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43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4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45
막차
22:40
막차
23:55
평일배차
6~10분
주말배차
8~10분
운수사명
관악교통
인가대수
28대[1][2]
노선
양천공영차고지 - 신정동현대아파트 - 개봉역 - 철산리버빌아파트 - 구일우성아파트 - 디지털단지오거리 -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 난곡입구 - 신림사거리·신림역 - 관악우체국(양지병원)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동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사평역 → 진흥아파트 → 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구립서초어린이도서관 → 강남역신논현역 → 사평역 → 이후 역순

2. 개요


관악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8년 8월 1일에 5412번이 폐선되면서, 봉천사거리 - 강남역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다음 날인 8월 2일에 신설되었다.[3]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0월 8일에 N61번 증차를 위해 1대가 감차되고, 전일에 걸쳐 일 운행횟수가 3회씩 감회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3월 11일을 기해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씩 감회되었다. 단, 이번 조치에 따른 배차간격 변화 정도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구로고가차도가 철거됨에 따라 2019년 4월 10일부터 강남역 방향 디지털단지오거리.가산파출소, 디지털단지오거리 정류장/양천공영차고지 방향 디지털단지오거리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관련 공문
  • 2019년 6월 20일을 기해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7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조치에 따라 평일 최소 배차간격이 기존보다 1분 늘어난 6분으로 조정되었으며,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최소 배차간격은 8분으로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10분으로 줄게 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8대, 저상버스 20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이중 전기버스는 10대이며 현대 일렉시티 5대, NEW E-화이버드 5대가 운행 중이다.
  • 388번, 651번과 같이 남부순환로를 가르지르는 노선이다. 이 노선의 제일 큰 특징은 남부순환로을 노선 길이의 절반 이상 경유한다는 점이다. 또한 남부순환로의 전체 길이도 절반 이상 경유한다.
  • 388번, 651번과 같이 남부순환로를 길게 누비므로 출퇴근 시간대의 정체 구간 또한 긴 편이다.
  • 신정동·개봉동·가산동·신림동 일대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지를 가기 때문에[4] 승객들이 5413번과 같이 자주 이용한다.
  • 신정현대아파트/서부트럭터미널.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신정학마을아파트에서 신림역까지 651번과 동일하게 운행한다.
  • 강남역으로 갈 때에는 지하철을 타는 게 아주 편하다. 사당역에서 이수역 쪽으로 동작대로를 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올라가다가 반포IC에서 진흥아파트 쪽으로 내려가는데, 문제는 그 구간이 고속터미널의 요충지이자 헬게이트인 반포IC라는 점을 명심할 것. 또한 회차 구간이 강남대로 바로 옆에 있는 서운로를 타고 가는데, 서초대로에서 한 블럭 더 간 사임당로까지 내려가서 회차하므로 강남역으로 갈 때는 신림역~사당역의 구간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좋다.[5] 아니면 진흥아파트 정류장에서 내린 후에 걸어가던지 하자. 걸어 갈 경우 강남역까지는 약 350m 정도로, 강남역 9번 출구까지 약 5분 정도 걸린다. 물론 강남역에서 올 때는 버스가 더 나은 점도 있다.
  • 신정동·개봉동 지역에서 신림역으로 이동하는 환승수요가 많다. 출근시간대에는 대부분의 차량이 신정동현대아파트 정류장부터 만석을 채워 온다.

