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반포역
舊盤浦驛 / Gubanpo Station
[clearfix]
서울 지하철 9호선 921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지하 17 (반포동) 소재.
[image]
역 구조도.
역명의 유래는 동네 이름인 반포동인데, 신반포지구 개발 이후 해당 지역이 관습적으로 '구반포'로 불렸기 때문에 구반포라는 이름으로 정해졌다. 자세한 건 아래를 보자.
역 구조도에서 보면 출구가 삼거리의 북쪽에만 1,2,3 번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쪽은 현재 상가건물이 있으며 추후 반포 주공 아파트 재건축시에 출구를 추가할 예정이라는 설이 있다.(남쪽의 1~35동은 구 차관아파트(AID) 라 하고 작은 평형만 모여있으며 현재 진행되는 재건축에서도 3주구 라는 이름으로 나머지 주공아파트와 별도 진행을 도모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현재 출구쪽 (승강장의 서쪽) 만 이용하는데도 맞은편의 공사(동쪽)가 되어있는 것도 추후 재건축 후 이용객 수가 늘어날 때 추가 출구를 만들기 위함이라는 설이 있다. 실제로 구반포역 1,2,4주구(북쪽)의 공사가 끝나면 세대수가 폭증할 것이 예상된다.[1]
원래 이 역의 이름은 구반포 남단을 흐르는 반포천에서 이름을 따 '서릿개역'으로 정하려 했지만, 이 사실을 알게 된 지역주민들은 크게 반발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위 3가지를 들어 지역주민들이 크게 저항했고, 결국 동네가 생기고 나서부터 통용되던 지명인 "구반포"로 정하게 되었다.
이미 다른 역에서 쓰이고 있는 명칭 앞에 '신' 접두어를 붙이는 일은 흔했지만, '구' 접두어를 사용한 사례는 흔치 않을 것이다. 그래서 간혹 신반포역이 있으니 '구' 반포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반포역을 의미하는 줄로 아는 사람도 있었다고(...). 개통 몇년이 흐른 지금은 바로 옆 정거장인만큼 그런 혼란은 거의 없어졌다.
구반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사실상 반포주공1단지 아파트 하나만을 역세권으로 두고 있다.''' 반포주공1단지 주민들만 구반포역을 이용하고 있다. 구반포역 북쪽의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는 현대건설의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로 재건축, 구반포역 남쪽의 반포주공1단지 3주구는 2020년 5월 30일 재건축 시공사를 확정할 계획이다.
세화고등학교, 세화여자고등학교, 반포초등학교 등이 있으나 이 학교들은 신반포역에서 100m 가량 더 가깝다.
구반포 주공아파트 단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역이다.
본 내용은 신반포역 문서와도 연결되어 있다.
반포동 일대는 크게 나누면 둘로 갈리는데, 기개척지인 영등포와 도심에서 가까운 구(舊)반포 지구와, 영등포와 도심 밖에 조성된 신(新)반포 지구로 갈리는 것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반포 일대로 지칭되는 곳은 반포 주공아파트 상가가 모여 있고 반포본동 주민센터가 있는 구반포 삼거리 일대를 말하는데, 이 곳은 대한주택공사에 의해 반포동 일대에서 가장 먼저 개척된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 지역의 행정동 순서가 다른 동보다 우선하며(반포'''본'''동) 반포주공 아파트 자체도 많이 낡은 상황이다. 그 외에도 구반포의 아파트는 대부분 5층짜리로, 상가는 3층짜리로 정형화되어 있다는 것도 특징.
경계는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지만 구반포 주공아파트 단지가 끝나는 세화고등학교-반포중학교-서래섬 선으로 나누곤 한다. 선을 기준으로 서쪽이 구반포, 동쪽이 신반포이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기개척지 일대(마지노선은 동작역)에서 더 가까운 쪽이 어딘가를 생각하면 쉽다.
