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볼텍스/이펙터
1. 개요
2. 이펙터 명의 목록
2.1. .424kHz
2.3. Antonio Guccini
2.4. apple kong
2.6. BATAASHI(=バタアシ)
2.7. BING-WANG FX
2.9. CRAIG AKAGI
2.10. dj strachen
2.11. DJ UTO
2.12. DJ WILDPARTY
2.13. DJ 摂津
2.14. EIVY
2.16. Fortunality
2.17. G9D
2.18. GOLD
2.19. Hermit♣club
2.21. Jin Majima
2.22. kamuy noko
2.23. ki4ki4
2.24. Law of cosines
2.26. MaKoTo
2.28. MISY.b
2.29. mitsu
2.30. NOX
2.31. Okawatt
2.33. SALMON GRAPHY
2.34. Sammy/A
2.35. Satchy
2.37. SHiJiMiSo Soup.☆彡
2.38. SHOUTICE
2.39. TAKUYA
2.41. THE THIRD MAN
2.42. Verdefo
2.43. Yu-tomo
2.44. 兄ジェットマン
2.45. イエローSUB魔鈴(=WMM-E)
2.46. おからヒット
2.47. おすし仮面
2.48. からあげブラザーズ
2.49. 狂風少年鑑定団
2.50. 浮世マシーン
2.51. 恵方真紀
2.52. 逆球レジェンド
2.54. 金色の夜叉
2.55. ごましおくん
2.56. サイバーガスタンク
2.57. しばまる子
2.58. スエヒロ
2.59. スカイシュート
2.60. ダーク ダーク ダーク
2.61. 電撃ロブスター
2.62. デジャヴーSP
2.63. 東京ブルトゥーム
2.65. ねちっこく堂
2.66. 博多の男
2.67. 鋼のビスカッチャ
2.68. ひとくちピエロ
2.69. ビーフジョッキー
2.70. 漂白太郎
2.71. 風瑠人
2.72. フォックスロット
2.73. 凹ーダー凸ード
2.74. ポテト亀山
2.75. みさこ
2.76. ユカリ☆chan
2.78. わかば
3. 합작 명의
3.1. 1+1+1は3じゃないぞ。俺達は1+1+1でメガ松茶だ。⑨倍だぞ⑨倍
1. 개요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이펙터를 정리하는 항목.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는 리믹스를 테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펙터라 불리는 이들이 곡에 이펙트 믹스를 삽입하는 것과 더불어 채보 제작을 함께 담당한다. 이러한 이펙터들이 여타 리듬게임들과 다르게 '''Effected by ○○'''의 형태로 명기되는데, 이펙터가 누구냐에 따라 채보의 성향이 크게 바뀌고 곡의 인기까지 결정되기도 하는 등 매우 특징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순기능 덕분인지 CHUNITHM이나 Arcaea처럼 사볼 외에도 채보 제작자를 명기하는 리듬 게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펙터들 중에서는 본업이 DJ, 작곡가, 보컬로이드 P 등 음악에 관련된 사람이 많으며, 정확한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사람도 많다. 그나마 코나미 소속의 이펙터들은 SOUND VOLTEX ULTIMATE TRACKS -LEGEND OF KAC-의 부클릿[1] 과 사운드 볼텍스 III의 스태프 롤로 어느 정도 드러난 상태. 이렇게 드러난 사람 중에는 프로그래머가 이펙트에 참여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이 쪽은 상대적으로 좋은 소리를 못 듣는다.
2. 이펙터 명의 목록
- 패턴은 EXHAUST, MAXIMUM, 번외 패턴 위주로 작성한다.
- 노트, 노브, BPM이 특징적인 곡, 신요소 최초 사용[2] 은 비고란에 표기한다.
- 오름차순(영어-한자-일본어 순)으로 작성한다.
- 빈 칸에 난이도(레벨)을 표기하며, 참여하지 않았거나 원래 없는 번외 패턴은 삭제, 합작 패턴은 레벨만 표기한 후 비고란에 합작한 이펙터를 표기한다.
- 한 번이라도 레벨이 변경된 적이 있는 패턴은 레벨에 밑줄로 표시.
2.1. .424kHz
사운드 볼텍스 IV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이펙터. 아직 채보가 3개 밖에 없는데 불구하고, 치는 맛이 없는데다 무리하게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곡과 맞지 않은 억지로 뽑아낸 듯 한 노트 패턴, 과도한 트릴 패턴 때문에 '''모든 패턴의''' 평이 상당히 나쁘다. 4볼 초창기에 나온 3개의 패턴을 끝으로 활동이 없는 상태이다.