  • 낙성대역 ~ 이수역 구간을 사당역 환승 없이 '오갈' 수 있는(즉 왕복 둘 다) 3개의 버스 중 하나다. 다른 둘은 5524번, 동작06번이다. 단 5524는 이 버스와 똑같이 사당역사거리를 통해 오가는 반면, 동작06은 동작고등학교가 있는 언덕과 남성역을 통해 오간다.
  • 제일약품사옥 앞 정거장에서 기사들이 화장실을 이용한다는 명목으로 정차하는 경우가 많아 특히 출근시간 탑승시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640번에도 해당된다. 처음에는 일부 기사들의 생리현상을 이해하는 분위기였으나, 정거장만 도착하면 의례 안전벨트 풀고 하차하는 기사들이 늘어나면서 불만도 많아지고 있는 상황. 주로 지하철이나 타 버스노선과 연결 수단으로서 탑승하는 승객이 많아 3~5분의 차이도 크게 느껴진다하여 원성이 자자하다.
  • 서울에서 마지막으로 간선(B)도색 BS106 로얄시티 차량이 운행했던 노선이다.
  • 서울 시내버스 특성상 저속 주행이 심하다. 388번 1대가 이버스 추월하고 어쩔때는 2대까지도 추월할때도 있다.
  • 시외구간(광명시)이 존재하는 노선이다. 다만 길지는 않고 광명시 주요 시가지와 거리가 있는 철산리버빌아파트 단지를 지날 뿐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43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9,350명
-
2014년
19,510명
△ 160
2015년
19,293명
▽ 217
2016년
19,413명
△ 120
2017년
20,668명
△ 1,255
2018년
20,928명
△ 260
2019년
21,114명
△ 186
2020년
17,418명
▽ 3,696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43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구립서초어린이도서관
22120



래미안에스티지
22118


'''강남역
23285'''

'''종점'''


진흥아파트
22165
신논현역.구교보타워사거리
22193




서초푸르지오써밋
22163
제일약품사옥
22194




KCC사옥
22162
이상 회차 구간
사평역
22195




사평역
22196
고속터미널
22019




고속터미널
22020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2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1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3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4
갯마을앞
20015




이수교
22225
정금마을.방배경찰서
20016




정금마을
22033
경문고교.배나무골앞
20017




경문고등학교
22031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
20018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
22029
사당동우체국앞
20019




이수역
22027
방배노인종합복지관
20020




-
사당역9번출구앞
20253




사당역
22241
사당1동관악시장앞
20141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
21126
예술인마을
20142




예술인마을.사당초등학교
21125
서울미술고.인헌중고
21101




인헌중고.서울미술고
21124
낙성대입구
21102




낙성대입구
21123
행운동주민센터
21103




낙성대동
21122
서울대입구역5번출구
21104




봉천사거리
21121
KT관악지점
21105




KT관악지점
21120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06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19
KT&G관악지점
21107




KT&G관악지점
21118
관악우체국
21261




관악우체국.양지병원
21262
신림사거리.신림역
21350




신림사거리.신림역
21117
남부초등학교
21109




남서울중학교.성보중고등학교
21116
호림박물관
21110




호림박물관
21361
난곡입구
21111




난곡입구
21115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21112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18198
천주교성령봉사회관.등불교회
21113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18197
KT구로지사
21114




가산초등학교
18119
가리봉효성아파트[6]
17230




디지털단지오거리
18118
디지털단지오거리
17389




디지털단지오거리.가산파출소
18151
-




가산디지털단지역입구
18215
구일우성아파트
17242




구일우성아파트
17238
철산리버빌아파트
38003




철산리버빌아파트
38079
개봉역
17233




개봉역
17234
-




개봉고가
17246
개봉1동사거리
17235




개봉1동사거리
17236
신정학마을아파트
15228




신정동현대아파트
15317
트럭터미널주유소앞
15362




신정현대아파트
15320
'''양천공영차고지
15373 · 15718'''



5. 연계 철도역



[1] 예비차 필요시 다중노선 등록이 되어 있는 N61번 차량(70사 9060)을 끌어쓴다.관련 공문[2] 토요일 23대 / 공휴일 22대 운행[3] 같은 날에 신설된 5520번은 호압사입구 - 봉천사거리 구간을 대체하며 8541번은 5412번 전구간을 새벽시간대 한정으로 대체한다.[4] 신정동·개봉동에서 서울고속터미널로 가는 버스 노선은 이 노선이 유일하다. 실제로 이 노선이 개통하면서 신정동·개봉동 주민들에게 큰 환영을 받았다.[5] 이렇게 가는 이유는 서운로와 서초대로가 만나는 진흥아파트사거리가 좌회전이 금지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