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양

 

'''고려의 반역자'''
'''작위'''
'''농서현 개국남(隴西縣 開國男)'''[1]
'''본관'''
동주 김씨
'''이름'''
치양(致陽)
'''아들'''
?
'''생몰연도'''
? ~ 1009.02.03
1. 개요
2. 생애
3. 역임 관작
4. 대중매체에서
5.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고려 초기의 환속한 승려이자 권신. 천추태후의 비공식적 연인이자 남편.

2. 생애


고려 동주(현 황해도 서흥) 출신으로 고려사에 의하면 천추태후의 외가 쪽 친척이다.[2] 승려를 사칭하면서 궁궐에 드나들었고 당시 왕인 성종의 동생 천추태후와 불륜을 저질렀다가 성종이 이 사실을 알고는 유배보냈다고 한다.
천추태후의 남편 경종은 이미 승하한지 오래였고 김치양도 승려를 사칭했다고 하니 일단 정실 부인은 없었던 것 같지만 이건 지극히 현대적 관점으로 역사를 바라볼 때 생기는 오류이다. 당시 상황에 아무리 고려가 재혼이 나름 자유로웠다 한들 왕실의 여인, 그것도 황후된 사람으로는 불륜이 맞다. 이는 권력 때문인데 왕의 어머니인 태후가 재혼을 한다면 명분적으로 김치양은 왕의 새아버지와 같은 지위가 된다. 이는 왕 자신의 정통성과 권위 그리고 권력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는 일이었던 셈.
성종이 승하하고 천추태후의 아들 목종이 즉위하자 김치양은 유배지에서 돌아와서 천추태후의 측근이자 연인으로 공공연히 궁궐을 드나들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둘 사이에 아들까지 태어났다.
이렇게 김치양은 태후의 사랑에 힘입허 합문 통사사인(閤門 通事舍人)[3]에서 우복야[4] 겸 삼사사[5]의 지위에 오르는데 권세가 대단해져 제멋대로 횡포를 부리고 재산을 축적하며 천추태후의 지위를 이용해 죄없는 신하들을 많이 모함했다.
그리고 자신의 집을 자주 늘렸으며[6] 뇌물을 받고 관직을 정하였으며 자신의 집과 호수 공사에 백성들을 노임도 주지않고 마음대로 동원하며 부려먹는 행패를 저질렀다. 목종은 그를 싫어했지만 어머니에게 약했기 때문에 차마 쳐내지 못했다. 하지만 김치양의 행동은 점점 도를 넘어서서 목종에게 자식이 없는 것을 기회로 자신과 천추태후와의 사이에 낳은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기까지 한다. 아들은 물론 김씨일 것이므로 사실상 왕조 교체를 기도한 셈.[7] 그리고 자신의 아들이 왕위에 오르게 하기 위해 천추태후의 동생 헌정왕후의 아들로서 당시로서는 유일하게 적법한 왕위 계승권자였던 대량원군 순의 목숨을 노리기 시작한다.
그러자 목종도 더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대책을 세우게 된다. 북방 지역에서 강력한 군사력을 갖고 있던 장수 강조에게 비밀리에 연락해서 군사를 이끌고 개경으로 와 자신을 보위하고 김치양의 세력을 몰아내라는 지시를 내린 것이었다. 그러나 강조는 아예 목종까지 폐위하는 이른바 강조의 정변을 일으키게 되었고[8] 와중에 김치양은 강조의 군사들에게 붙잡혀 그의 세력 및 아들과 함께 함부로 권세를 휘둘러 나라를 어지럽혔다는 이유로 처형당했다.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성기가 아주 컸다고 한다. 바퀴를 성기에 끼워 돌릴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하는데 이는 사기에서 진시황의 모친인 조희와 내연 관계였던 환관 노애에 대한 기록에도 똑같이 나오는 신체적 특징이다. 하지만 인간의 성기가 그 정도로 크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로 봐야하기 때문에 아마도 그만큼 성생활이 문란했다는 표현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다.

김치양은 동주 사람으로 천추태후 황보씨의 외족이다. 성격이 간교하고, 음경은 수레바퀴를 능히 걸 수 있을 정도였다. 일찍이 거짓으로 중 행세를 하면서 천추궁에 출입하여 자못 추한 소문을 일으키니 성종이 이를 알고 곤장으로 다스려 먼 곳으로 유배 보내었다.

<<고려사>> <김치양 열전>


3. 역임 관작


'''고려사고려국 금자대장경 대보적경에 따른 김치양의 관작'''
'''직위'''
997년(?)
합문통사사인(閤門通事舍人)
합문 부서의 직위. 합문은 행사 준비 부서였다. 통사사인은 정7품 직.
????년
우복야 겸 삼사사(右僕冶 兼 三司使)
우복야는 국방, 외교, 입법, 호구 등 모든 부서(상서성)의 장관 중 하나고 삼사사는 국가 재정 담당 부서(삼사)의 차관이다.[9] 우복야는 정2품, 삼사사는 정3품이다.
1007년(?)
상서좌복야 - 판삼사(尙書左僕射 - 判三司)
좌복야는 상서성의 장관 중 하나다. 판삼사는 삼사의 장관이다. 판삼사는 재상이 겸직하기에 품계가 없다.
'''문산계 품계'''
1007년(?)
대중대부(大中大夫)
종4품 상이다. 이상하게 역임한 관작에 비해 품계가 매우 낮다.
'''작위'''
1007년(?)
농서현 개국남(隴西縣 開國男)
남작 작위. 봉지인 농서현은 김치양의 본관인 현 황해도 서흥군으로, 당시 동주였다. 고려사 지리지 평주 기록엔 농서는 성종이 정한 동주의 별칭이라고 한다.