2.2. Akizuki Nagomu
2.3. Antonio Guccini
사운드 볼텍스의 프로그래머 중 한 명. ki4ki4와 함께 채보 퀄리티가 낮은 이펙터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전반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지고 어딘가 부실한 느낌이 많이 난다는 등, 제작한 패턴들이 대개 좋은 평을 받지는 못하고 있다. 그나마 잘 찍었다는 평가를 받은 NEO GRAVITY와 Re:End of a Dream도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예외적으로 NEO TREASON은 인생작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호평을 받는 채보이다.
본인도 사운드 볼텍스를 즐겨 플레이하는 듯하며, 가끔 대기 화면에서 매칭되는 일이 있다고 한다. 3볼 시절 폭룡천을 취득했고 여러 고레벨 곡에서 고득점을 기록한 사진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실력자임이 확실. #
2.4. apple kong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에서 rE:Voltagers의 이펙팅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2.5. azuma(=kinoto)
문서 참조.
2.6. BATAASHI(=バタアシ)
IV부터 참여한 이펙터. 주로 노브의 비중이 높은 패턴을 제작한다.
2.7. BING-WANG FX
Megacycle과 동일하게 BOOTH 01 버전부터 등장했었던 이펙터. 명의의 유래는 '敏腕FX'의 영어발음을 말장난으로 변형시킨 것으로 추정.
BOOTH에서 몇개의 이펙팅 작업 이후 활동을 중단했다.
2.8. cosMo@폭주P
항목 참조
2.9. CRAIG AKAGI
'크레이그 아카기'. IV부터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주로 16~17레벨의 패턴을 제작하고, 패턴의 성향은 종합적인 처리력을 요구하는 편. 노브를 돌리면서 처리하는 원핸드 트릴을 많이 사용하는 것도 특징이다. Typhoon Craaash!!에서는 무려 '''7초'''동안 내려오는 원핸드 트릴을 보여주기도.
이펙터 凹ーダー凸ード처럼 특이한 효과음을 사용할 때가 있는데, 이 때문인지 합작을 한다면 이 이펙터랑 같이 제작하기도 한다.
2.10. dj strachen
IV부터 참여하기 시작했다. 오메가 디멘션 Phase 4 최종 해금곡 중 하나인 Xéroa 이펙팅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데뷔작이 19레벨인 최초의 케이스이지만 높은 난이도를 상정하고 작곡한 곡에 비해서 약간 허전하고 가벼운 패턴이어서 데뷔작부터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다. 이후로도 そして黄金郷へ에서 중간에 갑툭튀하는 무근본 지그재그 노브발광이나 곡과 어울리지 않는 이펙팅 등으로 평가가 나아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2.11. DJ UTO
사운드 볼텍스 부스 초기부터 참여한 당시 EXIT TUNES의 사장이자 DJ. II부터 빠졌다.
2.12. DJ WILDPARTY
본업은 하드스타일 전문 프로듀서/DJ.[4] 주로 13 이하의 중간 레벨 위주의 패턴들을 만든다. 3부터는 활동을 하고 있지 않다.
2.13. DJ 摂津
DJ 셋츠라고 읽는다. II 46부터 데뷔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후에 코나미 스태프로 드러났다. 본업은 사운드 디자이너.
직각 노브와 BT 칩 복합 채보를 자주 활용한다. 이러한 패턴은 PANIC HOLIC의 GRAVITY 채보에서 처음 등장해서 이후 Invitation from Mr.C에도 등장하면서 해당 이펙터의 아이덴티티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Crack Traxxxx GRV 채보와 같이 이러한 패턴을 지나치게 남발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펙트가 곡의 분위기를 깬다는 평도 존재하는 편. Crack Traxxxx GRV 채보 제작 이후로는 참여하지 않고 있다.
2.14. EIVY
IV부터 CHERNOBOG의 이펙터로 담당하면서 모습을 드러냈다. 지력 위주의 채보가 대부분이지만 .424kHz처럼 곡과 맞지 않는 억지스러운 노트와 인위적인 이펙팅으로 노트를 욱여넣는 부분으로 인한 부정적인 의견과 그래도 상기한 두 채보를 포함해서 본질적인 재미는 충분하다는 호불호가 확실히 있는 편.
