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싹트다. -as the Night's, Reincarnation-

 

'''2019 베스트 에로게 1위'''
2018 5ch - RanceX -결전- /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5ch, 트위터 - 벚꽃, 싹트다. -as the Night's, Reincarnation-'''

2020 5ch, 트위터 - 벚꽃의 구름*스칼렛의 사랑
2018 트위터 -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벚꽃, 싹트다. -as the Night's, Reincarnation-'''
[image]
브랜드
FAVORITE
장르
수천의 밤을 넘어 마음을 잇는, 마법환상 ADV
발매
2019.01.31
시나리오 라이터
우루시바라 유키토(漆原雪人)
원화가
시다 카즈히로(司田カズヒロ)
나츠메 에리(なつめえり)
히라사토(ヒラサト)[1]
SD 원화가
미즈타마(ミズタマ)
'''さくら、もゆ。-as the Night's, Reincarnation-'''
1. 개요
2. 상세
3. 시놉시스
4. 캐릭터
4.1. 주인공
4.2. 메인
4.3. 서브
5. 스토리
5.1. 진짜 장르
6. 평가
7. 기타

[clearfix]

1. 개요


[image]

''' OP1: さくら、Reincarnation
벚꽃, Reincarnation'''
작사
야마모토 미네코(山本美禰子)
작곡
편곡

이시쿠라 타카유키(石倉誉之)
오다카 코타로(小高光太郎)
노래
사사키 사야카(佐咲紗花)
[ 가사 펼치기 · 접기 ]
そう “確か”なこと思い出して
소오 타시카나코토 오모이다시테
그래, “확실”한 것을 떠올려 봐
小さなてのひらに握った花びらが
치이사나 테노히라니 니기잇타 하나비라가
자그마한 손바닥에 꼭 쥐었었던 꽃잎이
ひとひら舞い落ちて
히토히라 마이오치테
한 조각 훨훨 떨어져
初めて出逢ったの
하지메테 데아앗타노
처음으로 만났었던
おんなじ場所で
오은나지 바쇼데
똑같은 장소에서
いつから忘れてた
이츠카라 와스레테타
어느샌가 잊고 있었던
高鳴る気持ちを隠さないで
타카나루 키모치오 카쿠사나이데
고동치는 이 기분을 숨기지 말고
私にすべて見せて
와타시니 스베테 미세테
나에게 전부 보여주세요
You’re smile is mine.
さくら舞う 夜に
사쿠라마우 요루니
벚꽃 흩날리는 밤에
もう一度夢を見よう
모오 이치도 유메오 미요오
다시 한번 꿈을 꿔보자
現実を脱ぎ捨て 花になろう
게은지츠오 누기스테 하나니나로오
현실을 벗어던지고서 꽃이 돼보자
遥かな風の囁き 耳を澄ませば
하루카나 카제노 사사야키 미미오 스마세바
아득한 바람의 속삭임에 귀를 기울여보면
ほら 終わらない
호라 오와라나이
봐요, 끝나지 않아

さくらもゆ 軌跡
사쿠라모유 키세키
벚꽃 싹트는 궤적을
二人で歩んでこう
후타리데 아루은데코오
우리 둘이서 걸어가 보자
降りそそぎ煌めく夢になろう
후리소소기 키라메쿠 유메니나로오
내리쏟아지며 빛나는 꿈이 돼보자
彷徨う迷子のように見失っても
사마요우 마이고노 요오니 미우시나앗테모
방황하는 미아와 같이 놓쳐버린다 해도

ほら 輝く愛は消えない
호라 카가야쿠 아이와 키에나이
봐요, 반짝이는 사랑은 사라지지 않아


''' OP2: 輪廻[br] 윤회'''[2]
작사
야마모토 미네코(山本美禰子)
작곡
편곡

이시쿠라 타카유키(石倉誉之)
오다카 코타로(小高光太郎)
노래
야마모토 미네코(山本美禰子)
[ 가사 펼치기 · 접기 ]
ひとり目覚める朝に
히토리 메자메루 아사니
홀로 눈을 뜬 아침에
射し込む光もなくて
사시코무 히카리모나쿠테
비쳐 드는 빛 하나 없는
闇に鎖(とざ)された部屋の隅(すみ)で
야미니 토자사레타 헤야노스미데
어둠에 가둬진 방 한구석에서
あなたを待っていた
아나타오 맛테이타
그대를 기다리고 있어
繰り返す孤独な夜に
쿠리카에스 코도쿠나요루니
되풀이하는 고독한 밤에
願うのは微かな温もり
네가우노와 카스카나누쿠모리
바라는 것은 어렴풋한 따스함
惹かれ合う惑星(ほし)のように
히카레아우 호시노요오니
서로 이끌리는 행성과 별처럼
廻り逢う瞬間(とき)
메구리아우 토키
다시 만나는 그 때를
夢視(み)て
유메미테
꿈 꿔

