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 안토니오급 수송상륙함
[image]
[image]
[image]
'''''San Antonio''-class Amphibious Transport Dock'''
미 해군이 2006년부터 운용을 시작해 2020년 현재 11척을 운용중이며, 원래 12척이 계획되었다 11척으로 1척이 취소되었으나 미국의 전략변화로 (2020년 기준)2척이 추가 건조중이며 또한 Flight II 로 개량형 Harrisburg LPD-30 함이 추가 건조중에 있다.상륙함.
이 함정은 와스프급 강습상륙함과 같은 LHD (Landing Helicopter Dock),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과 같은 LHA (Landing Helicopter Assault) 등의 강습상륙함과는 달리, 앞뒤로 통하는 비행갑판이 없는, 상륙용주정 등의 수송 및 운용능력을 강화한 LPD (Landing Platform Dock) 형태의 상륙함이다.
평갑판이 아니므로 STOL 항공기를 운용하지는 않지만[1] , 뒷갑판은 상당히 넓다. UH-60, CH-46, MV-22 4대를 동시에 계류하고 순차 이륙시킬 수 있다. 갑판을 반으로 나누어 2대분인 뒷부분을 이착륙용으로 사용하면서 앞부분은 헬리콥터 몇 대를 로터를 접어 밀어두고 계류장으로 쓰는 사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MV-22 오스프리는 4대를 계류하되, 2대는 날개를 완전히 펼치고 2대는 날개를 접은 식이다.
1. 설계방식의 특징
샌 안토니오급은 이전의 트렌턴급, 오스틴급, 클리블랜드급 수송상륙함 및 앵커리지급 도크상륙함,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찰스턴급 수송함을 대체하는 대형 수송상륙함으로, 이전의 미 해군 함정들에 비해 많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미터법으로 설계된 최초의 미 해군 주요 함정으로, 기계류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미국식 단위가 많이 적용되어 있지만 함체의 설계가 미터법을 기준으로 하여 밀리미터 단위까지의 정확성을 기했다는 것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제작사인 노스롭 그루먼에서는 샌 안토니오급에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여 RCS 값을 크게 줄였고, 그래서 상부구조물의 모양도 특징적인 다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각종 레이더, 안테나, 센서 등을 마스트에 통합하였다. 자체방어무장도 단거리 대공미사일인 RAM 21연장 발사기 2기는 물론 중거리 대공미사일인 ESSM 8연장 발사기 2기도 갖추고 있으며, 팰렁스 CIWS, 부쉬마스터2 30mm 기관포도 2기씩 갖추고 있는 한편 M2 브라우닝 중기관총도 다수 장비하여 미사일 방어는 물론 모터보트를 이용한 자폭돌격 등과 같은 비대칭 공격에도 대응하고 있다.
충실한 생존성은 이뿐만이 아니다. 함체는 40년 이상 운용하는 것을 전제로 튼튼하게 되어 있으며, 자체무장도 빈약하고 구조가 약해서[2] 20년밖에 운용못할 영국 해군의 오션급과는 여러모로 대조된다. 그런데 미국 내에서는 이것조차 전투상황에서 생존성을 보장해 줄지는 모르겠다고 회의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이도 있다.
승무원의 편의를 위한 시설을 많이 갖추고 있다.
2. 탑재장비와 위상
[image]
(초기 일러스트라 마스트가 구식 마스트로 그려져 있다.)
샌 안토니오급은 공기부양정 2척 아니면 상륙용주정 1척을 탑재하며 별도로 상륙장갑차 14대도 수송가능하다. 이를 위해 함체 내부에는 크고 아름다운 격납고 및 선체를 낮추어 웰덱에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다. 아래 일러스트를 살펴보자.
[image]
[image]
내부 장비탑재공간 절개도
또한 비행갑판에서는 CH-46 중형 수송헬리콥터 4대 또는 V-22 틸트로터기 2+2대가 동시에 착발가능하며, 항공기 격납고에는 V-22를 4대까지 수납가능하다. 함폭이 독도함과 비슷한데, 격납고와 비행갑판의 앞쪽 반에 헬리콥터를 계류하고, 비행갑판의 뒤쪽 반을 이착륙에 이용하기도 한다.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이 퇴역하고 나면 항공강습에 특화된 후계함인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이 취역하기 때문에 샌 안토니오급 수송상륙함은 와스프급 강습상륙함과 더불어 상륙장비 운용의 주축으로서 활약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3. 동급함정일람
- 1번함 샌 안토니오(USS San Antonio, LPD-17)
- 3번함 메사 베르데(USS Mesa Verde, LPD-19)
2007년 12월 15일에 취역하였다. 노스롭 그루먼의 루이지애나주 에이번데일 조선소에서 건조되었고 버지니아주 노포크 군항을 모항으로 하고 있다.