2.15. Ether99
항목 참조.
2.16. Fortunality
2.17. G9D
2.18. GOLD
2.19. Hermit♣club
BOOTH 시절부터 활동한 패턴 제작자. 주로 곡선 노브 사용이 두드러지며, 난해한 원핸드 패턴 또한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WAVE와 CRITICAL LINE에서는 복합 트릴과 탈선하기 쉬운 번개 노브를 선보이기도 했다. 곡선 노브를 잘 다루는 편에서는 호평을 받으나 억지스러운 원핸드나 노트의 배치가 가끔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IV부터 활동이 매우 뜸해지다가 V부터는 활동이 없는 상태.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에서 Destr0yer로 다시 모습을 보였다.
2.20. Hirayasu Matsudo
항목 참조.
2.21. Jin Majima
IV부터 MONOLITH의 이펙터로 참여했다. 레인 이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노트 역배치마저 활용한 낚시성 직각 노브를 많이 쓰는 편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손이동 면에서 처리하기 까다롭고 복잡해보이는 원핸드 패턴을 자주 사용하여 난이도를 높인다. 이 전례없는 원핸드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이펙터.
2.22. kamuy noko
IV부터 Blue Stream의 이펙터로 모습을 드러냈다. 노트의 활용도가 돋보이는 편.
2.23. ki4ki4
리플렉 비트 시리즈와 가정용 IIDX의 프로그래머였으며[5] 현재는 사운드 볼텍스의 디렉터.
제작 패턴은 3개 뿐이지만 유저들은 주저없이 최악의 이펙터로 손꼽는다. 제작한 패턴들을 나열해보자면 절반 이상을 EXH 패턴 태반을 베낀 우주전쟁 INF, 너무 빠르면서 잦은 손 전환과 준무리배치 남발 등 여러가지의 이유로 재미까지 없다는 평을 받는 나오나 INF, 신님 태엽감기 GRV 등 사운드 볼텍스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패턴들 투성이었다. 패턴들의 평가가 매우 안좋은 것인지 단순 대타였는지는 모르겠으나 신님 태엽감기 GRV 이후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2.24. Law of cosines
사볼2 말기에 혜성처럼 등장한(...) 노브 아티스트. 제작 패턴은 적지만 임팩트가 대단하다. 이펙터 명의답게 삼각형 형태의 노브곡을 주로 제작한다.
활동을 재개하거나 잠시 쉰 기간 등 TAKUYA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TAKUYA가 노브곡을 만들 때 쓰는 부명의로 추측되고있다.
2.25. MAD CHILD
항목 참고.
2.26. MaKoTo
사운드 볼텍스 2 초창기부터 활동하는 저레벨 위주의 이펙터. 주로 16레벨 이하의 패턴을 제작하고 있다. 사볼 3까지만 해도 구 15패턴을 하나도 짜지 않았으나, 4볼 들어서 구 15레벨 중간에 해당되는 17레벨도 제작하기 시작한 듯 하다. 5볼 들어서는 Lazurite로 첫 18레벨도 제작했다.[6]
2.27. Megacycle
항목 참조.
2.28. MISY.b
2.29. mitsu
Prim에서 가사 쓰는 그 mitsu가 맞다. 본업은 작곡가로, VALLEYSTONE이라는 명의로 사볼에 투고한 곡도 꽤 많다. 현재 이펙터로서의 활동은 없다.
2.30. NOX
2017년 12월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명의의 유래는 질소산화물의 표기어인 'NOx' 로 추정.
사운드 볼텍스에서도 드물게 롱노트 기교를 자주 보여준다. 또한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노트, 노브 패턴과 확축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특징.
지금까지의 다른 이펙터가 짠 채보와는 많이 다른 손맛을 보여주기 때문에, 새로운 손맛이라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오히려 그 손맛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는 등 호불호가 갈리지만 새로운 이펙터로서는 꽤 좋은 평을 받고 있는 중.
이 이펙터가 관여한 MXM 채보의 몇몇 곡들은 각 난이도마다 이펙터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2.31. Okawatt
사운드 볼텍스의 프로그래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2.32. PHQUASE
항목 참조.
2.33. SALMON GRAPHY
코나스테 버전 선행수록곡인 Ichi-Go! DX Pancake!의 ADV, EXH 채보로 데뷔한 신인.