あなたの心が描いた希望は
아나타노 코코로가 에가이타 키보오와
그대의 마음이 그려왔던 희망은
今もまだこの夜を照らす光(ほし)
이마모마다 코노요루오 테라스호시
지금도 아직 이 밤을 밝히는 별빛
I'll find you any time and place.
遠く離れても
토오쿠 하나레테모
멀리 떨어져 있어도
その優しさで私を包んで
소노야사시사데 와타시오 츠츠은데
그 상냥함으로 나를 감싸안아줘
新たな朝が来るその瞬間(とき)まで
아라타나 아사가쿠루 소노토키마데
새로운 아침이 올 바로 그 때까지
導いてよ
미치비이테요
나를 이끌어줘

일본의 미소녀 게임 제작 유통사 FAVORITE에서 제작한 에로게. 제목은 원어로 '사쿠라 모유'라고 읽으며 약칭은 사쿠모유(さくもゆ). 2019년 1월 31일 발매됐다.
2018년 12월 19일 체험판(Non H)이 공개되었다.
2020년 4월 24일 한패팀 Myskrpatch에서 한글패치가 나왔다 링크

2. 상세


페이버릿 특유의 작풍이 고스란히 담긴 신작이다. 메르헨 풍 설정, 로리 캐릭터, 화사한 원화, 방대한 스크립트 분량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의 분량은 전작인 이로세카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최소 20~30시간의 분량일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45시간'''의 플레이타임을 가진다.
전작들과 달리 캐릭터 원화가 입체적이며 이목구비의 밸런스가 잡혀 있고 머리카락의 하이라이트가 많이 들어가 있다. 간판 원화가인 시다 카즈히로보다는 협업 원화가 나츠메 에리의 손이 많이 간 작품으로 볼 수 있다. SD 원화는 전작들과 같은 미즈타마 담당.
시나리오 라이터는 이로세카 시리즈를 집필한 우루시바라 유키토이다.
페이버릿 작품 답게 언뜻 치유계처럼 보이는 작품 안쪽에 호러가 숨어 있다. 핏빛 비가 내리는 등 섬뜩한 연출이 존재한다. 독기가 있는 작품을 선호하는 플레이어들에게 어필할 수 있다.

3. 시놉시스


이것은 '마법소녀'의 이야기다.
먼 옛날.
몇 명의 특별한 여자아이들, '마법소녀'가 인류의 미래를 구했다고 한다.
그 싸움은 치열하기 짝 없었다.
모두가 상처입고,
모두가 울고,
모두가 빌었다.
늘 있었다는 듯 '싸우는 이야기'가 그곳에 있었다.
그러나.......
상처입고,
울고,
빌어도,
소녀들은 누구에게도 감사받지 않고,
누구에게도 보상받지 않고,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도 '싸움'은 무사히 끝났다.
'인류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이야기'를 이 이상 없는 해피엔딩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그때로부터 약 10년 후 현재.
......봄.
벚꽃이 만발하는 만남과 설렘이 있는 계절.
일찍이 인류의 미래를 구한 소녀들은, 지금은 이미 "마법"을 잊고, 지극히 평범한 소녀로서 살아가고 있다.
누구나 그렇듯, 지극히 지극히 당연하게 곤란해하고, 골치 아파하고, 헤매고, 살아갈 길을 찾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벛꽃이 흩날리는, 봄 가운데.
"......부탁드려요."
소년, 카나데 타이가는, 또 다른 하나의 봄과 다시 만났다.
"부탁드려요. 제발 저를,
마법소녀로 되돌려주세요."
이것은 '마법소녀'의 이야기...
어떻게 보면, 아니다.
이것은, 행복을 찾아내기 위한 이야기.
이것은, 당신의 인생을 위한 이야기.
벚꽃이 싹트는 '밤'의 한가운데...
두번 다시, 네가 슬퍼하지 않기를.
자, 방아쇠를 당겨라.
단 하나의 상대를 구하기 위해.
나는,
나는 몇 번이고, 흩어질 것이다.......