- 4번함 그린 베이(USS Green Bay, LPD-20)
2009년 1월 24일에 취역하였다. 노스롭 그루먼의 루이지애나주 에이번데일 조선소에서 건조되었고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군항을 모항으로 하고 있다.
2009년 11월 7일에 취역하였다. 노스롭 그루먼의 루이지애나주 에이번데일 조선소에서 건조되었고 버지니아주 노포크 군항을 모항으로 하고 있다. 자매함은 7번함 앵커리지 및 8번함 서머셋.
뉴욕함의 함수부분의 일부인 스템 바(stem bar)에는 9.11 테러 때 붕괴되었던 세계무역센터의 잔해 철골 6.8톤이 포함되었으며, 제작과정도 종교행사같이 조심스럽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게다가 어떤 직원은 40년 근속 후 퇴직할 예정이었지만 이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퇴직을 늦추었다고 하는 일화도 있다.
2005년 건조당시에는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영향하에 있기도 했다.
뉴욕함의 함수부분의 일부인 스템 바(stem bar)에는 9.11 테러 때 붕괴되었던 세계무역센터의 잔해 철골 6.8톤이 포함되었으며, 제작과정도 종교행사같이 조심스럽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게다가 어떤 직원은 40년 근속 후 퇴직할 예정이었지만 이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퇴직을 늦추었다고 하는 일화도 있다.
2005년 건조당시에는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영향하에 있기도 했다.
2012년 5월 19일에 취역하였다. 노스롭 그루먼의 미시시피주 잉걸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고 이름이 붙여진 것과 같이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군항을 모항으로 하고 있다.
노스롭 그루먼의 루이지애나주 에이번데일 조선소에서 건조.
노스롭 그루먼의 미시시피주 잉걸스 조선소에서 건조.
노스롭 그루먼의 루이지애나주 에이번데일 조선소에서 건조.
9.11 테러 당시 여객기 안에서 테러리스트들과 맞서 싸운 유나이티드 항공 93편의 승객들의 용기를 기념하기 위해, 당시 여객기의 추락지점인 펜실베이니아주 서머셋 카운티에서 이름을 따 왔다.
9.11 테러 당시 여객기 안에서 테러리스트들과 맞서 싸운 유나이티드 항공 93편의 승객들의 용기를 기념하기 위해, 당시 여객기의 추락지점인 펜실베이니아주 서머셋 카운티에서 이름을 따 왔다.
- 10번함 존 P. 머서(USS John P. Murtha, LPD-26)
노스롭 그루먼의 미시시피주 잉걸스 조선소에서 건조.
- 12번함 포트 로더데일(USS Fort Lauderdale, LPD-28)
노스롭 그루먼의 미시시피주 잉걸스 조선소에서 건조중이다.
- 13번함 리차드 M. 맥쿨 주니어(USS Richard M. McCool Jr, LPD-29)
노스롭 그루먼의 미시시피주 잉걸스 조선소에서 건조중이다.
4. 제원
5. 여담
미국에서 이 배의 설계 일부를 인터넷으로 접근가능한 사이트에 공개했다가 닫았다는 루머가 있었다. 당시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탈냉전 후 오만해진 미국이 "따라올테면 따라와보라"며 실수했다는 분위기. 공교롭게도 나중에 중국에서 비슷하게 생긴 유자오급 강습상륙함(Type 071)이 나오는 바람에 밀덕들 사이에서 화제거리가 되었다.다만 정작 중국은 유자오급을 만들때 스페인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구축함급 빠른 속력은 나오지 않지만 최소한의 자함방어능력을 가지고 전투함대와 같이 행동할 수 있는 군함으로서 넉넉한 공간과 출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레일건이나 레이저 요격시스템용 실험에 쓰이기도 하고 아스널쉽이나 거대한 장거리레이더를 싣는 피켓함 형태의 파생형이 제안된 적도 있다.
[1] 미군이라서 안 쓸 뿐이지 다른 나라 해군이라면 해리어나 F-35B를 원한다면 충분히 굴릴 수 있는 배다.[2] 민간 선박의 장점을 알고서 적용한 것이다. 싸니까. 우리가 인도네시아에 수출한 탄중달펠레급도 만재배수량 1만 톤이 넘지만 선체와 민수형 수준의 항해장비와 경무장에 4백억대 정도밖에 안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