정돈되지 않고 변칙적인 노트 폭타를 베이스로 깔고 중간에 짧은 노브나 지속 노브를 몇개씩 섞어 넣어 견제해주는 스타일. 때문에 충분한 지력이 없다면 스코어링 면에서 까다로워질 수 있는 패턴이 많다.
2.34. Sammy/A
사운드 볼텍스의 리드 프로그래머. 처음 이펙트를 맡았던 세츠나 트립부터 겹계단으로 난민을 형성했으며 뒤에 맡은 Sakura Mirage, 雷鼓サンダービート에서도 빠짐없이 겹계단을 애용하는 이펙터. 그러면서도 무리수없는 겹계단 배치와 적당한 밀도로 나름 호응은 괜찮은 편이다. 내부 개발진이라 그런지 활동량은 부족한 편.
2.35. Satchy
IV부터 참여한 이펙터. 2019년 4월 26일 기준 이펙팅한 것은 Libera me 하나 뿐이다.
2.36. SCバイオメトリクス
'SC 바이오메트릭스'라 읽는다. BOOTH, II시절에는 간간히 보이다가, III에서부터 적극적으로 패턴을 제작하고 있다.
다른 이펙터 중에서도 유난히 빠른 손 이동, 특히 노브와 노트 사이의 연속적인 8비트 손이동을 요하는 패턴을 자주 쓰거나 까다로운 폭타, 또는 가끔씩 배배 꼬인 노브 발광으로 난이도를 끌어올린다. 또한 한 순간에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패턴도 자주 선보인다. TOXIC VIBRATION의 24비트 발광이라거나, XyHATTE의 경우 24비트 트릴 발광 패턴 등이 대표적. 이런 점이 이 이펙터가 호불호가 갈리는 주된 원인이다.
SCライオット(SC 라이엇)이라는 명의도 가끔 사용하는데, 주로 고난이도의 곡들에서 사용하는 명의인 듯 하며, IV 이후로는 18레벨 이상 곡에서 사용한다.
SCイノセンス(SC 이노센스)라는 명의도 사용하는데, 노브 비중이 높은 채보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명의인 듯하다. IV 후반기부터는 활동이 뜸해진 편.
작곡가 TAG와 모종의 관계가 있는지 그의 곡을 많이 담당하는 편이며, 그중 몇몇곡은 TAG 본인과 직접 합작까지 하였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37. SHiJiMiSo Soup.☆彡
오메가 디멘션 5에서 水簾ノ調로 모습을 드러내었다. 고레벨로 갈수록 노브 면에서 난이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2.38. SHOUTICE
리플렉 비트쪽에 근무하는 코나미 스태프. 두 번째로 제작한 VALLIS-NERIA의 채보로 온갖 어그로란 어그로는 혼자 다 끌었다. 대체로 연타를 많이 사용하며, 그의 아이덴티티인 네메시스 회전 도중에 쏟아지는 노트들은 고난이도 채보에서 꼭 한번씩은 넣는 편. 때문에 제작한 채보 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악명이 상당한 편이며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주는 이펙터.
2.39. TAKUYA
사운드 볼텍스 FLOOR의 플래너이기도 하다. KAC 2011에서 IIDX 해설자로 등장하기도... IV 초기에 2곡의 패턴을 제작한 이후로 이펙터 활동은 없는 상태.
2.40. TEK-A-RHYTHM
항목 참고.
2.41. THE THIRD MAN
본업은 하드댄스 DJ/프로듀서로 본명은 타카하시 료지[7] . MAD CHILD가 소속되어 있는 하드댄스 레이블인 R135 Tracks의 오너.
고수준의 원핸드와 난해한 FX+버튼의 혼합으로 스코어링이 매우 어려운 채보를 만든다. 때문에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패턴 제작자이기도 하다. 사운드 볼텍스 III에서는 활동이 거의 없었다가[8] , IV 초반기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42. Verdefo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에서 Barbatos의 이펙팅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2.43. Yu-tomo
엘피스의 패턴 제작 이후 감감 무소식.
2.44. 兄ジェットマン
2.45. イエローSUB魔鈴(=WMM-E)
옐로우 서브마린이라고 읽는다.
2.46. おからヒット
오카라 히트. 오카라는 비지라는 뜻이다.
2.47. おすし仮面
'오스시카멘'. IV부터 참여한 이펙터.