4. 캐릭터


캐릭터들의 관계가 대부분 소꿉친구다. 메인 히로인 전원이 주인공의 소꿉친구이며 동시에 히로인들끼리도 소꿉친구다. 서브 캐릭터들인 토아 가의 캐릭터들도 주인공과 소꿉친구.
서브 캐릭터들의 비중이 큰 편으로 체험판에서는 메인 캐릭터보다 서브 캐릭터와 더 많이 교류하게 된다.

4.1. 주인공


  • 카나데 타이가((かなで 大雅(たいが)
히무카이에게서 마법사가 되도록 도움을 받았다. 엄밀히 말하면 마법소녀의 힘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자로서의 힘을 받았다. '마법소녀사'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평소 굉장히 여성스러운 얼굴을 하고 있는지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강제로 여장을 당하고, 그 일러스트도 함께 나오는데 상당히 예쁘다.

4.2. 메인




''' 프로필'''
신장
144cm
쓰리사이즈
B75/W55/H79
좋아하는 것
초콜릿
혈액형
AB형
생일
2월 22일
주인공의 소꿉친구. 본 작품의 간판 캐릭터. 아이였던 주인공이 성인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외견은 성장하지 않았다. 원래는 검은 고양이였는데 어릴 적 주인공의 친구가 되기 위해 사람의 모습이 되었다. 낯가림이 심해 사람과 마주치는 것을 두려워 하며 주인공에게도 예외가 아니라 전화로 대화하는 쪽을 선호한다.

  • 히이라기 하루((ひいらぎ ハル) / CV: 미나미 루오[3]
''' 프로필'''
신장
157cm
쓰리사이즈
B89/W57/H88
좋아하는 것
칼로리가 높은 단 과자. 특히 붕어빵.
혈액형
B형
생일
3월 21일
주인공의 소꿉친구. 과거 세상을 구한 마법소녀였으나 지금은 마법을 잊은 평범한 소녀. 전학생으로서 주인공과 재회한다. 자신의 10년 전 이루지 못했던 꿈을 위해 다시 마법소녀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활발해 보이는 외모치고는 내성적인 면이 있는 캐릭터.
''' 프로필'''
신장
145cm
쓰리사이즈
B73/W51/H76
좋아하는 것
화과자. 특히 경단. 오하기.
혈액형
A형
생일
5월 2일
주인공의 소꿉친구. 주인공의 1년 후배. 과거 세상을 구한 마법소녀였으나 지금은 마법을 잊은 평범한 소녀.
  • 요루츠키 히오리(夜月(よるつき 姫織(ひおり) / CV: 카나메 시오리[4]
''' 프로필'''
신장
152cm
쓰리사이즈
B82/W53/H79
좋아하는 것
우유. 단 것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딱히 호불호는 없다. 뭐든지 먹을 수 있음.
혈액형
O형
생일
10월 16일
주인공의 소꿉친구. 과거 세상을 구한 마법소녀. 주인공과 동급생. 일본풍 미소녀이자 무녀이며 굵고 짧은 눈썹이 특징.

4.3. 서브


  • 후유츠키 토야(冬月(ふゆつき 十夜(とおや) / CV: 후타바 마리카[5]
''' 프로필'''
신장
126cm
쓰리사이즈
B60/W48/H67
좋아하는 것
언니가 손수 만든 요리. 푸딩.
혈액형
O형
생일
6월 6일
쿠로처럼 사람으로 변신할 수 있는 고양이.
''' 프로필'''
신장
162cm
쓰리사이즈
B90/W58/H89
좋아하는 것
분식(오코노미야키라던가). 라무네.
혈액형
A형
생일
11월 11일
쿠로처럼 사람으로 변신할 수 있는 고양이. 남성적인 말투를 갖고 있다.
''' 프로필'''
신장
112cm
쓰리사이즈
B72/W49/H77
좋아하는 것
컵라면. 과자. 정크푸드. 때때로 알사탕.
혈액형
AB형
생일
12월 24일
오래된 증기기관차에서 살고 있으며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정령, 혹은 신적인 존재. 죽은 이들을 다음 역으로 보내는 역할을 맡고 있다. 등장 캐릭터들 중 최단신이다.
  • 토아 아즈사(兎蛙(とあ あず() / CV: 하나미야 스즈네[6]
''' 프로필'''
신장
152cm
쓰리사이즈
B87/W52/H84
좋아하는 것
달걀 요리. 특히 남동생이 만들어 주는 달걀말이. 달지 않은 달걀말이가 좋다.
혈액형
B형
생일
9월 11일
전직 마법소녀. 주인공의 1상 연상 소꿉친구. 주인공들과는 다른 학교에 다닌다. 동생을 일부러 보러 먼 길을 올 정도이며 동생이 만든 음식도 좋아한다.
''' 프로필'''
신장
181cm
좋아하는 것
호불호 없음.
혈액형
B형
아즈사의 남동생. 타이가의 죽마고우. 훤칠한 미청년이며 자기는 모르지만 주변인들에게 인기가 많다. 머리에 꽃모양 머리핀을 달고 있다. 누나도 마찬가지.

