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륙함

 



[image]
고준봉급 상륙함인 성인봉함의 상륙훈련
한자: 上陸艦[1]
영어: Amphibious Warfare Ship
적이 점령중인 연안에 아군 병력을 상륙시키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군함.
1. 개요
2. 상륙함의 개념정립 역사
2.1. 갈리폴리 전투의 비극
2.2. 미국에서 연구된 신개념 상륙전술
2.3. 헬리콥터, VTOL, 그리고 호버크래프트의 시대
3. 특성
4. 종류
4.1. 미 해군의 분류기준
5. 각국의 상륙함 일람
5.1. 대한민국 해군의 상륙함
5.2. 외국의 상륙함
6. 관련항목


1. 개요


상륙전, 즉 바다에서 육지로의 전력투사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군함을 말하며, 상륙함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군함의 범위가 넓어서 수십톤급의 소형 상륙정에서부터 4만톤이 넘는 강습상륙함까지 크기와 종류가 천차만별이다.
적이 점령중인 연안을 기습할 상륙세력을 수송할 것을 주 임무로 하며, 많은 경우 항만의 사용이 불가능한 연안에서 운용할 것을 요구받는다. 또한 꼭 전시가 아니라도, 섬에 주둔한 군부대에 대한 군수지원 임무, 재해현장에서의 구호활동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군용기 중에서 수송기공수부대를 투하하거나 전장, 오지 등을 오가며 수송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연상하면 이해가 빠르다.

2. 상륙함의 개념정립 역사



2.1. 갈리폴리 전투의 비극


과거의 범선시대나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그냥 배에서 내려서 돌격하거나 혹은 보트로 상륙하는 정도가 고작이었지만, 상륙전의 규모가 커지고, 그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상륙전에 특화된 함정의 필요가 대두되었다.
기존의 상륙전 방식이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음을 보여준 사례는 1915년의 갈리폴리 전투였다. 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도 25만명의 인명피해를 기록했지만, 영국군, 호주-뉴질랜드로 결성된 안작(ANZAC)군, 프랑스군 등 연합군이 온갖 개삽질을 한 끝에 22만명을 죽게 만들어 버렸다. 이미 기관총 등의, 파괴력과 연사력이 월등한 신형무기가 널리 쓰인 이상 기존의 돌격은 그냥 목숨을 내다버리는 바보짓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런데 이 갈리폴리 전투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교훈을 찾지 못했고, 결국 새로운 시대의 상륙전술은 상당기간 연구가 정체된 채로 있었다.

2.2. 미국에서 연구된 신개념 상륙전술


새로운 상륙전술은 1920년대 이후 미국에서 개발되었다. 특히 바나나 공화국이라고 불리던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소규모의 상륙전투를 자주 했던 미 해병대를 중심으로 상륙전 교리가 발달했고, 그에 맞추어 1930년대 말에는 본격적인 상륙함이 탄생하는 등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미국은 상륙지점 연안까지 병력을 수송하는 대형함(ship) 그리고 대형함에서 발진해서 해안에 직접 상륙시키는 상륙주정(craft)을 창안해 냈고, 수송선 등을 개조하여 상륙함을 대량으로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그런데, ship-craft 개념에 예외가 있었다. 전차상륙함(LST)이 그 예로, 크고 무거운 전차를 직접 상륙시키려면 역시 큰 배가 한꺼번에 실어 나르는 것이 유리했기 때문에 전차상륙함은 해안에 직접 접안해서 전차를 내려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전차상륙함만큼은 직접 접안하고, 전차를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게 함수에 대형 출입문을 만들어 놓는 식으로 설계되었다. 처음 LST 형태의 상륙함을 만들어 테스트 할 때, "이 배를 몰고 '''해안으로 돌진하라'''" 라는 명령을 받은 함장들은 배를 일부러 좌초시키라는거냐며 벙쪘다고... [2]덧붙이면 이러한 램프식 상륙정을 세계 최초로 도입한 것은 의외로 중일전쟁 시기의 일본군이었다. 미군이 일본군 것을 베낀 정말 몇 안되는 사례중 하나다.
이같이 입체적인 작전을 하는 데에는 기존의 해군 함정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업무가 있다고 판단되어, 상륙지휘함의 개념도 고안되었고, 또한 그냥 병력을 상륙시키다가는 갈리폴리 시즌 2를 찍을 수도 있었기에 전함, 순양함, 구축함 등의 강력한 화력지원도 필요해졌다[3]. 하지만 이와 같은 장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상륙작전은 여전히 위험했다. 적의 화력 이외에도 목적지의 조석상황, 해안의 재질 등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었다.