아무래도 구 서울 주민으로서의 정통성 때문인지 구반포와 신반포 지역의 주민 사이에는 미묘한 신경차가 존재한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 지역 상가 중에는 KFC, 맥도날드, 파파이스, 버거킹 등 패스트푸드들이 입점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옆동네 센트럴시티가 들어서면서 모두 그쪽으로 자리를 옮겼다.[3] 사실은 그 이전에 모두 철수하였지만 말이다. 남은 것은 던킨도너츠가 유일. 그러나 2014년 9월 던킨도너츠마저 사라졌다. 그나마 남은 곳은 파리크라상인데 80년대경부터 30년동안 간판을 교체하거나 리모델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반포의 한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9호선 노량진역과 함께 '''학원가가 밀집한 지역의 역세권'''으로 알려졌는데 지하철이 개통하기 이전에도 학원가가 대부분 밀집되어 있고 특히 초, 중, 고등학교가 한 동네에 모두 있는 곳이라 학군 선호지역으로도 뽑힌다.[4] 그래서 이 역을 이용하는 주민층 대부분은 이 지역에 없는 '''대학교 및 대학원 그리고 일반 직장''' 등에 등하교 및 출퇴근하는 인원이 많은 편이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이 지역의 초중고등학교(여중, 여고까지 포함)가 이 곳에 밀집해 있기 때문에 주공아파트에서 살지않는 근처의 타 지역에서 등하교하는 학생들을 제외하고 이 지역에 있는 주공아파트에서 거주하는 학생들은 등하교 때 이용하는 일이 거의 없다. 굳이 이용해도 방과 후 개인상의 일정 등으로 이용하는 것 외에는 말이다. 지하철이 없던 시절에도 이 구반포 주공아파트에 거주하는 초중고등학생들은 등하교 때 버스 등의 대중교통도 이용하지 않는다. 어차피 학교가 동네 안에 있기 때문에 걸어서 갈 수 있기 때문. 다만 주공아파트에 거주하지 않고 타 지역에서 오는 학생들은 예외이다.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image]
역안내도 크게보기
구반포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1><height=32>
}}}
<^|1><height=32>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9호선 921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지하 17 (반포동) 소재.
2. 역 정보
[image]
역 구조도.
역명의 유래는 동네 이름인 반포동인데, 신반포지구 개발 이후 해당 지역이 관습적으로 '구반포'로 불렸기 때문에 구반포라는 이름으로 정해졌다. 자세한 건 아래를 보자.
역 구조도에서 보면 출구가 삼거리의 북쪽에만 1,2,3 번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쪽은 현재 상가건물이 있으며 추후 반포 주공 아파트 재건축시에 출구를 추가할 예정이라는 설이 있다.(남쪽의 1~35동은 구 차관아파트(AID) 라 하고 작은 평형만 모여있으며 현재 진행되는 재건축에서도 3주구 라는 이름으로 나머지 주공아파트와 별도 진행을 도모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현재 출구쪽 (승강장의 서쪽) 만 이용하는데도 맞은편의 공사(동쪽)가 되어있는 것도 추후 재건축 후 이용객 수가 늘어날 때 추가 출구를 만들기 위함이라는 설이 있다. 실제로 구반포역 1,2,4주구(북쪽)의 공사가 끝나면 세대수가 폭증할 것이 예상된다.[1]
2.1. 역이름 유래
원래 이 역의 이름은 구반포 남단을 흐르는 반포천에서 이름을 따 '서릿개역'으로 정하려 했지만, 이 사실을 알게 된 지역주민들은 크게 반발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위 3가지를 들어 지역주민들이 크게 저항했고, 결국 동네가 생기고 나서부터 통용되던 지명인 "구반포"로 정하게 되었다.
이미 다른 역에서 쓰이고 있는 명칭 앞에 '신' 접두어를 붙이는 일은 흔했지만, '구' 접두어를 사용한 사례는 흔치 않을 것이다. 그래서 간혹 신반포역이 있으니 '구' 반포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반포역을 의미하는 줄로 아는 사람도 있었다고(...). 개통 몇년이 흐른 지금은 바로 옆 정거장인만큼 그런 혼란은 거의 없어졌다.
3. 일평균 이용객
구반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시메트로9호선 자료실
4. 역 주변 정보
'''사실상 반포주공1단지 아파트 하나만을 역세권으로 두고 있다.''' 반포주공1단지 주민들만 구반포역을 이용하고 있다. 구반포역 북쪽의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는 현대건설의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로 재건축, 구반포역 남쪽의 반포주공1단지 3주구는 2020년 5월 30일 재건축 시공사를 확정할 계획이다.
세화고등학교, 세화여자고등학교, 반포초등학교 등이 있으나 이 학교들은 신반포역에서 100m 가량 더 가깝다.
5. 구반포와 신반포의 구분
구반포 주공아파트 단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역이다.
본 내용은 신반포역 문서와도 연결되어 있다.