5. 스토리


주인공과 동료들이 '밤의 세계'로 진입해 부정적인 감정들의 결정체인 '악몽'들을 이해해주고 소멸시켜주는 '해결사'적 플롯을 가진 작품이다. 부모에게 버림 받은 아이가 착한 아이 증후군에 걸려 생긴 부정적인 감정들이 폭주하여 곰인형 모양의 괴물이 되고, 그 인형이 아이의 자살을 유도하지만 주인공 일행이 이를 발견하여 싸워 이기고 소멸시켜주는 식이다. 모노노케를 본 사람이라면 작품의 진행을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

5.1. 진짜 장르



사실 이 작품은 타임 리프물이다.
플레이를 하다보면 마을의 소문들을 찾는 게 나오는데 이 때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기차가 있다는 발언이 나온다.[7]
여기서부터 시간여행 떡밥을 던져놓은 뒤 그 이후에 토아 아즈사의 개성으로 인한 시간가속 등 대놓고 시간이동 요소가 나온다. 실제로 히이라기 하루 루트에서는 사쿠모유의 핵심인 도구까지 나온다.[8] 사실상 마법소녀보다 타임리프가 더 많이 나온다.

6. 평가


<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924D 32%, #BD232F 33%, #BD232F 67%, #005598 68%)" '''미소녀 게임 연말 시상식 수상 실적'''
[ 펼치기 · 접기 ]