4. 대중매체에서



4.1. 천추태후


드라마 천추태후에서는 김석훈[10]이 연기했다. 역사를 판타지로 쓴 드라마답게 엄청난 상상력이 가미되어 완전히 딴판인 인물로 그려졌다. 김씨라는 점에서 착안해서 김치양의 정체가 신라의 마지막 태자 마의태자의 손자라는 설정으로 나오며[11] 이 때문에 신라 부흥의 임무를 떠맡은 인물로 그려지고 고려 내 신라계 세력[12]에게 호시탐탐 암살 위협을 받는다. 때문에 심지어 김치양이라는 이름조차 본명이 아닌데 이는 어린 시절 숨어살던 사찰에서 함께 놀던 동자승의 본명이고 본인의 본명은 김행이며 자객이 올 것을 예견한 여진족 출신 후원자가 둘의 이름을 바꿔부르도록 해서 후에 자객에게 친구는 죽고[13] 본인은 살아남아 김치양이란 이름으로 살아가게 된다. 이후 천추태후와 연인 관계가 되어 목종 집권 후 권세를 누리지만 한편으로는 신라 왕조의 부활을 위해 암약한다.
천추태후와 자신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고려의 왕위에 올리는 방법으로 신라 왕조를 부흥시키려 하지만 대량원군을 왕위 계승자로 지지하는 천추태후의 동의를 얻지 못하자 대대적으로 반란을 일으키는 무리수를 둔다. 일단 도성을 점령하는데는 성공하나 워낙 기반이 미약했던 관계로 얼마가지 않아 진압당하고 본인은 천추태후의 손에 직접 죽는다. 이로 인해 삶에 뜻을 잃은 천추태후가 스스로 물러나 현종에게 자리를 넘겨주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이후 발생하는 강조의 정변은 강조가 목종과 천추태후를 몰아냈던 실제 역사와는 정반대로 천추태후와 목종의 양위에 반대한 강조가 새 정권에 맞서 일시적으로 일으킨 정변으로 묘사되었다. 그리고 김치양과 천추태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극중에서 정한 이름은 '김진')은 목종이 폐위된 후에도 죽지 않고 우여곡절 끝에 여진족 쪽으로 흘러들어가서 훗날 금나라를 세우는 아골타의 조상이 된 것으로 나온다. 아골타의 조상 김함보가 고려 출신이라는 것은 의외로 정사인 금사에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아들이 이 사람이라는 것은 드라마의 끼워맞추기에 불과하며 실제 역사에서는 부자가 함께 처형당했다.[14]

5. 같이보기


[1] 고려국 금자대장경 대보적경 발문 기록.[2] 고려사 열전에 동주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동주 지역의 호족이었던 김행파의 후손임이 유력해보인다. 김행파는 동주의 유력 호족으로 후에 태조 왕건의 후궁이 된 대서원부인과 소서원부인의 아버지이다. 게다가 김행파는 왕건에게 김씨를 '''사성'''받은 것이기 때문에 그가 정말 동주 출신 김씨라면 김행파로부터 성씨를 물려받았다고 볼 수 밖에 없다.[3] 합문 부서에 소속된 하급 관직. 합문은 왕실 조회 및 의례 진행을 담당한 부서다.[4] 상서성 장관.[5] 삼사 부서의 차관. 삼사는 조정의 재정을 관리하던 부서.[6] 집의 크기가 300여 칸이 되었다고 한다.[7] 이것을 신라 부흥 시도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일단 동주(洞州) 출신으로 기록되어 서흥 김씨인 김치양은 신라계 김씨가 맞고, 고려사에서 김치양의 아들을 목종 다음 왕위에 올리려 계획한 것까지는 사실이나 거기에 그 목적(신라 부흥)까지는 적혀있지 않다. 드라마 천추태후에서도 이 설을 받아들여 마의태자 이야기까지 붙여서 각색했다.[8] 이 부분에 대한 고려사 기록이 무척 묘하다. 강조의 아버지가 목종이 김치양 일당에게 시해당했다는 헛소문을 진실로 믿고 강조에게 전달해서 강조가 김치양 일당을 없애려고 개경으로 진격했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가보니 목종이 살아있어서 국왕의 허락없이 군대를 함부로 움직인 꼴이 되어 역적으로 처단될까봐 목종을 폐위했다는 것이다.[9] 즉 김치양은 정확히 국가의 고위 실무직이자 요직들만 차지한 것이다.[10] 징비록(드라마)에서 이순신 장군 역을 맡았던 배우.[11] 실제로 서흥 김씨에서는 경순왕의 후손으로 주장하고 있다. 일단 성씨 사칭이 일반화되지 않은 당시에 신라 국성 김씨라는 것 자체가 마의태자는 아니더라도 신라계 후손일 가능성은 높다.[12] 작중에서는 신라계이기는 하지만 신라 부흥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고려 내에서 안녕을 추구하는 세력으로 설정.[13] 이후 신라계에서는 김행이 죽은 것으로 판단해 더이상 자객을 보내지 않는다. 대신 그 친구는 극중에서 2번이나 페르소나로 나타나 김치양을 까대기는 했다.[14] 드라마에선 이것도 김치양의 부하인 사가문의 아들과 바꿔치기한 것으로 묘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