2.48. からあげブラザーズ
명의는 '카라아게 브라더스'라고 읽는다. 煙 이후로 채보 성향이 확 달라졌다. 탈선 나기 쉬운 노브, 특히 지그재그나 읽기 어려운 직각 노브를 자주 사용한다.
ZANGI Bros.라는 명의를 사용하기도 한다.
2.49. 狂風少年鑑定団
IV부터 참여한 이펙터. '광풍 소년 함정단'이라 읽는다.
2.50. 浮世マシーン
'부세 머신'. 다양한 지그재그 노브와 섬세한 곡선노브 위주의 패턴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특징. 고레벨 대에 들어서면 상기한 노브 패턴을 포함해 상당히 어려운 지력을 요구하고 초견살이 센 패턴들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제작 퀄리티가 높고 다른 데서 보기 힘든 참신한 패턴들로 호평 받는 편.
* 제작한 패턴 목록
2.51. 恵方真紀
'에호마키'라고 읽는다.
2.52. 逆球レジェンド
BOOTH 시절부터 참여한 이펙터로, '역구 레전드'라고 읽는다. 대체로 초견에 당황하기 쉬운 암기형 패턴을 자주 짠다. 대표적인 예시로 LegenD., HAVOX가 있다. Mirrorwall 패턴 제작 이후 쭉 활동이 없다가 ZEИITH로 타테레인저 ADV 패턴을 짠 이래로 오랫동안 활동이 없었던 TEK-A-RHYTHM과 함께 복귀하였다.
2.53. 月刊ミズタニ
항목 참고.
2.54. 金色の夜叉
금색의 야차. III부터 참여했다.
2.55. ごましおくん
BOOTH 시절부터 참여했으며, 후에 코나미 소속의 사운드 디자이너로 밝혀졌다. 최초로 직각 계단노브를 선보여 화제가 되었고 이후로도 직각노브 위주의 패턴을 찍어내는 중. C-Show 곡에서 보이는 특유의 그 패턴은 모두 이 이펙터의 작품이다. 밑 표를 보면 알겠지만 합작을 상당히 많이 한 이펙터이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56. サイバーガスタンク
'사이버가스탱크'. 비비드 웨이브 가동과 동시에 활동하기 시작했다. 5볼 MXM 17레벨 구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17레벨에 알맞는 난이도와 정석적인 배치로 호응은 괜찮은 편.
그러나 9TH5IN의 이펙터로 등장하면서 18레벨 이펙팅을 한번도 안하고 19레벨 제작에 이르게 된 상당히 희귀한 케이스의 이펙터가 되었다.
2.57. しばまる子
BOOTH 시절부터 참여한 이펙터. '시바마루코'라고 읽는다. 주로 중저렙대를 맡고 있으며, 고렙은 대부분 다른 이펙터와 합작을 자주 하는 편.
사운드 볼텍스 헤븐리 헤이븐부터서는 아주 가끔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2.58. スエヒロ
'스에히로'.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에서 Liar rain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2.59. スカイシュート
'스카이 슈트'. 2볼 막바지부터 참여하기 시작했다.
2.60. ダーク ダーク ダーク
사운드 볼텍스 III부터 참여한 이펙터. '다크 다크 다크' 로 읽는다. 3볼 때는 트릴의 비중을 많이 두는 편이였고 이게 호불호가 갈리는 주 원인이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알찬 노트배치나 패턴의 재미로 평가가 올라가게 되었다.
이펙터 명의에 있는 '다크'의 개수는 곡에 따라 가끔씩 줄기도 늘기도 한다.
2.61. 電撃ロブスター
사운드 볼텍스 IV부터 참여한 이펙터로, '전격랍스터'라고 읽는다. 활동 초창기에는 주로 중레벨 채보들을 담당하는 모습을 보여왔는데, 대부분 채보가 심심하다는 평을 들었다. 그러나 IV 중후반기부터 Victim of Nights를 시작으로 활동량이 늘었고, Fly Like You를 시작으로 단독 19레벨도 여럿 짜는 등 고레벨 채보를 제작하는 빈도가 크게 늘었다. 비비드 웨이브 이후로도 고난도 폭타 위주의 패턴들을 활발하게 선보이면서 주요 고레벨 이펙터의 한 축으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FX 칩 노트를 여기저기 끼워넣거나 24비트 이상의 폭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성향이 있는데 이 때문에 채보 퀄리티 면에서 호불호가 상당히 크게 갈리는 이펙터. 적절한 박자감의 노트 패턴을 잘 만들어낸다는 호평도 있지만 노트 배치가 너무 더럽다는 혹평도 많다. 특히 억지스러운 겹노트로 악명이 높은 Yum Yum Sweetie의 패턴이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 외에 おつまみロブスター(노브 랍스터) 명의로 노브곡을 만들기도 하는데, 꼬아놓은 Z자 노브나 낯선 형태의 역노브 등 노브 사용 방식도 다소 이질적인 편이다.