반포동 일대는 크게 나누면 둘로 갈리는데, 기개척지인 영등포와 도심에서 가까운 구(舊)반포 지구와, 영등포와 도심 밖에 조성된 신(新)반포 지구로 갈리는 것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반포 일대로 지칭되는 곳은 반포 주공아파트 상가가 모여 있고 반포본동 주민센터가 있는 구반포 삼거리 일대를 말하는데, 이 곳은 대한주택공사에 의해 반포동 일대에서 가장 먼저 개척된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 지역의 행정동 순서가 다른 동보다 우선하며(반포'''본'''동) 반포주공 아파트 자체도 많이 낡은 상황이다. 그 외에도 구반포의 아파트는 대부분 5층짜리로, 상가는 3층짜리로 정형화되어 있다는 것도 특징.
경계는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지만 구반포 주공아파트 단지가 끝나는 세화고등학교-반포중학교-서래섬 선으로 나누곤 한다. 선을 기준으로 서쪽이 구반포, 동쪽이 신반포이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기개척지 일대(마지노선은 동작역)에서 더 가까운 쪽이 어딘가를 생각하면 쉽다.
아무래도 구 서울 주민으로서의 정통성 때문인지 구반포와 신반포 지역의 주민 사이에는 미묘한 신경차가 존재한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 지역 상가 중에는 KFC, 맥도날드, 파파이스, 버거킹 등 패스트푸드들이 입점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옆동네 센트럴시티가 들어서면서 모두 그쪽으로 자리를 옮겼다.[3] 사실은 그 이전에 모두 철수하였지만 말이다. 남은 것은 던킨도너츠가 유일. 그러나 2014년 9월 던킨도너츠마저 사라졌다. 그나마 남은 곳은 파리크라상인데 80년대경부터 30년동안 간판을 교체하거나 리모델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반포의 한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9호선 노량진역과 함께 '''학원가가 밀집한 지역의 역세권'''으로 알려졌는데 지하철이 개통하기 이전에도 학원가가 대부분 밀집되어 있고 특히 초, 중, 고등학교가 한 동네에 모두 있는 곳이라 학군 선호지역으로도 뽑힌다.[4] 그래서 이 역을 이용하는 주민층 대부분은 이 지역에 없는 '''대학교 및 대학원 그리고 일반 직장''' 등에 등하교 및 출퇴근하는 인원이 많은 편이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이 지역의 초중고등학교(여중, 여고까지 포함)가 이 곳에 밀집해 있기 때문에 주공아파트에서 살지않는 근처의 타 지역에서 등하교하는 학생들을 제외하고 이 지역에 있는 주공아파트에서 거주하는 학생들은 등하교 때 이용하는 일이 거의 없다. 굳이 이용해도 방과 후 개인상의 일정 등으로 이용하는 것 외에는 말이다. 지하철이 없던 시절에도 이 구반포 주공아파트에 거주하는 초중고등학생들은 등하교 때 버스 등의 대중교통도 이용하지 않는다. 어차피 학교가 동네 안에 있기 때문에 걸어서 갈 수 있기 때문. 다만 주공아파트에 거주하지 않고 타 지역에서 오는 학생들은 예외이다.
6. 승강장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image]
역안내도 크게보기
구반포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7. 연계 버스
[ 버스 목록 ]
[1] 다만 일부는 4호선과 환승이되고 급행이 정차하는 동작역으로 흡수될수도 있다.[2] 이 역이 위치한 반포본동(구반포) 지역은 조선시대에는 포촌리(浦村里)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이후 일제시대에 동작리로 합쳐져 이름이 동작동 등으로 변하다가 강남구(이후 서초구가 분구됨)에 편입되면서 반포동으로 이름이 붙게 된 지역이기 때문에 조선시대부터 이미 반포로 불리기 시작한 반포 1, 2, 4동과는 차이가 있다. 조선 후기부터 이미 서릿개(蟠浦)란 이름이 사라지고 훈이 변한 '盤浦'가 이름으로 굳은 것이 확인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다른 이름으로 불리다가 뒤늦게 편입된 이 지역이 서릿개로 불린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건 설득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3] 하지만 이마저도 최근들어 리모델링 되어 사라지고, 그 자리는 비싼 음식점들로 바뀌었다. 그나마 주변에 아직 여기저기 있기는 하지만...[4] 노량진역의 경우는 대입학원을 비롯하여 공무원 및 경찰학원이 있는 편이지만 이 곳에 있는 학원들은 대부분 초중고등학생들의 고입,대입 전문학원이 많은 편이다. 다만 노량진역 주변과는 달리 컵밥 등을 파는 노점상이 없다는게 차이점이다. 원래 이 지역은 아파트 상가가 대부분 밀집한 곳이라 옛날부터 길거리 노점상이 존재하지 않았다.
[ 버스 목록 ]