2.3. 헬리콥터, VTOL, 그리고 호버크래프트의 시대


헬리콥터가 발명되어 새로운 가능성이 보이고, 게다가 터보샤프트엔진이 헬리콥터의 엔진으로 사용되면서 헬리콥터는 보다 강력하고 신뢰성 높은 수송 및 타격수단이 되었다. 이것이 상륙전의 양상을 바꿔 놓았고, 따라서 상륙함의 설계에도 큰 전환점을 제공하였다.
헬리콥터 강습이 최초로 이루어진 것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대한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의 무력개입인 수에즈 전쟁이었고, 여기서 헬리콥터를 이용한 강습이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영국군이 항공모함 2척에서 헬리콥터를 발진시켜 대대 규모의 병력을 동원한 전술은 이후 미국의 강습상륙함 운용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고정익기에도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정규 항공모함이 아닌, 만재배수량 20,000톤 미만의 경항공모함 또한 해리어 전폭기로 실증된 VTOL 기술로 가능해졌고, 미 해병대는 해리어를 도입하여 강습상륙함의 고정익 함재기로 잘 운용하고 있다.
또한 공기의 힘으로 수면 위를 뜰 수 있는 호버크래프트도, 기존의 상륙용 주정으로는 달성하기 힘든 고속으로 비교적 중량의 차량, 장비를 수송가능하게 하여 상륙용 주정과 헬리콥터의 단점을 보완하는 식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웰덱(well deck)을 갖춘 상륙함의 경우 호버크래프트를 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3. 특성


해상에서 적의 군함 및 항공기와 교전할 것을 전제로 한 군함과는 달리, 상륙함에는 상륙작전을 위한 별도의 장비와 병력을 실을 수 있는 공간 및 탑재장비를 운용할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국의 고준봉급의 경우 내부에 차량을 실을수 있는 공간인 "덤블"과 상륙군(해병대)침실이 별도로 존재하고 있으며, 후갑판에 헬기가 착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륙병력을 상륙시킬 별도의 램프도어 있으며, 독도급의 경우에도 헬리콥터 전용의 비행갑판과 상륙주정을 탑재할 수 있는 도크와 엘리베이터가 존재한다.
이러한 장비들 때문에 공간상의 문제가 생겨서 함의 자체 무장은 상대적으로 빈약해지는 측면이 있다. 만재배수량이 40,000톤을 넘어가는 미 해군의 강습상륙함조차도 그보다 작은 다른 나라의 항공모함보다 무장이 빈약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다만, 어차피 상륙작전에는 펀치력이 강한 대형 군함이 많이 따라다니니까 굳이 과무장을 할 이유는 없다.

4. 종류


상륙작전의 형태와 역할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4]
  • 해안에 직접 접안하여 전차를 비롯한 차량과 상륙병력을 상륙시키는 전차상륙함(LST) 어찌보면 가장 고전적인 상륙전에 충실한 함정이라 할 수 있다.
  • 내부에 도크(dock)가 있어 상륙주정(공기부양정 등)을 탑재하고 있다가 주정을 발진시켜 상륙하는 도크형 상륙함(LHD, LPD)
  • 상륙작전을 총괄하면서 지휘하는 상륙지휘함(LCC)
  • 헬리콥터나 수직이착륙기등을 사용하여서 입체적인 상륙전을 수행하는 헬리콥터 탑재 상륙함 혹은 강습상륙함(LHD, LHA, LPH)

4.1. 미 해군의 분류기준


  • LHA : Landing Helicopter Assault
  • LHD : Landing Helicopter Dock
  • LPH : Landing Platform Helicopter
  • LPD : Landing Platform Dock
  • LSD : Landing Ship Dock
  • LSI : Landing Ship, Infantry was previously designated as Landing Craft, Infantry
  • LSL : Landing Ship Logistics
  • LSM : Landing Ship Medium
  • LST : Landing Ship Tank
  • LCC : Amphibious Command Ship, unrelated to the Landing Craft, Control
  • AGF : Auxiliary Command Ship
  • AKA/LKA : Attack cargo ship
  • AP/APA/LPA : Auxiliary Personnel Assault
  • ARL : Landing Craft Repair Ship

5. 각국의 상륙함 일람



5.1. 대한민국 해군의 상륙함




5.2. 외국의 상륙함


국가는 2011년 GDP 규모별로, 함정은 1번함의 취역순서대로 기재한다.


6. 관련항목


[1] 일본어로는 揚陸艦, 중국어로는 登陸艦 등의 다른 용어로 부르고 있다.[2] 배 후방에 닻을 설치하고, 물속에 닻을 내려두고 해안에 올라간 다음 병력이 하선하면 닻줄을 되감는 식으로 후진해서 다시 물로 돌아갔다고 한다.[3] 1982년에 미 의회가 장기보존상태의 아이오와급 전함을 현대화 개수를 거쳐 재취역시키기로 한 것도, 전함에 의한 상륙작전시의 강력한 화력지원을 바란 해병대의 요구가 컸기 때문이다.[4] 이 분류법이 절대적인 분류법은 아니다. 같은 상륙함이라고 하여도 다른 분류가 나올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