2.62. デジャヴーSP
데자뷰-SP라 읽는다.
2.63. 東京ブルトゥーム
III부터 참여한 이펙터.
명의를 부르는 법은 알 수 없다. 도쿄 블루툼 정도. III 당시에는 저레벨 위주로, IV부터는 17레벨 이상 위주로 제작하고 있다. 이펙팅으로서는 호평을 듣는 편이나 곡마다 채보 성향이 다 달라 이 이펙터만의 특징이 뚜렷하지 않다는게 나름의 특징.
2.64. 七色Method
항목 참조.
2.65. ねちっこく堂
'네칫코쿠도' 라고 부른다. Hirayasu Matsudo와 함께 노브 위주 이펙터. 마츠도가 노브만으로 현란한 채보를 만든다면 이 사람은 박자에 맞춘 직각 노브 위주에 어려운 노트 패턴을 끼워 넣는다. 이게 극명하게 드러나는 곡은 단연 HYENA.
4볼 첫 가동 당시 수록곡인 영행방 이후로 몇 년간 안 보이다가 2019년 2월이 돼서야 TEK-A-RHYTHM과의 합작으로 복귀한 듯. 채보제작자 명의가 NET-i-TEK인 것도 그렇고, 네칫코쿠도의 灼熱Beach Side Bunny나 HYENA의 직각노브 발광이 Cross Fire에도 등장한 걸 보면 복귀했다고 보는 것이 유력한 듯하다. 이후 비비드 웨이브에서 こちら、幸福安心委員会です。의 VVD 채보를 짜면서 모습을 제대로 나타냈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66. 博多の男
'하카타의 남자'라 읽는다. 어려운 노트 위주의 전체적인 처리력을 요구하는 패턴들을 제작한다. 3볼 이후로는 자취를 감췄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67. 鋼のビスカッチャ
강철의 비스카차라고 읽는다. NOX처럼 클라우드 버전에서 데뷔했다. 비비드 웨이브 이후로 다른 이펙터들과 마찬가지로 활동이 빈번해진 편.
셔플리듬이 있는 곡을 주로 맡기도 한다.
2.68. ひとくちピエロ
II부터 참여했다. 저난이도 쪽에서 활동 중인 이펙터.
2.69. ビーフジョッキー
비프 저키, 즉 육포라는 뜻이다. 사운드 볼텍스 3부터 활동이 늘어났으며 가장 특징적인 것은 한 손으로 양쪽 노브를 모두 커버해야 하는 일명 손교차 패턴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 외에는 난해한 노트 패턴도 자주 활용하는 편이라 이 사람이 제작한 채보는 대체로 초견살이 매우 심하고 어려운 편이다.
채보 제작 초기에는 손교차의 과도한 활용으로 이미지가 많이 나빴던 편. 채보 자체는 퀄리티가 준수하나 손교차 하나 때문에 안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유저들이 많았다. 그러나 비비드 웨이브 들어서 손교차를 남용하는 패턴이 이전보다 많이 사라져가거나 적당히 잘 넣은 채보가 계속 나오면서 이 이펙터의 평 역시 자연스럽게 올라간 편이다. 다만 び에선 115콤보 축연타와 엄청난 직각 노브 발광을 선보이는 등 손교차가 없는 패턴으로도 유저들의 대형 어그로를 끌었다.
2.70. 漂白太郎
2.71. 風瑠人
이름은 フルート(fruit)로 발음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풍류인'으로 부른다. 사운드 볼텍스 3부터 활동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빠른 손 이동을 요구하는 지력 패턴, BT 숏 노트 사용 비중이 높은 편이다. 채보 제작 초기에는 어렵기만 하고 치는 맛이 없어서 평가가 매우 좋지 않았으나,[11] Candy Colored Hearts의 채보를 제작하고 해당 곡의 패턴이 좋은 평가를 받은 뒤부터는 곡의 박자에 맞춰서 적당히 어려우면서도 참신한 패턴을 많이 만들어서 현재는 인식이 많이 좋아진 편이다. 다만 5볼 이후로 만든 채보들은 대체로 호불호가 갈리는 편.
