. 18레벨로 나올 것이라는 많은 유저들의 예상을 깨고 '''19레벨'''로 공개되었으며, VOCALOID 곡 최초의 19레벨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게 되었다.
패턴의 경향성은 전체적으로 BT와 FX가 복잡하게 섞인 폭타와 동시치기, 기습적인 축연타 등으로 몰아치는 형태이다. ウバワレ GRV와 유사한 형태의 롱노트를 동반한 나선 계단, BT A+D 동시치기에 FX칩을 여기저기 끼워넣은 특이한 동시치기 등 처리하기에도 분석해 뵈기도 난해한 패턴이 군데군데 들어가 있어 잔실수를 많이 유발한다. 또한 빠른 계단 원핸드와 복잡한 폭타가 섞인 후살이 굉장히 강력하므로 마지막에 다 잡은 클리어를 놓칠 수도 있다. 후살부분에 16비트 간격으로 양손을 움직여 양노브를 돌려야 하는 준무리수준 고속 손이동 패턴이 나오므로 유의할 것. 중반에 나오는 죽순 형태의 노브는 직각 노브만 처리해도 전부 이어지니 참고.
난이도와는 별개로 패턴에 대한 평가가 전례가 없을 정도로 나쁘다. 애초에 보컬곡 고레벨이란 타이틀 자체가 이런 곡이 아니면 대부분 억지스러운 패턴이 되고 장르 자체의 느낌과도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기피되는 편이며 심지어는 앞에서 언급한 곡마저도 18레벨로 그쳤지만 이 곡이 19레벨이 되었다는 것 자체로도 반감을 갖는 요소가 된다. 패턴 자체로도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거의 없다시피한 잔박자에까지도 필요 이상으로 폭타를 쑤셔넣어 채보가 지나치게 난잡해 보이며 , 특히 계단 원핸드 후살이 너무 억지스럽게 어렵다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이전에도 퀄리티 낮은 채보를 주로 제작해온 해당 이펙터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더욱 악평을 하고 있다. 이후 비비드 웨이브 시점까지 보컬로이드 19레벨은 두 곡(ラクガキスト, θコトノハθカプセルθ) 더 추가되었는데, 이들은 곡 자체도 고난이도에 걸맞고, 이펙팅과 패턴도 연주감을 크게 해치지 않은 선에서 나와 무난하게 괜찮은 평을 받았다.
8. 팝픈뮤직
EX 영상
EX보면은 투덱 SPA 채보와 비슷하게 계단이 메인인 채보로 곡 전반에 걸쳐서 여러 형태의 계단이 매우 자주 등장한다. 후살 속성도 가지고 있는데 이 또한 계단으로 208이라는 높은 BPM에 24비트로 떨어지는 초고속 계단이다. 또한 이런 빠른 템포의 곡임에도 쉴틈을 전혀 주지 않는 체력곡이기도 하다.
클리어 난이도는 꽤나 개인차가 있어서 입문을 이 곡으로 하는 사람도 있고 47 클리어메달이 90%가 넘도록 못 깨는 사람도 있다. 대략 47 중하급~중상급 정도라는 게 정설. 라피스토리아 가동 당시에는 (주로 일본에서) 48 수준의 불렙곡이라는 평가[9] 도 있었으나 헬위키 난이도 투표결과 중상급 (팝픈 에클라르 가동시점 기준 난이도지수 +0.185) 정도로 나와서 그런 평가는 많이 사그라들었다.
왜 중급 수준인 곡이 48급이라는 평가를 받았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유력한 이유로 추정되는 건 '''47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수준의 풀콤보/퍼펙트 난이도'''.[10] 클리어/풀콤보/퍼펙트 레이팅 사이트 통계 기준 풀콤보/퍼펙트 비율 모두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등장한 47짜리들 중 가장 낮다. 47에서 풀콤보/퍼펙트 하기 힘들다는 螺子之人, Mynarco, BEYOND THE EARTH 등과 같이 있는 수준.
그런데 문제는 '''이 풀콤보/퍼펙트 레이팅이 실제보다 훨씬 높게 나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보통 풀콤보/퍼펙트 레이팅은 플레이 데이터 등록인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떨어지는 경향성을 보인다.[11] 그런데 뱀부 소드 걸과 비슷한 레이팅에 위치한 47 풀콤/퍼펙 극악곡들은 등록인 수가 1300~1400명인데 비해, 뱀부 소드 걸은 등록인 수가 450명도 안 된다. 그래서 정확한 평가는 불가능하지만 최소한 현재 시점보단 풀콤보/퍼펙트 난이도에 있어선 더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합당하다. 대충 저 레이팅 사이트 기준 풀콤 난이도 7,8위인 ポルターガイスト나 スーパーモグー와 풀콤 난이도 3위인 maritare!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해 있다는 것으로 보는 게 무방할 것이다.