스태프가 전작들과 같고 작품의 장르, 시놉시스의 구조, 캐릭터 구성, 방대한 분량까지 이로세카와 판박이다. 플레이 타임은 약 45시간으로 굉장한 분량이다.
일본의 유명 소설 은하철도의 밤에서 모티브를 따왔음을 알 수 있다.
오프닝과 원화는 기존의 작품들보다 발전했다. 특히 시다 카즈히로의 원화는 개성 있다는 평을 받지만 반대로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인데 원화가의 협업으로 예쁘면서도 무난한 원화를 선보여 보다 접근성이 높아졌다.
스토리에 관해서는 2019년 출시된 에로게들 중 최상위권에 꼽힐 정도로 훌륭한 나키게라는 평을 받지만 스토리텔링에 단점이 있어서 실제로 플레이해본 유저들에게서는 호불호가 꽤 갈리는 편이다. 에로게스케이프에서의 평가도 중앙값은 90이라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지만 평균값은 무려 6점이나 떨어진 84점인데 84점이 낮은 점수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게임들이 중앙값과 평균값의 차이는 3점 내외라는 것을 감안하면 스토리 퀄리티로 한 해의 화제작이 된 것치고는 놀라울 정도로 호불호가 갈린 작품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물론 호불호로 인해 떨어진 평균값조차도 84점이기에 불호를 감안해도 괜찮은 작품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기대치에 미치지는 못했다는 평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
무엇이 문제냐면 게임의 초중반부가 루즈하고 후반부가 되어서야 재미가 있어지는 사두용미형 구조이기 때문. 플레이 시간이 길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목되었는데 물론 스토리의 분량이 방대해서 자연스럽게 플레이 시간이 늘어난 것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뿐만 아니라 스토리상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부분을 질질 끄는 부분들이 많으며 이미 했던 이야기를 또다시 반복하며 문체도 장황한 편이기 때문에 플레이 시간이 스토리에 비해 길어지게 된 것이다.
스토리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주인공에 대한 감정이입도 중요한데 주인공이고 히로인이고 간에 전부 과거에 모종의 사건을 겪었고 그로 인해 현재의 사고방식을 갖게 되었는데 정작 과거에 무슨 일들을 겪었는지 그 자세한 사정은 플레이어들에게는 중후반부까지는 꽁꽁 숨겨놓고 작중 캐릭터들만 알고 있다는 식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스토리텔링에 관해서도 나중에 그 사정이 전부 드러날 때는 떡밥이 회수되는 통쾌함과 함께 그 내용에 대한 놀라움을 느낄 수 있지만 그 전까지는 주인공의 과거사는 물론이고 스토리 이해의 근간이 되는 세계관 설정까지도 거의 모든 게 베일에 쌓여있는 스토리에서 무슨 재미를 느껴야할지 모르겠다며 곤혹해하는 유저들도 있다. 수수께끼를 차근차근 풀어나가는 스토리텔링 기법 자체는 추리 게임이나 소설에서도 흔히 쓰이는 기법이지만 일반적으로는 플레이어(독자)가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떡밥 투척과 회수를 적절하게 하는데 본작은 떡밥 회수 속도가 투척에 비해서 좀 느린 편이고 방대한 분량과의 안 좋은 시너지까지 발생해서 체감상으로 더더욱 느리게 느껴진다.
사실 초중반부가 좀 루즈한 것은 주인공의 심경 묘사와 행동 하나하나에 분량을 할애한 탓도 큰데, 이러한 세세한 묘사는 원래대로라면 플레이어가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을 할 수 있도록 해서 스토리에 몰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지만 본작은 심경 묘사는 불필요할 정도로 세세하게 하면서 정작 감정이입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왜 이런 사고방식을 갖게 된 건지에 대해서는 감춰둬서 감정이입을 못하게 막아놨기 때문에 서로 각각의 단점만이 부각되게 된 불협화음이 일어나게 된 것.
그렇기에 지루하고 스토리의 파악 자체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초중반부에서 이건 수면게라면서 버티지 못하고 중도 하차를 하는 유저들이 많다. 하지만 모든 떡밥이 회수되며 포텐이 폭발하는 후반부는 스토리 퀄리티가 매우 훌륭해서 이 게임을 끝까지 플레이한 유저들에게서는 게임의 평가가 엄청 좋고 최종적으로는 2019년을 대표하는 에로게 중 하나가 되었을 정도로 고평가를 받는다. 결국 초중반부가 최대 고비라는 것. 그래서 초중반부에서 스토리상 별로 쓸모없는 부분들을 과감하게 쳐내고 전개를 좀 빨리 했다면 지금보다 평가가 더 좋아졌을 거라는 의견도 있다.
스토리의 평가하고는 별개로 이 게임의 장르는 결국 에로게인데 정작 에로한 부분은 별로 없어서 반찬으로는 못 써먹는 작품이라는 비판도 있다.

7. 기타


  • 오프닝 무비 54초 구간에서 숨겨진 히로인을 확인할 수 있다.
  • 오프라인 행사에서 게임의 초반부를 소설 형식으로 읽을 수 있는 책자를 배포하였다.
  • 발매연기가 잦았던 게임이다. 2018년 9월 27일 발매 예정이었으나 연기하여 약 3개월 이후인 2018년 12월 21일 발매 예정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2019년 1월 25일로 발매 예정일을 2차 연기하였다. 디렉터 공인, 제작진은 연말연시까지 희생하며 제작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1월 31일로 발매일을 3차 연기하였다. 업계에서 드문 1주 단위 발매연기. 만약 1달 단위로 연기했더라면 유저들이 지쳐 나가떨어졌을 것이다. 1월 21일 마스터업 확정이므로 4차 연기는 없었다.
  • 증기 기관차라는 소재의 공통점 때문인지 Lose마이테츠와 콜라보가 진행된다.
  • 마스터 업 기념 일러스트 [9]

[1] 남성 서브 캐릭터 담당[2] 트루 루트 진입 후에 나오는 오프닝[3] 신인이다.[4] 토리노라인의 시로네를 연기했다.[5] 아스트라에어의 하얀 영원 Vita판 및 팬디스크에서 유우키를 연기했다.[6] 아스트라에어의 하얀 영원 Vita판 및 팬디스크에서 유키를 연기했다.[7] 나나의 기차. 주인공이 맨 처음 쿠로와 같이 타고 온 기차다.[8] 이 부분은 나중에 진엔딩을 가기 위한 밑밥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9] 전신 일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