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복야
1. 연혁
상서복야(尙書僕射)는 중국 후한 시대에 생겨난 벼슬이다. 후한에는 상서복야가 있었고 이후 좌우로 나뉘었다.
수나라에서는 좌우 복야 둘다 재상이었다.
당나라에서 좌복야는 종2품, 우복야는 정3품이었다. 태종이 진왕(秦王) 시절 상서령 자리를 잠깐 맡았다는 이유로 상서령이 임명되지 않으면서 상서성(尙書省)의 실질적인 장관이 되었다. 명칭은 시기에 따라 복야, 승상, 승(丞) 등으로 일정하지 않았다.
고려는 3성 6부제를 받아들이면서 상서성에 좌우 복야를 두었고 모두 정2품으로 하였다. 상서성(尙書省)의 실질적인 장관이다.
조선은 상서성을 대체한 삼사#s-1에 좌우 복야를 두었고 그 품계는 고려와 같았다. 1400년(정종 2)에 사라졌다.
2. 위상
당나라에서는 중서문하(中書門下)가 비대해지면서 상서성의 입지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나 참지정사(參知政事)를 겸하지 않으면 재상이 아니었고 고려에서도 같다. 조선에서는 도평의사사에 참여할 수 있는 자리였다.
3. 매체
명칭이 자주 바뀌었고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를 제외하면 요긴한 자리가 아니었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사극에서도 나오지 않으며 한국에서 유일하게 나온 사극은 〈연개소문〉 뿐이다. 연개소문 자체는 역사왜곡 등 고증이 엉망인 사극으로 악명높은데, 황당하게도 이거 하나만은 제대로 고증한 셈이다[1] .
4. 역임 인물
- 김치양 - 고려 상서우복야
- 지채문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용[2] - 고려 상서우복야
- 정중부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의민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양[3] - 고려 상서좌복야
- 왕국모 - 고려 상서좌복야
- 고의화[4] - 고려 상서좌복야
[1] 대조영에서는 복야라고 하지 않고 '승상' 이라고 했던 것과 대조된다.[2] 최윤의와 숙비 최씨(예종의 아내)의 친부.[3] 김인존의 조부.[4] 이자의를 죽인 숙종의 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