풀콤/퍼펙이 어려운 이유는 다른 47 풀콤 난이도 최상위 곡들이 그렇듯 변태같은 배치 탓이다. 패턴의 상당수가 16비트 이상이라 손꼬임이 엄청난데 중간중간의 한손트릴, 고속계단 등이 굿과 배드를 유발시킨다. 전체적으로 버릇이 들기 쉬워서 많이 하면 저주의 위험성도 있기에 피곤한데, 후반부가 노골적으로 배드가 나오기 쉬운 배치로 짜여져 있다. 헬위키에 올라온 본 곡의 채보 기준 75소절 좌우왕복 대계단은 높은 BPM과 맞물려 한 두 개씩 흘리기 쉬운 배치로 꽤나 악명이 높다. 그리고 이 곡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89소절~91소절의 16비트 이 빠진 계단 → 24비트 고속 왕복계단[12] 은 그냥 누르기도 힘들지만 버릇이 들기가 쉬워서 여러모로 요주의 구간이다. 89소절까지 노배드로 가다가 그 이후부터 6배드 이상이 나서 동★조차 따지 못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발생할 정도.[13] 빠르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어도 손이 못 따라간다. [14] 풀콤보를 하려면 상당한 핸드스피드가 필요하다. 47 풀콤을 노리는 플레이어라면 십중팔구 49 올 클리어 이상의 50레벨 러너 혹은 졸업자일테니 낼 수 있는 최대한의 속도를 내면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배치들 + 곡 전반에 깔려있는 애매한 박자의 패턴 때문에 풀콤보 난이도도 매우 높지만, 퍼펙트 난이도는 설명이 필요 없다. 그나마 판권곡인데도 키음이 있기에 박자감을 유지할 수 있어서 다행이지만 BPM 208에 16비트 이상의 고속계단을 올 그레이트 이상으로 넘기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이 곡의 풀콤보에 필요한 엄청난 핸드스피드에 더해 정교함까지 갖춰야 하므로 단단히 각오를 해야 한다.
N보면은 분명한 사기 난이도로, 29에게 힘든 패턴이 고속으로 쏟아진다. 체감 난이도는 적어도 30에 31까지 넘볼 수 있는 채보이므로 주의하자. 2016년 3월 22일 난이도가 32로 승격되었다.
하이퍼 또한 41레벨이지만 체감은 42 이상으로 올라가는 사기 난이도라고 한다.
9. 노스텔지어 시리즈
Expert FC 영상
10. 관련 문서
[1] 일본어 부사 치라리(ちらり, 언뜻)의 변용으로, 보일 듯 말 듯 살짝 드러나는 노출을 가리키는 말이다.[2] 뻔뻔함을 일컫는 일본 관용구. 이 때 BGA에서는 물 건너에서 불 뿜는 괴물이 나타나 마을을 다 부수고 있는데 머리 기대고 스마트폰 받으면서 "向こう岸の地区は管轄外でして..."(저쪽 해안지구는 관할외라서..."라는 태평한 소리를 하고 앉아있다. 다음 컷에서는 "だからそちらわ管轄外なんですばああああああ!"(그러니까 거기는 관할외라고요오오오오오!)라고 기염을 토해서 괴물이 놀란다 (...)[3]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4] 가사에 맞춰 나오는 「P」EN, 「T」OM,「S」HINOBI 부분에서 주의를 요한다. 이 외에도 중후반부는 초견시 치기 어려운 난해한 동시치기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주의.[5] 다만 고속 폭타 덕에 개인차가 상당하다.[6] 가동 첫날에 나온 오타. 물론 바로 수정되어서 지금은 8.70으로 제대로 뜬다.[7] 실질적으로 マジLOVE2000%와 판권곡 최고난이도를 다투는 곡인데, 저 쪽은 개인차가 매우 큰 단에보 특성상 이 쪽보다 공정성 면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인다.[8] Antonio Guccini와 cosMo@暴走P의 합작인 것으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폭주P가 직접 트위터로 부인하였다. #[9] 비마니위키 같은 공신력 있는(?) 사이트에서도 본 곡을 47 위험곡으로 넣었을 정도[10] 일본에서는 특정 부분이 어려워서 풀콤/퍼펙 난이도가 올라가면 클리어 난이도도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반대로 풀콤/퍼펙이 쉬우면 클리어 난이도를 낮게 보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11] 일종의 신곡 보정으로, 레이팅 사이트의 레벨별 풀콤/퍼펙 레이팅 랭킹을 보면 비교적 최근에 나온 곡들이 가장 풀콤/퍼펙 레이팅이 높아서 밑바닥을 깔아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등록인 수가 많아지면 그 하늘로 치솟은 풀콤/퍼펙 레이팅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안정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12] 특히 91소절의 24비트 고속계단은 16비트 환산 기준 BPM 312다! 이게 어느정도 속도냐면 50레벨 곡인 少年は空を辿る의 극초반 32비트 고속계단보다 BPM 20가량 더 빠른 수준이다.[13] 위의 플레이 동영상을 올린 사람도 저당시 49 최상급인 BabeL ~Next Story~를 클리어하는 등 상당한 실력을 가진 상태였는데, 4배드로 문제의 구간에 들어갔다가 10배드로 나왔다.[14] 보통 손가락을 쓰는 플레이어들이 계단곡을 잘 하는 편인데, 이 곡은 계단곡인데도 손가락을 쓰는 플레이어보다 손바닥으로 밀어버리는 플레이어들이 잘 할 확률이 꽤 높다. BPM이 거의 210인데 16비트~24비트 위주라서 손가락으로 감당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