VVelcome!!의 MXM 버전을 TEK-A-RHYTHM과 합작으로 이펙팅을 함으로서 레벨 20을 짠 이펙터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72. フォックスロット
'호크슬롯'. IV부터 Wings of Glory의 이펙터로 참여하면서 등장하였다. 첫 작품부터 다양한 박자의 폭타와 이펙트 특유의 특이한 노브 패턴으로 주목을 받았다. 光射す澪のユズリハ에서는 까다로운 원핸드를 선보이기도 했고, 이후로도 노브 낚시와 다양한 곡선 노브를 쓰는 등 노브에 일가견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73. 凹ーダー凸ード
'보코다 데코도(vocoder decode)'라고 읽는다. 사운드 볼텍스 3 시즌 2부터 활동하기 시작 했다.
이펙트의 퀄리티는 좋은 편이나 타 이펙터들과는 확실히 구분되는 박자감각과 묘한 버튼 배치 덕분에 채보 대부분이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편이다. 이 사람을 싫어하는 유저들에겐 이펙터 명의의 凸를 빗대어서 법규도(...)라 불리고 있다.
5볼로 버전업 되면서 대부분의 1~3볼 출신 이펙터들이 모습을 감추는 반면 이 이펙터는 전에 비해 활동량이 상승하고 있다.
참고로 다른 이펙터들과는 다른 차별화된 이펙트 음을 사용한다.
- 제작한 패턴 목록
2.74. ポテト亀山
'포테이토 카메야마'라고 읽는다. 카메야마는 일본에 실존하는 지명. 통칭 '감자'로 불린다.
16~17레벨대 이펙팅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단독에서나 합작에서나 처리하기 어려운 원핸드 패턴으로 곡의 난이도를 올린다.
2.75. みさこ
코나미 소속의 사운드 디자이너. IV부터는 이펙트를 맡을 때 난이도 하나만 맡고, 나머지 난이도를 각각 다른 3명의 이펙터[12] 가 맡는 특징이 생겼다.
2.76. ユカリ☆chan
'유카리☆짱'이라고 읽는다. BOOTH 시절부터 참여한 고참 이펙터이며, 중저레벨권의 대표 이펙터. 주로 15레벨 이하의 채보를 제작한다. 고레벨 채보는 단독 제작을 하지 않으며 대부분 月刊ミズタニ와 합작한다. SDVX IV 부터 이펙터 활동이 매우 줄어들었다.
여담으로, BE生 방송에서 여성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2.77. レッドホットスクリューズ
항목 참고.
2.78. わかば
3. 합작 명의
3.1. 1+1+1は3じゃないぞ。俺達は1+1+1でメガ松茶だ。⑨倍だぞ⑨倍
"1+1+1은 3이 아니야. 우리들은 1+1+1로 メガ松茶다. ⑨배라구 ⑨배" 라고 읽으며 メガ松茶는 메가마츠챠로 읽는다. MAD CHILD가 트위터에서 Megacycle과 Hirayasu Matsudo, MAD CHILD 3인의 합작이라고 밝혔다. 해당 트윗
- 제작한 패턴 목록
[1] 레미위키에 전체 목록이 있다.[2] 변속, 반회전 등[3] Antonio Guccini와 cosMo@暴走P의 합작인 것으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폭주P가 직접 트위터로 부인하였다. 항목 참조.[4] 일반 활동시에는 보통 USAO와 세트로 묶여서 나온다.[5] 선배 사원의 목소리라는 페이지에 등장. 2000년에 입사한 나름 장수 프로그래머.[6] Night Rockin' Bird는 5볼 이전까지 17레벨이었다.[7] 본업인 음악활동시에는 본명 명의로 주로 작업[8] 슈와슈퍼대작전이라는 곡의 이펙터로 참여한 것이 끝이다.[9] 단, GRV는DJ 摂津와 PHQUASE 3인 합작 [10] 코나스테 버전에서는 GRV 난이도[11] gigadelic (かめりあ's "The TERA" RMX)이 그나마 퀄리티가 높은 편이지만 후반의 뜬끔없는 겹계단 때문에 마찬가지로 비판을 받는 편이다.[12] 楊 麗華, 喜屋武ミカエル, Jessica Toshimitsu. 이 3명 역시 사운드 디자이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